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외국인노동자 가족의 적응유연성(resilience)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1664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내에 체류 중인 전체 외국인 수가 사상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이 중 불법체류중인 미등록노동자들은 1997년 14만 8048명에서 2007년에는 22만 5273명으로 꾸준히 늘어 전체 외국인의 20%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외국인노동자들은 내국인의 관심 밖에서 아주 조용히 가족 이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앞에 외국인노동자들의 가족 형성의 권리를 되찾아 주고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의 과정으로 외국인노동자 가족을 위한 몇 가지 연구 목적을 갖는다.
      첫째, 기존 자료의 분석 및 외국인노동자에 관한 이해를 통해 가족이 겪을 만한 위기 상황들을 확인한다.
      둘째, 심층면접을 통해 그 위기들을 극복하게 하는 가족 적응유연성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발견한다.
      셋째, 연구결과를 통해 동일한 어려움 가운데 처한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찾는다.
      넷째, 외국인노동자 가족의 적응유연성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인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심층면접을 통한 현상학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적응유연성 이론을 사용하였다. 심층면접의 대상자는 연구자가 약 2년 동안 봉사했던 외국인노동자서비스 모임에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필리핀 미등록노동자들 가운데 가족 형태를 대표할 수 있을 만한 사람 중 11명을 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국인노동자 가족의 적응유연성 가운데 보호요인으로는 첫째,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다. 자신의 희생을 통해 가족이 행복해지고, 미래가 더 밝아질 수 있다는 믿음으로 한국에서의 힘겨운 생활을 이겨내고 있었다. 둘째는 종교적인 믿음이다. 필리핀에 있는 부친의 죽음과, 남편 없이 홀로 해결해야만 했던 일들 가운데 기도를 통해 해결하는 종교적 힘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가족 재결합의 노력이다. 외국인노동자 가족들이 한국에서 재결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넷째, 발전된 정보통신 기술이다. 서로 얼굴을 직접 맞대고 만나서 이야기 할 수는 없지만, 화상통신 및 전화 등의 발전된 정보통신 기술로 말미암아 가족들과 지속적으로 만나고 있었다. 다섯째, 외국인노동자상담소의 도움이다. 연구자가 봉사하는 외국인노동자서비스 모임을 통해 얻은 도움과 지원으로 많은 부분 발견할 수 있었다. 여섯째, 긍정적인 개인의 기질이다. 개인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성향이 자신의 가정에 처한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이겨내게 해 주는 힘이 되고 있었다.
      위험요인은 첫째, 새로운 가족 이산이다. 한국에서 자녀를 낳은 외국인노동자들이 자녀를 필리핀에 있는 부모님에게 보내 현실을 적응해 나가고 있었다. 둘째, ‘커플’의 생성이다. 본래의 아내와 남편이 필리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성 친구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셋째, 무국적 상태의 아동이 발생하고 있다. 미등록노동자의 경우 자녀를 출산한 후 출입국사무소에 출생신고를 하지 못해 아동이 무국적상태에 놓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넷째, 새로운 범법행위가 양산되고 있다. 한국행 비자를 발급받는 과정에서 돈을 주고 대리인을 통해 비자 인터뷰를 받게 하고 있었다. 다섯째는, 한국인의 편견 문화이다. 여섯째는, 의료적인 문제이다. 사실상 미등록노동자라고 하더라도 보건소 이용이 가능하지만 어떠한 혜택도 누리지 못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로는 무국적 아동의 방지노력 강구, 가족 결합 권리의 보장, 종교시설 외국인노동자 상담소의 가족윤리회복 노력, 외국인노동자 수혜범위 확대 및 서비스 홍보의 강화, 그리고 국제화 시대로의 인식의 전환 등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국내에 체류 중인 전체 외국인 수가 사상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이 중 불법체류중인 미등록노동자들은 1997년 14만 8048명에서 2007년에는 22만 5273명으로 꾸준히 늘어 전체 외국인의 20% ...

