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나일주, "한국 현직교사들의 ICT 리터러시 구성요인 및 구조 연구: 일반적 인지능력과 기술능력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5 (15): 21-45, 2009
2 서윤경, "프락시스 중심의 디지털 리터러시 학습 프레임워크의 개발과 적용"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4
3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양서원 1995
4 성태제, "타당도와 신뢰도" 학지사 2002
5 이종범, "초등학생 진로발달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6 손도수, "직업 적성에 대한 능력형 검사와 자기 평가형 검사 결과의 비교 가능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2
7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지식정보역량개발지원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지수개발연구"
8 유지연, "지식기반사회에서의 e-learning 현황 및 전망" (285) : 2002
9 윤정은, "유치원의 컴퓨터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10 이정화, "유치원교사의 직무수행에 대한 어려움 인식"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1 신승덕, "유치원 컴퓨터 교육 실태에 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1990
12 고영미, "유치원 교육행정정보화 현황 및 교원의 인식 분석"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6 (6): 149-178, 2007
13 유영미, "유치원 교사와 초등 교사의 ICT 활용도 및 태도" 숙명여대 원격대학원 2005
14 이현옥, "유아교사를 위한 컴퓨터 리터러시 교육" 7 : 47-60, 2000
15 권성호, "유아교사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설계 전략"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1 (11): 135-151, 2005
16 김혜진, "유아교사 대상 웹기반 유아컴퓨터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135-163, 2006
17 김경철, "유아 컴퓨터 교육 활성화를 위한 기초조사 연구.한국교육학회" 14 (14): 239-266, 1994
18 이순묵,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2000
19 박은혜, "어린이의 삶의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 보육과 초등교육의 연계" 2006
20 탁진국, "심리검사: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학지사 1996
21 한정선, "세기 지식 정보 역량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의 조작적 정의 및 하위 영역 규명"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22 차갑부, "성인교육방법론" 양서원 1993
23 김숙희, "사립유치원 초임교사의 현장문제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4 김양은, "매체발달에 따른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 중앙대학교 언론연구소 10 : 61-86, 2001
25 황석해, "디지털정보활용능력 관련 자격검정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정보학회 5 (5): 61-80, 2003
26 김인숙, "디지털 혁명, 삶의 질과 노동환경 변화" 43 : 72-79, 2004
27 백욱인, "디지털 시대의 지식과 교육" 5 (5): 1-14, 2001
28 김정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연구:이해능력과 활용능력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2005
29 김민하, "디지털 리터러시 체크리스트 문항 개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0 김민하, "디지털 리터러시 능력 확인을 위한 문항개발 및 능력 평가"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9 (9): 159-192, 2003
31 Gilster, P, "디지털 리터러시" 해남 1997
32 안정임, "디지털 격차와 디지털 리터러시수용자 복지 정책적 함의" 한국언론정보학회 36 : 78-108, 2006
33 신선희, "기능중심의 절차적 교수방법과 완성된 예제 중심의 교수방법이 예비 유아교사의 컴퓨터 리터러시 능력에 미치는 효과 비교"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7 (7): 1-18, 2008
34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연세대학교 사회복지학과 2007
35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원ICT활용능력 평가방안연구"
36 박석규, "교사의 미디어 리터러시에 관한 조사 연구"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0 (10): 65-90, 2004
37 박성열, "공변량 구조 이론모델을 통한 교사들의 컴퓨터 리터러시와 직무수행능력 및 만족도 관계성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6 (36): 83-94, 2004
38 김현자,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에 관한 질적 연구"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4
39 유영만, "e-Learning과 디지털 리터러시:디지털 시대의 새로운 학습능력" 8 : 83-107, 2001
40 Wagner, T, "The Global Achievement Gap"
41 성태제, "SPSS/AMOS를 이용한 알기쉬운 통계분석" 학지사 2009
42 Bawden, D, "Information and digital literacies: A review of concept" 57 (57): 218-249, 2001
43 Gorsuch, R. L, "Factor analysis" Lawrence Earlbaum Associates 1983
44 Ebel, R. L, "Essential of educational measurement" Prentice-Hall 1986
45 University of Washington, "Digital Literacy self-assessment"
46 University of Tampere, "Digital Literacy Foundation Skills" Department of Transition Studies 2005
47 Larsson, L, "Digital Literacy" Health Service University of Washington 2000
48 Costa, A. L, "DEVELOPING MINDS: A RESOURCE BOOK FOR TEACHING THINK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85
49 Happer, R, "Correcting computer-based assessments for guessing" Computer Assisted Learning 2003
50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SPSS아카데미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