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행복감 및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 The Effects of Parents’ Positive·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 s Life Satisfaction: Mediating effects of happiness and social withdrawa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0682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positive·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 s life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 s feelings of happiness and social withdrawal. Me...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arents’ positive·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children s life satisfaction,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children s feelings of happiness and social withdrawal. Methods For this purpose, data from the 2018 1st year data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was used, model fit was verified using SPSS 26 and AMOS 26, and bootstrap was perform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567 children in 4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Results First,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f the pare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 s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parenting attitude of parent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children s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happiness of children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 s life satisfaction, and there w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Third, children’s social withdrawal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s’ positive parenting attitude and children’s life satisfaction, but there w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between negative parenting attitude and life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policies and programs in the future so that children can improve their sense of well-being and reduce their sense of social withdrawa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동의 행복감 및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

      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아동의 행복감 및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1차 년도 자료를 SPSS 26과 AMOS 26을 이용하여 모형적합도 검증과 매개효과 검증을 위한 부트스트랩핑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초등학교 4학년 2,567명(남아 1,296명, 여아 1,271명)이다. 결과 첫째,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반면,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는 아동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아동의 행복감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부정적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아동의 사회적 위축은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는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부정적 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는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결론 아동의 행복감을 향상시키고 사회적 위축감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향후 다양한 정책 마련과 프로그램 개발 등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시사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선이,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 및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 이훈구, "행복의 심리학 : 주관적 안녕" 법문사 1997

      3 김태명,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13-333, 2017

      4 김승권, "한국인의 행복 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5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2015"

      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유저 가이드"

      7 이봉주,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종합지수 연구" 세이브더칠드런 2013

      8 이재경,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40) : 41-71, 2012

      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0 신영미, "코로나19로 인한 빈곤가정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와 행복감의 관계" 한국아동권리학회 25 (25): 227-245, 2021

      1 박선이, "행복증진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행복감 및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중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 이훈구, "행복의 심리학 : 주관적 안녕" 법문사 1997

      3 김태명, "한국판 청소년용 동기모형 부모양육태도척도(PSCQ_KA)의 타당화" 한국청소년학회 24 (24): 313-333, 2017

      4 김승권, "한국인의 행복 결정요인과 행복지수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8

      5 이정림, "한국아동패널 2015"

      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유저 가이드"

      7 이봉주, "한국 아동의 삶의 질에 관한 종합지수 연구" 세이브더칠드런 2013

      8 이재경, "학령기 아동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종단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40) : 41-71, 2012

      9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10 신영미, "코로나19로 인한 빈곤가정 아동・청소년의 일상생활 변화와 행복감의 관계" 한국아동권리학회 25 (25): 227-245, 2021

      11 정이나,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2 신성철, "초등학생의 학교 행복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과 적응유연성의 이중 매개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265-280, 2015

      13 엄창섭, "초등학생 자녀가 인식하는 부모양육태도와주관적 행복감의 관계 연구" 웨스트민스터신학대학원대학교 2018

      14 천희영, "초등학교 5학년 아동의 삶의 만족도 관련 변인의 유형화 연구" 한국아동학회 35 (35): 71-92, 2014

      15 김경연, "초기 청소년의 학년에 따른 개인적 변인,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간의 인과적 관련성" 대한가정학회 52 (52): 483-494, 2014

      16 황진현,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의 매개효과"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2017

      17 김혜선,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가정과삶의질학회 34 (34): 77-88, 2016

      18 이상록, "청소년의 행복감이 청소년 발달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소 26 (26): 413-438, 2015

      19 윤선아, "청소년의 생애목표와 부모 양육태도, 정서문제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6 (16): 909-932, 2016

      20 김인,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 및 부모 양육 태도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 22 (22): 681-690, 2021

      21 성경주, "청소년의 내재화 문제행동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자아탄력성과 직업선택의식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5 (25): 235-255, 2018

      22 신지영,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또래괴롭힘과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와 충동성의 중다매개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4

      23 최인숙, "중학생의 부모, 또래 및 교사 관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 -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와 성차 검증 -" 교육과학연구소 43 (43): 105-129, 2012

      24 이현송, "주관적 삶의 질의 구성과 결정요인" 1 : 185-206, 1999

      25 노경섭,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 SPSS &AMOS" 한빛아카데미 2019

      26 고혜영, "자아존중감과 또래애착을 매개로 한 부모양육태도와 중학생의 삶의 만족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27 윤미리, "어머니와 자녀의 그릿(Grit)과 행복감,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교육문제연구소 33 (33): 1-24, 2020

