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중,고 학생의 정책 토론 입론 양상 분석-피해와 내재성 쟁점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Elementary/Middle/High School Students` Arguments for Policy Debates -With Emphasis on the Issue of Harm and Inhere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08378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토론 교육 내용 마련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중·고 학습자의 실제 토론 양상을 피해와 내재성 쟁점으로 분석하였다. 필수 쟁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피해 쟁점에 대해서는 피해의 양적 심각성, 피해의 질적 심각성이라는 요건을 설정하고 내재성쟁점에 대해서는 문제의 구조적 내재성, 문제의 태도적 내재성이라는 요건을 설정하여 표본에 대한 분석 틀로 사용하였다. 분석한 표본은 초등학교 5개, 중학교 10개, 고등학교 5개이었다. 토론 영상의 담화를 전사하여 분석하여 기준 충족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국 규모 토론 대회 결승전에 참여한 고등학생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건을 충실하게 충족하였다. 특히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경우 피해의 질적 심각성이나 문제의 태도적 내재성 등 문제 상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에서 분석한 토론 영상은 교실 토론부터 토론 대회까지 참여 형태가 다양하고 학습자의 수준이 균질하지 않아 학교급별 토론 현상을 일반화하는 데는 제약이 있다. 하지만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마련한 분석 기준과 그에 따라 질적으로 분석한 학습자의 토론 양상은 수준별 토론 교육의 내용을 충실하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토론 교육 내용 마련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중·고 학습자의 실제 토론 양상을 피해와 내재성 쟁점으로 분석하였다. 필수 쟁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피해 쟁점�...

      이 연구는 토론 교육 내용 마련에 기여하기 위한 목적으로 초·중·고 학습자의 실제 토론 양상을 피해와 내재성 쟁점으로 분석하였다. 필수 쟁점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피해 쟁점에 대해서는 피해의 양적 심각성, 피해의 질적 심각성이라는 요건을 설정하고 내재성쟁점에 대해서는 문제의 구조적 내재성, 문제의 태도적 내재성이라는 요건을 설정하여 표본에 대한 분석 틀로 사용하였다. 분석한 표본은 초등학교 5개, 중학교 10개, 고등학교 5개이었다. 토론 영상의 담화를 전사하여 분석하여 기준 충족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국 규모 토론 대회 결승전에 참여한 고등학생은 초등학생과 중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요건을 충실하게 충족하였다. 특히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경우 피해의 질적 심각성이나 문제의 태도적 내재성 등 문제 상황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에서 분석한 토론 영상은 교실 토론부터 토론 대회까지 참여 형태가 다양하고 학습자의 수준이 균질하지 않아 학교급별 토론 현상을 일반화하는 데는 제약이 있다. 하지만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마련한 분석 기준과 그에 따라 질적으로 분석한 학습자의 토론 양상은 수준별 토론 교육의 내용을 충실하게 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middle/high school learners` actual debates in terms of harm and inherency to contribute to debate trai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tock issues, the quantitative significance of harm and the qualitative significance of harm were set as the conditions of harm issues, while the structural inherency of issues and the attitudinal inherency of issues were set as the conditions of inherency issues for the analysis of samples. The samples of the analysis were 5 elementary schools, 10 middle schools, and 5 high schools. The discourses from the videos of debates were transcrib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standard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high school students satisfied the conditions more tha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cas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y lacked in-depth analysis of problems, such as the qualitative significance of harms or the attitudinal inherency of issues. The videos analyzed in this study contained various forms of debates from the class debates to the debate competitions and the level of learners was not equal. Therefore, they have limitations when generalizing the debates in each level of school. Nevertheless, the standards of analys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qualitatively analyzed debates of learner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debate training for students in each level.
      번역하기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middle/high school learners` actual debates in terms of harm and inherency to contribute to debate trai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tock issues, the quantitative significance of harm and the qualitative ...

