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고에서 필자는 왕위를 독점하기 위해 고려왕가가 채택한 전략과 그것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고려 왕가는 天命論으로 즉위의 정당성을 내세웠지만, 한편으로는 초월적 권위에 기대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018816
2014
Korean
용손의식 ; 신성군주론 ; 성인군주론 ; 소군(小君) ; 심왕(瀋王) ; 왕권의 상대화 ; 왕위의 독점권 ; 개성왕가 ; 우?창비왕설(禑?昌非王說) ; Yongsonuisik[Consciousness of Dragon’s Descendants] ; Thought on Holy Kingship ; Thought on Moral Kingship ; Sogoon[the “illegitimate offspring of the king] ; King Shim[瀋王] ; Relativization of the royal authority ; Exclusive rights to the throne ; the royal family of Gaeseong
KCI등재
학술저널
7-41(35쪽)
2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고에서 필자는 왕위를 독점하기 위해 고려왕가가 채택한 전략과 그것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고려 왕가는 天命論으로 즉위의 정당성을 내세웠지만, 한편으로는 초월적 권위에 기대어 ...
본고에서 필자는 왕위를 독점하기 위해 고려왕가가 채택한 전략과 그것의 변화과정을 살펴보았다. 고려 왕가는 天命論으로 즉위의 정당성을 내세웠지만, 한편으로는 초월적 권위에 기대어 왕권의 절대권을 구축하기도 하였다. 다시 말해 聖人君主論과 神聖君主論을 병행하였다고 할 수 있는데, 후자의 모습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 바로 ‘龍孫認識’이었다.
용손의식은 국초부터 형성되었다. 그런데 사실 그것은 형성과 동시에 사회적 효용성을 잃을 운명에 있었다. 유교적 합리주의 사고체계는 용왕이나 용의 후손이라는 다소 ‘고전적인’ 논리가 설 자리를 빼앗고 있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용손의식이 제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神聖을 끊임없이 수혈하는 시스템의 마련이 필요했다. 고려의 경우 신성의 수혈은 독점과 배제로 이루어졌다. 용손 끼리의 근친혼을 지속함으로써 자기들만의 왕국을 만들어 독점을 강화하였다. 한편,용손 안에서 자연 발생적으로 파생되는 小君을 배제하여 神聖을 저해하는 요소를 끊임없이 제거시켜 나갔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구축된 기반 덕분에 여러 번의 강력한 도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개성왕가는 독점권을 잃지 않았다. 무인집정들은 개성왕가의 독점권을 무력화시키기 위해 龍孫十二盡이라는 讖言을 퍼트렸지만, 그러한 노력은 도리어 용손의식의 뿌리가 당시에 얼마나 강고했는지를 여실히 보여줄 뿐이었다.
한편, 고려왕가는 몽골의 등장이후 몽골황실과의 밀착을 이룸으로써 왕권의 강화와 권위의 회복을 동시에 이루었다. 하지만 대원관계의 지속은 왕권이 상대화되는 결과를 낳았고, 그것은 권위의 하락과 용손의식의 쇠퇴로 이어졌다. 그로 인해 고려영내에서 개성왕가가 차지하고 있던 왕위의 독점권이 서서히 부정되기 시작했다. 그것은 瀋王의 왕위도전으로 우선 표출되었다. 나아가 왕위계승권을 그 동안 원천 차단당하였던 小君들의 도전으로 이어졌다. 물론 소군들의 도전은 번번이 실패하였지만, 그것이 ‘사실상’소군이라고 할 우왕의 즉위를 유발했다는 측면에서 상당한 의의가 있다.