      국내에 체류 중인 전체 외국인 수가 사상처음으로 100만 명을 넘어섰다. 이 중 불법체류중인 미등록노동자들은 1997년 14만 8048명에서 2007년에는 22만 5273명으로 꾸준히 늘어 전체 외국인의 20% 이상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외국인노동자들은 내국인의 관심 밖에서 아주 조용히 가족 이산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실 앞에 외국인노동자들의 가족 형성의 권리를 되찾아 주고 우리 사회의 일원으로 받아들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노력의 과정으로 외국인노동자 가족을 위한 몇 가지 연구 목적을 갖는다.
      첫째, 기존 자료의 분석 및 외국인노동자에 관한 이해를 통해 가족이 겪을 만한 위기 상황들을 확인한다.
      둘째, 심층면접을 통해 그 위기들을 극복하게 하는 가족 적응유연성의 보호요인과 위험요인을 발견한다.
      셋째, 연구결과를 통해 동일한 어려움 가운데 처한 외국인 노동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찾는다.
      넷째, 외국인노동자 가족의 적응유연성 강화를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인 함의를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심층면접을 통한 현상학적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적응유연성 이론을 사용하였다. 심층면접의 대상자는 연구자가 약 2년 동안 봉사했던 외국인노동자서비스 모임에 정기적으로 참여하고 있는 필리핀 미등록노동자들 가운데 가족 형태를 대표할 수 있을 만한 사람 중 11명을 정하여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외국인노동자 가족의 적응유연성 가운데 보호요인으로는 첫째, 미래에 대한 기대감이다. 자신의 희생을 통해 가족이 행복해지고, 미래가 더 밝아질 수 있다는 믿음으로 한국에서의 힘겨운 생활을 이겨내고 있었다. 둘째는 종교적인 믿음이다. 필리핀에 있는 부친의 죽음과, 남편 없이 홀로 해결해야만 했던 일들 가운데 기도를 통해 해결하는 종교적 힘을 경험하고 있었다. 셋째, 가족 재결합의 노력이다. 외국인노동자 가족들이 한국에서 재결합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넷째, 발전된 정보통신 기술이다. 서로 얼굴을 직접 맞대고 만나서 이야기 할 수는 없지만, 화상통신 및 전화 등의 발전된 정보통신 기술로 말미암아 가족들과 지속적으로 만나고 있었다. 다섯째, 외국인노동자상담소의 도움이다. 연구자가 봉사하는 외국인노동자서비스 모임을 통해 얻은 도움과 지원으로 많은 부분 발견할 수 있었다. 여섯째, 긍정적인 개인의 기질이다. 개인의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성향이 자신의 가정에 처한 여러 가지 어려움들을 이겨내게 해 주는 힘이 되고 있었다.
      위험요인은 첫째, 새로운 가족 이산이다. 한국에서 자녀를 낳은 외국인노동자들이 자녀를 필리핀에 있는 부모님에게 보내 현실을 적응해 나가고 있었다. 둘째, ‘커플’의 생성이다. 본래의 아내와 남편이 필리핀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성 친구를 만들고 있는 것이다. 셋째, 무국적 상태의 아동이 발생하고 있다. 미등록노동자의 경우 자녀를 출산한 후 출입국사무소에 출생신고를 하지 못해 아동이 무국적상태에 놓이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넷째, 새로운 범법행위가 양산되고 있다. 한국행 비자를 발급받는 과정에서 돈을 주고 대리인을 통해 비자 인터뷰를 받게 하고 있었다. 다섯째는, 한국인의 편견 문화이다. 여섯째는, 의료적인 문제이다. 사실상 미등록노동자라고 하더라도 보건소 이용이 가능하지만 어떠한 혜택도 누리지 못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통한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로는 무국적 아동의 방지노력 강구, 가족 결합 권리의 보장, 종교시설 외국인노동자 상담소의 가족윤리회복 노력, 외국인노동자 수혜범위 확대 및 서비스 홍보의 강화, 그리고 국제화 시대로의 인식의 전환 등이 필요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number of foreigners staying in Korea has exceeded one million. Among them, the illegal-staying foreign workers increased from 148,048 in 1997 to 225,273 in 2007, which amounts to more than 20% of total foreigners in Korea. But foreign workers increasing in numbers are experiencing the misfortune of family dispersion unnoticed by and taking so little interest from native. In the face of such reality, it requires that we extend our attention for them to resume the right of family-building and to act as a member of our society.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 some suggestions for foreign worker's family with emphasis on following standpoints:
      Firstly,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data and understanding foreign workers, identifies various crisis circumstances foreign workers have to undergo.
