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다문화가족 부부의 결혼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arital Adjustment Factors among Multicultural Coupl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03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대전·충청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가족 부부를 대상으로 그들의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부부간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남...

      본 논문은 대전·충청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다문화가족 부부를 대상으로 그들의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부부간에는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 하였다. 그 결과, 남편들의 경우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의사소통 효율성이 높을수록, 자문화 전달태도를 취할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결혼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아내들은 결혼기간이 짧을수록, 의사소통 효율성이 높을수록, 다문화 수용 태도와 자문화 전달태도를 취할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결혼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요약하면 부부간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자문화 전달태도, 즉 문화적응이 결혼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성별에 따른 결혼생활의 차이를 이해하고, 부부사이의 친밀도를 더욱 높여 긍정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데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가족 부부의 결혼적응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가족복지실천방안에 대해서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adjustment of coupl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husbands and wives in that regard. It`s basically meant to get a grip on gender gap in 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factors affecting the marital adjustment of coupl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any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the husbands and wives in that regard. It`s basically meant to get a grip on gender gap in marriage life to boost the intimacy and relationship of married couples. The subject in this study were couple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he regions of Daejeon and Chungcheong province, who included 130 husbands and 153 wives. A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concerning factors affecting marital adjustment, the husbands were better adjusted when they had fewer children, when they had a more efficient communication with their wives, when they made more efforts to convey Korean Culture to their wives, and when they suffered less stress due to cultural adjustment. In the event of the wives, a shorter length of marriage life, higher communication efficiency, better receptive attitude to multiculture, stronger attitude of conveying native culture to spouses and less cultural adjustment stress led to better marital adjustment. The above-mentioned findings suggested that conjugal communication efficiency and cultural adjustment have the most crucial impact on satisfaction level with marriage lif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숙현, "한국 근로자계층 부부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22 : 161-181, 1988

      2 고선주, "취업부부의 부모기 전이후 부모로서의 긴장감, 지배감, 성역할태도와 결혼적응" 35 (35): 17-32, 1997

      3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6

      4 유명기,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문화" 12 (12): 69-98, 1997

      5 김민경,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18): 33-76, 2006

      6 장휘숙, "애착과 의사소통 능력 및 결혼관계 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 (20): 17-32, 2007

      7 김연수,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1 (21): 217-252, 2007

      8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1985

      9 최규련,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Ⅰ)" 22 (22): 91-102, 1984

      10 채옥희,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61-74, 2007

      1 이숙현, "한국 근로자계층 부부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22 : 161-181, 1988

      2 고선주, "취업부부의 부모기 전이후 부모로서의 긴장감, 지배감, 성역할태도와 결혼적응" 35 (35): 17-32, 1997

      3 김오남,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요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2006

      4 유명기, "외국인 노동자와 한국문화" 12 (12): 69-98, 1997

      5 김민경, "여성 결혼이민자의 부부갈등 및 학대에 관한 연구-사회문화적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18 (18): 33-76, 2006

      6 장휘숙, "애착과 의사소통 능력 및 결혼관계 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 (20): 17-32, 2007

      7 김연수, "서울지역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행복감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1 (21): 217-252, 2007

      8 박지원, "사회적 지지 척도 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1985

      9 최규련, "부부의 성역할태도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Ⅰ)" 22 (22): 91-102, 1984

      10 채옥희, "베트남 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사례연구" 한국생활과학회 16 (16): 61-74, 2007

      11 이미숙, "맞벌이부부의 성역할태도와 성역할정체감이 가사분담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심여자대학교 16 (16): 153-173, 1996

      12 계선자, "다문화가족의 결혼생활 관련요인 분석- 용산구 다문화가족 사례연구를 중심으로 -"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3 (13): 31-57, 2009

      13 강기정, "다문화 가족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관련 변인"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13 (13): 123-136, 2009

      14 권복순, "농촌지역 코시안가정주부의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정체성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58 (58): 109-134, 2006

      15 한건수, "농촌 지역 결혼 이민자 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 39 (39): 195-243, 2006