그런데, 우왕의 즉위는 고려왕가에 전혀 예상치 못한 결과를 초래했다. 왕권의 상대화와 소군들의 도전에 따른 용손의식의 붕괴가 고려후기 고려왕가에게 왕권의 정통성을 제공하는 원천이었던 元朝의 쇠락과 함께 이루어짐으로써, 고려왕이 정통성을 기댈 근거가 희박하게 된 것이다. 그것은 결국 왕권의 정당성을 입증할 이데올로기가 사실상 고려 왕가에는 부재하게 된 것이었는데, 이런 와중에 禑王과 昌王이 왕씨의 후손이 아니라는 說이 제기됨으로써 고려는 멸망하게 되었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순자, "禮部咨文의 변조와 왕조 교체의 승인" 2007
2 민현구, "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1981
3 이형우, "우왕의 정치에 대한 일고찰 - 출생배경과 폐위, 죽음을 중심으로 -"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6) : 129-171, 2011
4 金石煥, "몽골제국의 對高麗政策의 一面-高麗國王의 駙馬化 및 行省官 兼職을 중심으로-" 35 : 2011
5 김호동, "몽골제국과 고려" 서울대출판부 2007
6 남동신, "나말려초 국왕과 불교의 관계" 한국역사연구회 (56) : 81-111, 2005
7 민현구, "고려정치사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8 김기덕, "고려시대의 왕" 54 : 2001
10 한정수, "고려시대 君主觀의 二元的 이해와 정치적 상징" 106 : 2005
1 김순자, "禮部咨文의 변조와 왕조 교체의 승인" 2007
2 민현구, "한우근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1981
3 이형우, "우왕의 정치에 대한 일고찰 - 출생배경과 폐위, 죽음을 중심으로 -"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6) : 129-171, 2011
4 金石煥, "몽골제국의 對高麗政策의 一面-高麗國王의 駙馬化 및 行省官 兼職을 중심으로-" 35 : 2011
5 김호동, "몽골제국과 고려" 서울대출판부 2007
6 남동신, "나말려초 국왕과 불교의 관계" 한국역사연구회 (56) : 81-111, 2005
7 민현구, "고려정치사론"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4
8 김기덕, "고려시대의 왕" 54 : 2001
10 한정수, "고려시대 君主觀의 二元的 이해와 정치적 상징" 106 : 2005
11 변태섭, "고려사의 연구" 삼영사 1987
12 이명미, "고려-몽골 관계와 고려국왕 위상의 변화" 서울대 2012
13 北村秀人, "麗末に於ける立省問題について" 北海道大學文學部 14 (14): 1966
14 도현철, "高麗末期 士大夫의 理想君主論" 88 : 1995
15 김기덕, "高麗時期 王室의 構成과 近親婚" 49 : 1993
16 金成煥, "高麗時代의 檀君傳承과 認識" 경인문화사 2002
17 金烈圭, "高麗史 世家에 나타난 ‘神聖王權’의 意識" 40 : 1975
18 나만수, "高麗 明宗代 武人正權과 國王" 6 : 1990
19 정성권, "高麗 建國期 石造美術 硏究" 동국대 2012
20 김당택, "高麗 崔氏武人政權과 國王" 42 : 1986
21 森平雅彦, "駙馬高麗國王の成立-元朝における高麗王の地位についての豫備的考察" 79 (79): 1998
22 李成珪, "東亞史上의 王權" 한울아카데미 1993
23 李泰鎭, "東亞史上의 王權" 한울아카데미 1993
24 李基東, "新羅 王權 연구의 몇 가지 前提- 中古期 왕권과 신분제, 종교의 相互 관계 -" 신라문화연구소 (22) : 66-80, 2003
25 森平雅彦, "威鎭東方極邊未附日本國邊面勾當-元帝國における高麗の機能的位置をめぐって-, In 13-14세기 동아시아와 고려-고려・대원관계의 성격탐구" 2009
26 이명미, "奇皇后세력의 恭愍王 폐위시도와 高麗國王權 - 奇三寶奴 元子책봉의 의미 -" 역사학회 (206) : 1-36, 2010
27 김수태, "「집안고구려비」에 보이는 율령제" 한국고대사학회 (72) : 37-82, 2013
28 송양섭, "18세기 ‘공(公)’ 담론의 구조와 그 정치・경제적 함의, In 조선시대 ‘公’ 담론의 새로운 모색" 201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2-0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9-29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for the Studies of Korean History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1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89 | 2.254 | 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