      Secondly, through in-depth interview, identifies the protective and the risk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making foreign workers overcome the crisis.
      Thirdly, find out various data sources helpful to foreign workers suffering from same kinds of difficulties.
      Fourthly, explores practical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reinforcing resilience of foreign worker's famil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ith emphasis on in-depth interview, and resilience theory was adopted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arget interviewees of this research was eleven unregistered Philippines labor workers representing on the family pattern, who are regularly participating in the foreign workers meeting where the author has served for two years or so.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Among resilience protective factors, first is a prospective image of the future. Foreign workers were overcoming all sorts of hardship in Korea in the hope that their family can be rather happier and their future can be more promising. Second is a regional belief. Foreign workers were experiencing the religious power solving problems through prayer faced with , for example, the death of father in Philippines and things they had to fight alone without the help of husband. Third is efforts toward reunion of dispersed family members. Foreign workers are making constant efforts to reunion their family members in Korea. Fourth is the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y. Although they cannot sit together face to face, foreign workers were meeting continually with their families through multimedia communication such as video or picture phone. Fifth is the help from foreign workers counselor's service. By dint of help and support obtained through foreign workers service meeting for which author is serving, foreign workers were able to find a roadmap to a more positive way of thinking and life. Sixth is a positive cast of mind of each individual. Positive and affirmative disposition of individuals was an impetus to conquest all kinds of difficulties confronted with their family.
      Among resilience risk factors, first is a new family dispersion. Some foreign workers were adapting themselves to circumstances, with their children in their parents' care in Philippines left. Second is a creation of new 'couple'. Foreign workers were making a new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have married partners in the Philippines. Third is the occurrence of stateless babies. Unregistered labor workers are not admitted to have the birth of their child registered to Immigration Bureau, and their children remain stateless. Fourth is the increase of new kinds of violation of law. When applying for an entry visa for Korea, visa interview through illegal commission-based acting applicant is prevailing. Fifth is Korean's biased attitude toward foreign cultures. Sixth is medical issue. Even if unregistered workers can receive medical service of public health system, they were outside of medical benefits of any kind.
      Practical social-welfare implies following four points. First, devising a proper measure to prevent stateless babies. Second, guarantee of right of family consolidation. Third, religious body's efforts to support counselor's office for foreign workers to recover home-ethics. Fourth, broadening of medical service range to foreign workers, reinforced public information of medical service, and mind-set change-over corresponding to globalization.
      The research showed that in addition to the protective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theory,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fforts toward reunion of dispersed family members. Also, the research confirmed the importance of counselor's office for foreign workers to recover home-ethics.
      번역하기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number of foreigners staying in Korea has exceeded one million. Among them, the illegal-staying foreign workers increased from 148,048 in 1997 to 225,273 in 2007, which amounts to more than 20% of total foreigners in...

      For the first time in history, the number of foreigners staying in Korea has exceeded one million. Among them, the illegal-staying foreign workers increased from 148,048 in 1997 to 225,273 in 2007, which amounts to more than 20% of total foreigners in Korea. But foreign workers increasing in numbers are experiencing the misfortune of family dispersion unnoticed by and taking so little interest from native. In the face of such reality, it requires that we extend our attention for them to resume the right of family-building and to act as a member of our society.
      Therefore, this research investigate some suggestions for foreign worker's family with emphasis on following standpoints:
      Firstly,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data and understanding foreign workers, identifies various crisis circumstances foreign workers have to undergo.
      Secondly, through in-depth interview, identifies the protective and the risk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making foreign workers overcome the crisis.
      Thirdly, find out various data sources helpful to foreign workers suffering from same kinds of difficulties.
      Fourthly, explores practical social welfare implications for reinforcing resilience of foreign worker's family.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phenomenological approach with emphasis on in-depth interview, and resilience theory was adopted for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Target interviewees of this research was eleven unregistered Philippines labor workers representing on the family pattern, who are regularly participating in the foreign workers meeting where the author has served for two years or so.
