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부관계특성이 둘째 자녀 출산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The Effect of Marital Relationship on the Second Childbirth Inten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9456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Currently, the total birthrate of Korea is staying less than two births which is the population replacement level. Since most of the first child birth is done after marriage in Korea, a strategy for increasing the birthrate should be sought for increasing second child birthrate.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second childbirth have tended to focus on social and economic factors surrounding married women such as household income level or housework and child care assistance regarding work-family balance system. Relatively few studies paid attention to the marital relationship associated with second childbirth intention. Marital relationship, however, is a essential factor to consider in the aspect of decreasing parenting burden for married women who are raising the first child as well as increasing the second childbirth intention.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arital relationship associated with second childbirth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marit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gnitive factors, sexual factors, active factors and family-communication factors. Based on the data of the 3rd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in 2010,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891 married women. In the analysis result, the second childbirth intention gets high when sexual satisfaction and family-communication are high. In case of married women who are raising the first child, they are likely to get emotional support, comfort and advice through affective sexual satisfaction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family even though they get no actual assistance for child care and housework, thus it plays positive role in considering second childbirth for women.
      번역하기

      Currently, the total birthrate of Korea is staying less than two births which is the population replacement level. Since most of the first child birth is done after marriage in Korea, a strategy for increasing the birthrate should be sought for increa...

      Currently, the total birthrate of Korea is staying less than two births which is the population replacement level. Since most of the first child birth is done after marriage in Korea, a strategy for increasing the birthrate should be sought for increasing second child birthrate. The existing studies related to the second childbirth have tended to focus on social and economic factors surrounding married women such as household income level or housework and child care assistance regarding work-family balance system. Relatively few studies paid attention to the marital relationship associated with second childbirth intention. Marital relationship, however, is a essential factor to consider in the aspect of decreasing parenting burden for married women who are raising the first child as well as increasing the second childbirth intention.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marital relationship associated with second childbirth inten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marital relationship characteristics in terms of cognitive factors, sexual factors, active factors and family-communication factors. Based on the data of the 3rd Korean Longitudinal Survey of Women and Family in 2010,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891 married women. In the analysis result, the second childbirth intention gets high when sexual satisfaction and family-communication are high. In case of married women who are raising the first child, they are likely to get emotional support, comfort and advice through affective sexual satisfaction and continuous communication with family even though they get no actual assistance for child care and housework, thus it plays positive role in considering second childbirth for wome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은기수, "현대한국사회의 가족가치관 : 결혼및 이혼을 중심으로" 2001

      2 이미숙, "한국에서의 결혼만족 연구에 대한고찰 및 평가" 10 (10): 27-71, 1990

      3 손승영, "한국사회 저출산 원인과 가족친화적 정책대안" 한국가족학회 17 (17): 285-316, 2005

      4 최연실, "한국가족의 변화에 대한 일고찰: 변화 양상, 맥락 및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41-65, 2013

      5 백진아, "한국 기혼여성의 가족 경험- 가족주의와 변형적 친밀성의 결합 -" 한국사회역사학회 10 (10): 241-269, 2007

      6 한은주, "한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선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1-12, 2006

      7 정혜옥, "한 자녀 가정의 둘째 자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동작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8 임현주, "친지의 사회적 지원, 부모특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변인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67-190, 2011

      9 윤희진, "친족관계 밀접도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결혼 10년 이하의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0 정혜은,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회 31 (31): 147-164, 2008

      1 은기수, "현대한국사회의 가족가치관 : 결혼및 이혼을 중심으로" 2001

      2 이미숙, "한국에서의 결혼만족 연구에 대한고찰 및 평가" 10 (10): 27-71, 1990

      3 손승영, "한국사회 저출산 원인과 가족친화적 정책대안" 한국가족학회 17 (17): 285-316, 2005

      4 최연실, "한국가족의 변화에 대한 일고찰: 변화 양상, 맥락 및 쟁점을 중심으로" 한국가족관계학회 17 (17): 41-65, 2013

      5 백진아, "한국 기혼여성의 가족 경험- 가족주의와 변형적 친밀성의 결합 -" 한국사회역사학회 10 (10): 241-269, 2007

      6 한은주, "한 자녀를 둔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선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1-12, 2006

      7 정혜옥, "한 자녀 가정의 둘째 자녀 출산계획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동작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8 임현주, "친지의 사회적 지원, 부모특성, 어머니 심리적 특성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변인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67-190, 2011

      9 윤희진, "친족관계 밀접도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결혼 10년 이하의 기혼남녀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0 정혜은,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회 31 (31): 147-164, 2008

      11 배광일, "출산의도 및 출산행동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12 김승권, "최근 한국사회의 출산율 변화원인과 향후 전망" 한국인구학회 27 (27): 1-34, 2004

      13 이주희, "첫 자녀 출산 후 기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0

      14 이명석, "저출산정책의 효과성 인식 조사: 주출산연령 여성을 중심으로" 경기개발연구원 14 (14): 29-64, 2012

      15 김근세, "저출산·고령 정책의 행정자원과 휴먼서비스: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새로마지플랜)을 중심으로" 한국정부학회 25 (25): 103-130, 2013

      16 윤덕우, "저출산 사회에서의 확대가족 유용성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1

      17 이정원, "유자녀 취업여성의 후속출산의도에 관한 연구 : 합리적-가치적 선택 모형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7

      18 윤수빈, "유자녀 기혼여성의 후속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0

      19 김미령, "연령대에 따른 여성의 결혼만족도 차이 및 영향요인 비교"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6 (26): 35-62, 2009