      28 류정희, "아동종합실태조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9

      29 정현정,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관계의 사회적 자본, 자아탄력성, 사회 인구학적 변인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7 (7): 21-42, 2011

      30 문예은,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부모양육태도 및 부모와 대화시간의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7 (17): 85-104, 2021

      31 정은우,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20

      32 유민상, "아동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33 장은영, "아동의 삶의 질에 대한 개념 분석" 11 (11): 127-137, 2008

      34 좌현숙, "아동기 사회적 위축문제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요인: 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7 (27): 257-271, 2018

      35 유민상, "아동⋅청소년 삶의 질 지표 분석 결과" 통계청 2019

      36 유미숙, "아동 및 청소년이 지각하는 행복에 대한 인식 연구" 가정과삶의질학회 31 (31): 15-26, 2013

      37 김선희, "아동 및 청소년의 행동 문제척도개발" 16 (16): 155-166, 1998

      38 김정호,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건강심리학회 12 (12): 325-345, 2007

      39 이운경, "사회적 위축 및 부모의 과잉간섭과 지역사회 인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6 (16): 205-217, 2018

      40 송혜리, "빈곤중학생의 사회적 위축과 행복감의 관계에서 그릿의 조절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20

      41 김은아, "부정적 양육방식이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과 또래관계의 중다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3 (23): 155-176, 2016

      42 조예진, "부정적 양육과 사회적 위축이 청소년 비행피해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6 (26): 59-81, 2015

      43 정휘경, "부모의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아동의 자아존중감이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위축의 매개효과"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41) : 195-219, 2018

      44 허자연, "부모의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삶의 만족도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부모구성에 따른 다집단분석" 한국융합학회 11 (11): 161-176, 2020

      45 이미영,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사)한국청소년문화연구소 (64) : 115-135, 2020

      46 서선숙, "부모의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세대학교 대학원 2017

      47 한호종,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녀의 삶의 만족도에미치는 영향과 생애목표의 매개효과" 우석대학교 대학원 2015

      48 박혜정, "부모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공격성과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0 (20): 406-416, 2020

      49 전란영, "부모의 비일관적 양육 및 과잉간섭적 양육이 초기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시설환경학회 14 (14): 57-67, 2016

      50 남승은,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청소년 정서⋅행동문제와의 관계에서 삶의 만족도 매개효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7

      51 서선숙,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교육연구소 26 (26): 497-512, 2020

      52 조성남,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칼빈대학교 대학원 2021

      53 신혜숙, "부모양육태도가 부모자녀 대화시간과 자기주도학습을 매개로 초기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소 42 (42): 199-223, 2021

      54 구본호, "부모-자녀의 자아존중감과 그릿, 아동기 자녀의 사회적 위축 간의 구조적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의 적용" 한국청소년학회 28 (28): 191-216, 2021

      55 정경미, "남자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문제의 하위 발달경로 확인: 성장모형을 적용한 2년간의 종단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32 (32): 177-197, 2013

      56 최은희, "국민 연령별 삶의 만족도 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산업연구원 2018

      57 이소현, "교사-아동 관계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수행능력 및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한국아동교육학회 29 (29): 159-177, 2020

      58 이봉주, "가정환경과 아동의 삶의 질"

      59 Proctor, C. L., "Youth life satisfaction : A review of the literature" 10 : 583-630, 2009

      60 Diener, E. 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61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 three decades of progress" 125 : 276-302, 1999

      62 Chronis-Tuscano, A., "Stable early maternal report of behavioral inhibition predicts lifetime social anxiety disorder in adolescence" 48 : 928-935, 2009

      63 Rubin, K. H., "Social withdrawal in childhood" 60 : 141-171, 2009

      64 McKnight, C. G., "Relationships among stressful life events, temperament, problem behavior, and global life satisfaction in adolescents" 39 : 677-687, 2002

      65 Rubin, K. H., "Paying Attention to and Not Neglecting Social Withdrawal and Social Isolation" 50 (50): 506-534, 2004

      66 OECD, "OECD Guidelines on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OECD Publishing 2013

      67 Huebner, E. S., "Initial development of the student’s life satisfaction scale" 12 : 231-240, 1991

      68 Daly, M. C., "Happiness, unhappiness, and suicide: An empirical assessment" 7 (7): 539-549, 2009

      69 Suldo, S. M., "Does life satisfaction moderate the effects of stressful life events on psychopathological behavior during adolescence?" 19 (19): 93-105,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