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금현, "현대국어 신어의 유형 분류 및 생성 원리" 국어학회 33 : 295-325, 1999
2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2016
3 이찬영, "한국어 합성명사의 형성과 해석 연구: ‘N+N’형 임시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23
4 임지룡, "한국어 의미론" 한국문화사 2018
5 오규환, "한국어 어휘 단위의 형성과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2016
6 정예은, "한국어 신어의 문화 맥락 의미 형성" 연세대학교 2022
7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누리집)" 2023
9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10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한국문화사 2019
1 문금현, "현대국어 신어의 유형 분류 및 생성 원리" 국어학회 33 : 295-325, 1999
2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2016
3 이찬영, "한국어 합성명사의 형성과 해석 연구: ‘N+N’형 임시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23
4 임지룡, "한국어 의미론" 한국문화사 2018
5 오규환, "한국어 어휘 단위의 형성과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2016
6 정예은, "한국어 신어의 문화 맥락 의미 형성" 연세대학교 2022
7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누리집)" 2023
9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10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한국문화사 2019
11 한글학회, "큰사전" 을유문화사 1957
12 남길임 ; 안진산, "의미적 신어의 출현 및 정착 양상 연구" 한글학회 83 (83): 415-449, 2022
13 송현주, "의미적 신어와 신어의 의미 관계" 한국어의미학회 76 : 103-131, 2022
14 남길임 ; 이수진 ; 최준, "웹 말뭉치를 활용한 의미적 신어의 연구 동향과 쟁점" 한국사전학회 (31) : 55-84, 2018
15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6 정예은, "어휘의미의 공인화 연구를 위하여" 국어학회 (107) : 377-416, 2023
17 정한데로, "어휘 변화의 세 방향- ‘보-’를 중심으로 -" 형태론 14 (14): 25-52, 2012
18 정한데로, "신어의 형성과 빈도 변화에 관한 일고찰 - 2004년 신어를 중심으로 -" 한글학회 (310) : 171-204, 2015
19 정한데로, "신어의 탄생, 사회와 문화를 담다" 국립국어원 29 (29): 9-23, 2019
20 국립국어연구원, "신어의 조사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4
21 정한데로, "신어 형성에 관한 몇 문제" 한국어의미학회 76 : 27-63, 2022
22 정한데로, "신어 형성과 어휘 변화 -‘1994년 의미적 신어’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107) : 133-166, 2023
23 임지룡, "새 낱말 창조의 인지적 연구" 국어교육연구회 29 : 1-33, 1997
24 정한데로, "발견을 위한 한국어 단어형성론"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9
25 구본관, "단어형성론 논의의 확장을 위하여- 양정호(2008)에 답함 -" 형태론 12 (12): 111-119, 2010
26 정한데로, "단어의 공인화에 관한 고찰" 국어학회 (74) : 233-266, 2015
27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8 김민수,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1
29 송원용, "국어의 단어형성체계 재론" 진단학회 (104) : 105-126, 2007
30 이희승, "국어대사전(수정 증보판)" 민중서림 1982
3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한국어대사전(누리집)" 2023
32 정한데로, "‘신어의 삶’에 관한 탐색 -2002년~2004년 신어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83) : 119-152, 2017
33 Cruse, A., "Lexical Seman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4 Murphy, M. L., "Lexical Mea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5 Bauer, L., "English Word–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36 Boussidan, A., "Dynamics of semantic change: detecting, analyzing and medeling semantic change in corpus in short diachrony" Universite Lumiere 2013
37 남길임 ; 이수진 ; 강범일, "'프레임'의 언어학 -의미적 신어 ‘프레임’에 대한 말뭉치언어학적 분석-" 한국어의미학회 65 : 135-163,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