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사의 디지털 리터러시 진단 도구 개발 및 타당화 =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digital Literacy scale for kindergarten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009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reports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for diagnosing the scope of digital literacy required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onstant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validity assessment of the instrument, the literacy diagnosis items cover a comprehensive range of abilities from computer use, based on the medias availabl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the ability to communicate through various web programs. From the developmental model procedures, the researchers devised 64 items under the headings of planning and establishment, development of items, preliminary survey, and survey. The instrument can also be categorized into 3 subcategories of computer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nd knowledge literacy, depending on the component factors, and this categorization takes into account the main digital literacy-related work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carry out in 3 work domains of 1) class management and office work, 2) child guidance, and 3)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validation findings reveal that the overall Cronbach`s Alpha is very high, at .989, and internal consistency was found to exist in each factor and item. Also, the instrument was found to be very stable as a diagnostic instrument through cross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ests. In sum, the validation process finds the instrument useful for assessing the digital literac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of assessing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literacy in individ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reby, where necessary, prompting specific steps to be taken in reducing the digital divide among education institutions.
      번역하기

      This study reports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for diagnosing the scope of digital literacy required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onstant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validity assessment...

      This study reports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instrument for diagnosing the scope of digital literacy required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In order to accommodate the constant changes in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validity assessment of the instrument, the literacy diagnosis items cover a comprehensive range of abilities from computer use, based on the medias available i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o the ability to communicate through various web programs. From the developmental model procedures, the researchers devised 64 items under the headings of planning and establishment, development of items, preliminary survey, and survey. The instrument can also be categorized into 3 subcategories of computer literacy, information literacy, and knowledge literacy, depending on the component factors, and this categorization takes into account the main digital literacy-related work that early childhood educators carry out in 3 work domains of 1) class management and office work, 2) child guidance, and 3)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validation findings reveal that the overall Cronbach`s Alpha is very high, at .989, and internal consistency was found to exist in each factor and item. Also, the instrument was found to be very stable as a diagnostic instrument through cross validity and test-retest reliability tests. In sum, the validation process finds the instrument useful for assessing the digital literacy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of assessing the current state of digital literacy in individual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ereby, where necessary, prompting specific steps to be taken in reducing the digital divide among education institu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나일주, "한국 현직교사들의 ICT 리터러시 구성요인 및 구조 연구: 일반적 인지능력과 기술능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21-45, 2009

      2 서윤경, "프락시스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프레임워크의 개발과 적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4

      3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양서원 1995

      4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학지사 2002

      5 이종범, "초등학생 진로발달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6 손도수, "직업 적성에 대한 능력형 검사와 자기 평가형 검사 결과의 비교 가능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지식정보역량개발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개발연구"

      8 유지연, "지식기반사회에서의 e-learning 현황 및 전망" (285) : 2002

      9 윤정은, "유치원의 컴퓨터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0 이정화, "유치원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 나일주, "한국 현직교사들의 ICT 리터러시 구성요인 및 구조 연구: 일반적 인지능력과 기술능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21-45, 2009

      2 서윤경, "프락시스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프레임워크의 개발과 적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4

      3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양서원 1995

      4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학지사 2002

      5 이종범, "초등학생 진로발달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6 손도수, "직업 적성에 대한 능력형 검사와 자기 평가형 검사 결과의 비교 가능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지식정보역량개발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개발연구"

      8 유지연, "지식기반사회에서의 e-learning 현황 및 전망" (285) : 2002

      9 윤정은, "유치원의 컴퓨터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0 이정화, "유치원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신승덕, "유치원 컴퓨터 교육 실태에 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90

      12 고영미, "유치원 교육행정정보화 현황 및 교원의 인식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6 (6): 149-178, 2007

      13 유영미, "유치원 교사와 초등 교사의 ICT 활용도 및 태도" 숙명여대 원격대학원 2005

      14 이현옥, "유아교사를 위한 컴퓨터 리터러시 교육" 7 : 47-60, 2000

      15 권성호, "유아교사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설계 전략"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1 (11): 135-151, 2005

      16 김혜진, "유아교사 대상 웹기반 유아컴퓨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35-163, 2006

      17 김경철, "유아 컴퓨터 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조사 연구.한국교육학회" 14 (14): 239-266, 1994

      18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0

      19 박은혜, "어린이의 삶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 보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2006

      20 탁진국, "심리검사: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1996

      21 한정선, "세기 지식 정보 역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작적 정의 및 하위 영역 규명"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22 차갑부, "성인교육방법론" 양서원 1993

      23 김숙희,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현장문제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4 김양은, "매체발달에 따른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 중앙대학교 언론연구소 10 : 61-86, 2001

      25 황석해, "디지털정보활용능력 관련 자격검정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5 (5): 61-80, 2003

      26 김인숙, "디지털 혁명, 삶의 질과 노동환경 변화" 43 : 72-79, 2004

      27 백욱인, "디지털 시대의 지식과 교육" 5 (5): 1-14, 2001

      28 김정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이해능력과 활용능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05

      29 김민하, "디지털 리터러시 체크리스트 문항 개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0 김민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확인을 위한 문항개발 및 능력 평가"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159-192, 2003

      31 Gilster, P, "디지털 리터러시" 해남 1997

      32 안정임,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수용자 복지 정책적 함의" 한국언론정보학회 36 : 78-108, 2006

      33 신선희, "기능중심의 절차적 교수방법과 완성된 예제 중심의 교수방법이 예비 유아교사의 컴퓨터 리터러시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7 (7): 1-18, 2008

      34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07

      3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원ICT활용능력 평가방안연구"

      36 박석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0 (10): 65-90, 2004

      37 박성열, "공변량 구조 이론모델을 통한 교사들의 컴퓨터 리터러시와 직무수행능력 및 만족도 관계성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6 (36): 83-94, 2004

      38 김현자,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관한 질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4

      39 유영만, "e-Learning과 디지털 리터러시: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학습능력" 8 : 83-107, 2001

      40 Wagner, T, "The Global Achievement Gap"

      41 성태제, "SPSS/AMOS를 이용한 알기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09

      42 Bawden, D,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A review of concept" 57 (57): 218-249, 2001

      43 Gorsuch, R. L, "Factor analysis"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83

      44 Ebel, R. L, "Essenti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Prentice-Hall 1986

      45 University of Washington, "Digital Literacy self-assessment"

      46 University of Tampere, "Digital Literacy Foundation Skills" Department of Transition Studies 2005

      47 Larsson, L, "Digital Literacy" Health Service University of Washington 2000

      48 Costa, A. L, "DEVELOPING MINDS: A RESOURCE BOOK FOR TEACHING THINK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85

      49 Happer, R, "Correcting computer-based assessments for guessing" Computer Assisted Learning 2003

      50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SPSS아카데미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