      This study analyzed elementary/middle/high school learners` actual debates in terms of harm and inherency to contribute to debate training.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tock issues, the quantitative significance of harm and the qualitative significance of harm were set as the conditions of harm issues, while the structural inherency of issues and the attitudinal inherency of issues were set as the conditions of inherency issues for the analysis of samples. The samples of the analysis were 5 elementary schools, 10 middle schools, and 5 high schools. The discourses from the videos of debates were transcribed to analyze the satisfaction of standard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high school students satisfied the conditions more tha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In cas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they lacked in-depth analysis of problems, such as the qualitative significance of harms or the attitudinal inherency of issues. The videos analyzed in this study contained various forms of debates from the class debates to the debate competitions and the level of learners was not equal. Therefore, they have limitations when generalizing the debates in each level of school. Nevertheless, the standards of analys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the qualitatively analyzed debates of learner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improving the quality of debate training for students in each level.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근복, "합리적 정책토론의 구조와 운용" 한국공공관리학회 27 (27): 27-52, 2013

      2 박삼열, "토론의 설득 방식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중앙철학연구소 32 : 251-281, 2012

      3 임칠성, "토론의 본질과 토론 지도" 한국화법학회 (18) : 103-130, 2011

      4 박승억, "토론과 논증" 형설출판사 2011

      5 김수정, "토론 담화에 나타난 토론 양상 및 표지어 분석 연구 -제1회 경북 학생 3담꾼(群) 토론대회 군(郡)부 결승전 자료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 29-54, 2013

      6 한현숙, "토론 능력 발달 양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7 박종훈, "토론 교육의 내용 설정 방향"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 115-146, 2013

      8 이선영, "토론 교육 내용 체계 연구 : 초·중·고 토론대회 담화 분석을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9 전은주, "토론 교수-학습 설계를 위한조건 변인 분석" 국어교육학회 (20) : 433-460, 2004

      10 서현석, "초등학교 토론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 한국화법학회 (18) : 73-102, 2011

      1 강근복, "합리적 정책토론의 구조와 운용" 한국공공관리학회 27 (27): 27-52, 2013

      2 박삼열, "토론의 설득 방식에 대한 수사학적 고찰" 중앙철학연구소 32 : 251-281, 2012

      3 임칠성, "토론의 본질과 토론 지도" 한국화법학회 (18) : 103-130, 2011

      4 박승억, "토론과 논증" 형설출판사 2011

      5 김수정, "토론 담화에 나타난 토론 양상 및 표지어 분석 연구 -제1회 경북 학생 3담꾼(群) 토론대회 군(郡)부 결승전 자료를 바탕으로-"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 29-54, 2013

      6 한현숙, "토론 능력 발달 양상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7 박종훈, "토론 교육의 내용 설정 방향"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 115-146, 2013

      8 이선영, "토론 교육 내용 체계 연구 : 초·중·고 토론대회 담화 분석을 바탕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1

      9 전은주, "토론 교수-학습 설계를 위한조건 변인 분석" 국어교육학회 (20) : 433-460, 2004

      10 서현석, "초등학교 토론 교육의 내용 체계 연구" 한국화법학회 (18) : 73-102, 2011

      11 허경호, "정책토론의 방법, Policy Debate Manual, Emory National Debate Institute"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2 염재호, "정책토론의 논리와 수사 - 사회자의 관점에서 본 시사토론의 설득과 수사" 한국수사학회 (2) : 81-93, 2005

      13 박재현, "정책 토론의 입론 구성 교육 내용 연구" 우리말글학회 60 : 93-121, 2014

      14 이상철, "스피치와 토론"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6

      15 이두원, "논쟁 : 입장과 시각의 설득"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16 박재현, "국어교육을 위한 의사소통 이론" (주)사회평론 2013

      17 이창덕, "국어과 토론교육의 의의와 발전 방향" 국어교육학회(since1969) 52 (52): 1-28, 2013

      18 류성기, "교사의 경험론적 판단에 근거한 초등학생 단계적 토론 능력"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50) : 247-284, 2012

      19 Ericson, J. M., "The Debater’s Guid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2011

      20 Edwards, R. E., "Competitive Debate: The Official Guide" Penguin Group 2008

      21 Phillips, L., "Basic Debate" The McGraw-Hill Company 2006

      22 Freeley, A. J., "Argumentation and Debate" Cengage Learning 2013

      23 민병곤, "6,9,10학년 학습자의 소집단 토론에 대한 질적 분석 및 교육적 시사" 한국어교육학회 (116) : 67-104,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6-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peech Research -> Journal of Speech Communica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9 0.89 0.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91 1.348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