      20 송영주,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른 후속출산계획 관련 심리사회적 요인 탐색"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185-206, 2011

      21 김종훈, "아버지의 자녀양육참여와 사회적 지원이 후속출산계획에 미치는 영향: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매개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4 (34): 87-102, 2013

      22 이희숙, "성인애착과 결혼만족 간의 관계: 보살핌과 성적 친밀감의 매개 효과" 한국건강심리학회 13 (13): 671-689, 2008

      23 이경희, "부인이 지각한 갈등과 친밀감에 따른 부부관계 유형"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24 윤경자, "부산광역시 초저출산의 가족학적 요인 및 가족친화환경 조성을 위한 정책적 제안" 한국인구학회 33 (33): 137-163, 2010

      25 임현주, "부부특성 및 사회적 지원과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이 후속출산에 미치는 효과: 모의 취업과 후속출산계획 여부에 따른 다중집단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121-144, 2013

      26 박민지, "부부친밀감에 영향을 미치는 원가족 분화수준과 가족규칙 및 부부의사소통"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27 이여봉, "부부역할과 여성의 결혼만족도 : 연령범주별 분석" 한국인구학회 33 (33): 103-131, 2010

      28 이은아, "부부관계 설명모델에 관한 실증 연구 : 관계중심모델의 유효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0

      29 차승은, "부모역할의 보상/비용과 둘째 자녀 출산계획: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33 (33): 111-134, 2008

      30 고선주, "부모기로의 전이에 관한 연구 : 첫 자녀 임신기 부부의 결혼적응" 31 (31): 55-67, 1993

      31 신윤정, "보육·교육비 부담이 출산 의향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8 (28): 103-134, 2008

      32 강은미, "맞벌이 부부의 양육스트레스와 보육서비스가 추가자녀 출산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33 마미정, "맞벌이 부부의 둘째 자녀 출산의도와 출산기피 요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34 정은희, "둘째자녀 출산제약 요인분석과 정책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35 강유진, "둘째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가치관 및 가족관계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8 (18): 639-653, 2007

      36 박수미, "둘째 출산 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회 31 (31): 55-73, 2008

      37 천혜정, "둘째 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25-33, 2005

      38 박정희, "도시지역과 농촌지역 어머니의 자녀양육 스트레스에 대한 관련변인 연구" 대한가정학회 41 (41): 31-44, 2003

      39 박현주, "기혼여성의 출산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40 김정석,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30 (30): 97-116, 2007

      41 박소희, "기혼여성의 여가활용특성과 정서표현성, 부부공감, 친밀감 및 여가공유의사의 관계"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7

      42 고정애, "기혼여성의 성 만족 및 일반적 의사소통과 성 관련 의사소통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4

      43 홍숙선, "기혼여성의 결혼만족 : 관계 및 자율지향성과 성만족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1

      44 현경자, "기혼남녀의 결혼만족 이유에 대한 내용분석 결혼만족 근원의 유사점과 차이점" 한국사회복지학회 49 (49): 225-263, 2002

      45 최명민, "결혼행복감의 결정요인 분석:소득수준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9 (29): 85-114, 2010

      46 이인재, "가족구조가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9 (9): 1-25, 2009

      47 박소영, "가구소득수준별 둘째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소득수준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둘째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간의 차이"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48 Stevens, F. 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a theory-drived measure of intimacy" 17 (17): 359-336, 1989

      49 Nock, S. L., "The symbolic meaning of childbearing" 8 (8): 373-393, 1987

      50 Richter, K., "The impact of child care on fertility in urban Thailand" 31 (31): 651-662, 1994

      51 Adams, B. N., "The family: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Harcourt Brace Jovanovich 1986

      52 Hetherington, S. E., "Measuring change in intimacy and sexuality : A self-administered scale. Journal of Sex" 16 (16): 155-163, 1990

      53 Moss, B., "Marriage and romantic relationship" 42 : 31-37, 1993

      54 Myers, S. M., "Marital uncertainty and childbearing" 75 (75): 1271-1289, 1997

      55 Orthner, D. K., "Leisure impacts on family interaction and cohension" 22 : 125-137, 1990

      56 McDonald, P., "Gender equity in theories of fertility transition" 26 (26): 427-139, 2000

      57 Schoen, R., "Do fertility intentions affect fertility behavior?" 61 (61): 790-799, 1999

      58 Nakonezny, P. A., "Did births decline in the United States after the enactment of no-fault divorce law?" 50 : 188-200, 2003

      59 Broucke, S. V.,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marital intimacy questionnaire"" 44 : 285-290, 1995

      60 Crawford, D. W., "Compatibility, leisure, and satisfaction in marital relationships" 64 : 433-439, 2002

      61 Friedman, D., "A theory of the value of children" 31 (31): 375-401, 1994

      62 Fu, X., "A longitudinal and cross-cultural analysis of fertility decline" 8 : 207-226, 1998

      63 이수연, "6세 이하 자녀를 가진 기혼취업여성의 둘째자녀 계획에 영향을 주는요인 : 저출산 정책의 실효성 방안을 중심으로" 2011

      64 김승권, "2012년 전국 결혼 및 출산동향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65 서영주, "2011-2015 제2차 서울시 저출산중장기 계획" 서울시여성가족재단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3-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3-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 -> Korean Association Of Family Relation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5-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Family Relations -> Journal of Korean Family Relations Associ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2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6 1.41 1.55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