      16 양순미, "농촌 국제결혼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영향 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 11 (11): 223-252, 2006

      17 장온정, "국제결혼한 한국 남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2007

      18 신란희,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일 그리고 정체성" 서울대학교 2005

      19 윤형숙,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in: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 아카데미 321-349, 2004

      20 김근식, "국제결혼 남편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자치행정학회 23 (23): 225-249, 2009

      21 김민경, "국제결혼 남성의 “부부되기”에 대한 문화기술지" 한국가족관계학회 14 (14): 179-211, 2009

      22 강혜숙, "결혼초기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안정성에 관련된 요인" 한국가족치료학회 16 (16): 135-156, 2008

      23 구차순, "결혼이주여성의 적응에 관한 근거이론연구" 부산대학교 2007

      24 김현숙,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복지학회 62 (62): 135-159, 2010

      25 추현화, "결혼이주여성 남편의 가족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3 (13): 85-101, 2008

      26 장온정, "결혼이민자가정 한국인 남편의 가족관련 가치관 및 문화적응태도가 결혼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학회 21 (21): 1-27, 2009

      27 이은주, "결혼이민여성 부부집단 프로그램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시론적 연구 -필리핀 여성 부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학회 19 (19): 29-60, 2007

      28 조혜선, "결혼만족도의 결정요인 경제적 자원, 성 역할관, 관계성 모델의 비교" 한국사회학회 37 (37): 5-115, 2003

      29 유영주, "가족관계학" 교문사 1999

      30 Lewis, R. A., "Theorizing about the quality and stability of marriage. in: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research-based theories. v.1" Free Press 268-294, 1979

      31 Burgess, E. W., "The Family: from institution to companionship" American Book Company 1960

      32 Imamura, A. E., "Strangers in a strange land: coping with marginality in international marriage" 21 (21): 171-191, 1990

      33 Cobb, S.,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38 (38): 300-314, 1976

      34 Bradbury, T. N., "Research on the nature and determinants of marital satisfaction: a decade in review" 62 (62): 964-980, 2000

      35 Chinitz, J. G., "Religious homogamy, marital conflict, and stability in samefaith and interfaith Jewish marriages" 40 (40): 723-733, 2001

      36 Hovey, D. J., "Psychosocial Predi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in Central American Immigrants" 1 (1): 187-194, 1999

      37 Patterson, F. M.,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rom the lives of aging international migrant women" 47 (47): 25-37, 2004

      38 Baltas, Z., "Migration, culture conflic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urkish-British married couples" 5 (5): 173-180, 2000

      39 Redfield, R., "Memorandum on the study of acculturation" 38 : 149-152, 1936

      40 Spanier, G. B., "Measuring dyadic adjustment: new scales for assessing the quality of marriage and similar dyads" 38 (38): 15-28, 1976

      41 Bienvenu, M. J.,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19 (19): 26-30, 1970

      42 Remennick, L., "Exploring intercultural relationships: a study of Russian immigrants married to native Israelis" 40 (40): 719-738, 2009

      43 Sandhu, D. S., "Development of an acculturative stress scale for international student: preliminary findings" 75 (75): 435-448, 1994

      44 Cottrell, A. B., "Cross-national marriages: a review of the literature" 21 (21): 151-169, 1990

      45 Seto, A., "Cross-national couples in the mainland United States" 15 : 258-264, 2007

      46 Kosic, A., "Acculturation strategies, coping process, and acculturative stress" 45 : 269-278, 2004

      47 Berry, J. W., "Acculturation as varieties of Adaptation. in: Acculturation: theories, models and some new findings" Westvies 9-25, 1980

      48 Brock, R. L., "A longitudianl investigation of stress spillover in marriage: does spousal support adequacy buffer the effects?" 22 : 11-20, 2008

      49 박재규, "<논문>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농촌생활 적응 관련 요인 분석: 전북 지역 사례"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9 (29): 67-84, 2006

      50 통계청, "2009년 혼인통계결과" 통계청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4-25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건사회연구
      외국어명 :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SCOPUS 등재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9 1.79 1.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06 2.16 2.497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