      The research result is as follows:
      Among resilience protective factors, first is a prospective image of the future. Foreign workers were overcoming all sorts of hardship in Korea in the hope that their family can be rather happier and their future can be more promising. Second is a regional belief. Foreign workers were experiencing the religious power solving problems through prayer faced with , for example, the death of father in Philippines and things they had to fight alone without the help of husband. Third is efforts toward reunion of dispersed family members. Foreign workers are making constant efforts to reunion their family members in Korea. Fourth is the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y. Although they cannot sit together face to face, foreign workers were meeting continually with their families through multimedia communication such as video or picture phone. Fifth is the help from foreign workers counselor's service. By dint of help and support obtained through foreign workers service meeting for which author is serving, foreign workers were able to find a roadmap to a more positive way of thinking and life. Sixth is a positive cast of mind of each individual. Positive and affirmative disposition of individuals was an impetus to conquest all kinds of difficulties confronted with their family.
      Among resilience risk factors, first is a new family dispersion. Some foreign workers were adapting themselves to circumstances, with their children in their parents' care in Philippines left. Second is a creation of new 'couple'. Foreign workers were making a new relationship with the opposite sex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have married partners in the Philippines. Third is the occurrence of stateless babies. Unregistered labor workers are not admitted to have the birth of their child registered to Immigration Bureau, and their children remain stateless. Fourth is the increase of new kinds of violation of law. When applying for an entry visa for Korea, visa interview through illegal commission-based acting applicant is prevailing. Fifth is Korean's biased attitude toward foreign cultures. Sixth is medical issue. Even if unregistered workers can receive medical service of public health system, they were outside of medical benefits of any kind.
      Practical social-welfare implies following four points. First, devising a proper measure to prevent stateless babies. Second, guarantee of right of family consolidation. Third, religious body's efforts to support counselor's office for foreign workers to recover home-ethics. Fourth, broadening of medical service range to foreign workers, reinforced public information of medical service, and mind-set change-over corresponding to globalization.
      The research showed that in addition to the protective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theory, advanced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efforts toward reunion of dispersed family members. Also, the research confirmed the importance of counselor's office for foreign workers to recover home-ethic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1
      • 1.1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 1.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3
      • 1.3 연구의 한계 = 4
      • 2. 이론적 배경 = 5
      • 1. 서론 = 1
      • 1.1 문제제기 및 연구의 필요성 = 1
      • 1.2 연구목적 및 연구문제 = 3
      • 1.3 연구의 한계 = 4
      • 2. 이론적 배경 = 5
      • 2.1 외국인노동자에 관한 이해 = 5
      • 2.2 선행연구 = 12
      • 2.3 적응유연성(resilience) = 16
      • 2.3 가족 적응유연성(family resilience) = 19
      • 3. 연구방법 = 27
      • 3.1 연구방법론 = 27
      • 3.2 연구설계 = 34
      • 4. 연구결과 = 43
      • 4.1 필리핀노동자 가족의 보호요인 = 44
      • 4.1.1 미래에 대한 기대감 = 44
      • 4.1.2 종교적인 믿음 = 46
      • 4.1.3 가족 재결합의 노력 = 48
      • 4.1.4 발전된 정보통신 기술 = 49
      • 4.1.5 외국인노동자 상담소의 도움 = 51
      • 4.1.6 긍정적인 개인의 기질 = 52
      • 4.2 필리핀노동자 가족의 위험요인 = 54
      • 4.2.1 새로운 가족 이산 = 54
      • 4.2.2 ‘커플’의 생성 = 59
      • 4.2.3 무국적 상태의 아동 = 61
      • 4.2.4 새로운 범법행위의 양산 = 62
      • 4.2.5 편견의 문화 = 63
      • 4.2.6 의료적인 문제 = 64
      • 5. 결론 및 제언 = 66
      • 5.1 연구결과의 요약 = 66
      • 5.2 사회복지 실천적 함의 = 71
      • 5.3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 = 80
      • 참고문헌 = 81
      • 심층면담 기초 질문서 = 86
      • ABSTRACT = 8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