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사회적 실재감 하위요인이 지각된 토론효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 on perceived cognitive and emotional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33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1) 학생의 학기차, 같은 수업에서 알고 있는 동료의 수, 토론 그룹의 크기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2) 사회적 실재감(하위요인)이 지각된 온라인 토론...

      본 연구에서는 (1) 학생의 학기차, 같은 수업에서 알고 있는 동료의 수, 토론 그룹의 크기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 (2) 사회적 실재감(하위요인)이 지각된 온라인 토론의 정서적, 인지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또한 (3) 토론 그룹의 크기, 학기차, 알고 있는 동료의 수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이 지각된 토론효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고찰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사회적 실재감과 지각된 토론효과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온라인토론의 효과를 제고할 수 있는 사회적 실재감 촉진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원격대학원에서 온라인 강의를 수강하고 온라인 토론에 참여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사회적 실재감 및 지각된 토론효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자 그룹별 사회적 실재감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얼굴과 이름을 아는 동료의 수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의 모든 하위요인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났다. 둘째, 사회적 실재감의 모든 하위 요인은 인지적, 정서적 토론효과 인식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사회적 실재감 하위요인 가운데 상호집중 및 지원과 개방적 의사소통이 토론효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컸으며 정서적 유대감은 토론효과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 넷째, 학습자 특성에 따라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에 차이가 나타났는데, 사회적 실재감 인식이 낮은 저학년 학생 그룹과 동료 학습자의 얼굴과 이름을 잘 알지 못하는 그룹에서 사회적 실재감의 영향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토론효과 향상을 위한 사회적 실재감 제고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and to gain some implication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to facilitate online discu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1)th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and to gain some implications for enhancing social presence to facilitate online discussion. This study investigated (1)the differences of social presence(and sub factors) by students’ year of online class, number of acquaintance in the class, and size of online discussion, (2) the influences of social presence(and sub factors) on cognitive and emotional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3) and the differences of effects of social presence by year of online class, number of acquaintance in the class, and size of online discussion. For this study, the students taking an online course in cyber graduate school participated online discussion two times during a semester. After a semester, students participated the survey about social presence and perceived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the number of acquaintance in this course. The more students know the peers, the higher they perceived the social presence. Second, all of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correlated with cognitive and emotional outcomes of discussion significantly. Third, social presence was influential on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especially, more influential on emotional effects than cognitive effects. Among the sub-factors of social presence, ‘mutual attention and support’, ‘open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ly influential factors on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however, emotional connectedness was not. Fourth, the effects of social presence were more powerful in a group of students who was lower grade and knew few or no acquaintance in the course. These group were perceived lower social presence than others comparatively.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rategies of facilitating social presence to enhance the effects of online discussion we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수현, "웹기반 비동기적 토론에서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 만족도, 학업 성취에 대한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99-321, 2006

      2 김정주, "원격교육기관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1-24, 2010

      3 김정주, "원격고등교육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측정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4 권성연,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2 (42): 55-82, 2011

      5 임철일, "온라인 토론 활성화를 위한 집단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3 (23): 89-118, 2007

      6 이정민, "온라인 토론 만족도에 대한 과제가치, 메타인지의 예측력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역할"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333-352, 2011

      7 황하성,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인스턴트 메신저의 이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529-561, 2007

      8 최부기,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사회적 실재감,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12 (12): 315-334, 2011

      9 김혜영, "사이버교육에서 실재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3 (3): 103-132, 2011

      10 강명희,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2 (22): 1-27, 2006

      1 김수현, "웹기반 비동기적 토론에서 토론촉진전략의 유형에 따른 학습자의 사회적 실재감, 상호작용, 만족도, 학업 성취에 대한 효과"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2 (12): 299-321, 2006

      2 김정주, "원격교육기관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성과의 관계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6 (16): 1-24, 2010

      3 김정주, "원격고등교육에서의 사회적 실재감 측정도구 개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4 권성연, "온라인 학습에서 사회적 실재감과 학습자 특성, 토론효과 및 학습효과 인식, 만족도와의 관계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42 (42): 55-82, 2011

      5 임철일, "온라인 토론 활성화를 위한 집단 구성 방식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공학회 23 (23): 89-118, 2007

      6 이정민, "온라인 토론 만족도에 대한 과제가치, 메타인지의 예측력과 사회적 실재감의 매개역할"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333-352, 2011

      7 황하성, "사회적 현존감(Social Presence)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인스턴트 메신저의 이용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7 (7): 529-561, 2007

      8 최부기, "사이버대학 학습자들의 사회적 실재감, 수업만족도, 학업성취도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12 (12): 315-334, 2011

      9 김혜영, "사이버교육에서 실재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3 (3): 103-132, 2011

      10 강명희, "e-Learning 환경에서 인식되는 사회적 실재감과 성취도, 만족도, 학습지속도 관계 규명" 한국교육공학회 22 (22): 1-27, 2006

      11 Swan, K., "Validating a measurement tool of presence in online communities of inquiry" 2 (2): 1-12, 2008

      12 Kehrwald, B., "Understanding social presence in text-based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29 (29): 89-106, 2008

      13 Short, J., "The social psychology of telecommunications" John Wiley & Sons 1976

      14 Tu, C. H., "The relationship of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in online classes" 16 (16): 131-150, 2002

      15 Biocca, F., "The networked minds measure of social presence: Pilot test of the factor structure and concurrent validity" 2001

      16 Liu, E. Z. F., "The effects of using online Q&A discussion forum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as a learning resource" 22 (22): 667-675, 2013

      17 Akyol, Z., "The development of a community of inquiry over time in an online course: Understanding the progression and integration of social, cognitive and teaching presence" 12 (12): 3-23, 2008

      18 So, H. J., "Student perceptions of collaborative learning, social presence and satisfaction in a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Relationships and critical factors" 51 (51): 318-336, 2008

      19 Cobb, S. C., "Social presence, satisfaction, and perceived learning of RN-to-BSN students in Web-based nursing courses" 32 (32): 115-119, 2011

      20 Gunawardena, C. N., "Social presence theory and implications for interaction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 computer conferences" 1 (1): 147-166, 1995

      21 Caspi, A., "Social presence in online discussion groups : Testing three conceptions and their relations to perceived learning" 11 (11): 323-346, 2008

      22 Gunawardena, C. N., "Social presence as a predictor of satisfaction within a computer‐mediated conferencing environment" 11 (11): 8-26, 1997

      23 박혜미,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대학생이 느끼는 사회적 실재감이 학습성취도 및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673-676, 2013

      24 Garrison. D. R., "Researching the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Review, issues, and future directions" 10 : 157-172, 2007

      25 Xie, K.,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motivation and their participation in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7 (7): 17-29, 2011

      26 Biocca, F., "Proceedings of the 5th International Workshop on Presence 2002" University Fernando Pessoa 7-36, 2002

      27 Wu, D., "Predicting learning from asynchronous online discussions" 8 (8): 139-152, 2004

      28 Davies, J., "Performance in e-learning : Online participation and student grades" 36 (36): 657-664, 2005

      29 Hobgood, B., "Perceptions of motivation, enjoyment, and learning from online discussions by North Carolina high school students in online, Advanced Placement Psychology courses"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2007

      30 Akyol, Z., "Online and blended communities of inquiry : Exploring the developmental and perceptional differences" 10 (10): 65-83, 2009

      31 Swan, K., "On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course discussions" 9 : 115-136, 2005

      32 Russo, T., "Learning with invisible others : Perceptions of online presence and their relationship to cognitive and affective learning" 8 (8): 54-62, 2005

      33 Kim, J. J., "Investigating factors that influence social presence and learning outcomes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57 (57): 1512-1520, 2011

      34 Harms, C., "Internal consistency and reliability of the networked minds social presence measure" Universidad Politecnica de Valencia 246-251, 2004

      35 Swan, K.,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nstructivism in higher education: progressive learning frameworks" IGI Global 43-57, 2009

      36 Kim, J. J., "Influence of group size on students’ participation in online forums" 62 : 123-129, 2013

      37 Vaughan, N., "How blended learning can support a faculty development community of inquiry" 10 (10): 139-152, 2006

      38 Sung, E. M., "Five facets of social presence in online distance education" 28 : 1738-1747, 2012

      39 Bai, H., "Facilitating students’ critical thinking in online discussion : An instructor’s experience" 8 (8): 156-164, 2009

      40 Driver, M., "Exploring student perceptions of group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the web enhanced classroom" 5 (5): 35-45, 2002

      41 Richardson, J. C., "Examining social presence in online courses in relation to students'perceived learning and satisfaction" 7 (7): 68-88, 2003

      42 Garrison, D. R., "Encyclopedia of distance learning" IGI Global 352-355, 2009

      43 Garrison, D. R.,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Falmer 2011

      44 Garrison, D. R., "E-learning in the 21st century: A framework for research and practice" RoutledgeFalmer 2003

      45 Kim, J. J., "Developing an instrument to measure social presence in distance higher education" 42 (42): 763-777, 2011

      46 Arbaugh, J. B., "Developing a community of inquiry instrument: Testing a measure of the community of inquiry framework using a multi-institutional sample" 11 (11): 133-136, 2008

      47 Conrad, D., "Deep in the hearts of learners : Insights into the nature of online community" 17 (17): 1-19, 2002

      48 Aragon, S. R., "Creating social presence in online environments" 100 : 57-68, 2003

      49 Stein, D. S., "Creating shared understanding through chats in a community of inquiry" 10 : 103-115, 2007

      50 Althaus, S. L.,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in the university classroom : An experiment with on-line discussions" 46 (46): 158-174, 1997

      51 Burruss, N. M., "Class size as related to the use of technology, educational practices, and outcomes in web-based nursing courses" 25 (25): 33-41, 2009

      52 Conrad, D., "Building and maintaining community in cohort-based online learning" 20 (20): 1-21, 2005

      53 Garrison, D. R., "Blend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Jossey-Bass 2008

      54 Picciano, A. G., "Beyond student perceptions : Issues of interaction, presence, and performance in an online course" 6 (6): 21-40, 2002

      55 Rourke, L., "Assessing social presence in asynchronous text-based computer conferencing" 14 (14): 50-71,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4-20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al Information & Broadcasting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al Information and Media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9 1.59 1.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 1.96 2.299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