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단어 사용의 변화와 다의어 생성 = Changes in Word Usage and the Generation of Polyse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725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rds are first created by the speaker’s naming motivation, and then live out their lives in the speech community, influenced by the speaker’s preferences. Some words are expressed in a new form due to the emergence of a new meaning (concept), while in other cases, a word that has already existed is used as a variation meaning to which a metaphor is applied in a specific context and then becomes a polysemy as a result of its fixed meaning. The latter are widely known as semantic neologism, as they have no new form, only a new meaning added to them. I focus on the polysemous words kephum ‘bubble’, ttekkaps ‘rice cake expense’, and kyothongcengli ‘traffic control’, which acquired new meanings while maintaining their existing forms, and examine how new meanings emerged and spread in Korean society in close relation to social factors based on the appearance patterns in the articles of five newspapers. The traditional focus on polysemy has predominantly centered on the result–oriented perspective of words with multiple meanings (senses). However, this article aims to interpret the polysemy with a complex nature that involves both (1) the generation of new meanings and (2) the change in meaning of existing words (semantic extension) from a process–oriented perspective.
      번역하기

      Words are first created by the speaker’s naming motivation, and then live out their lives in the speech community, influenced by the speaker’s preferences. Some words are expressed in a new form due to the emergence of a new meaning (concept), whi...

      Words are first created by the speaker’s naming motivation, and then live out their lives in the speech community, influenced by the speaker’s preferences. Some words are expressed in a new form due to the emergence of a new meaning (concept), while in other cases, a word that has already existed is used as a variation meaning to which a metaphor is applied in a specific context and then becomes a polysemy as a result of its fixed meaning. The latter are widely known as semantic neologism, as they have no new form, only a new meaning added to them. I focus on the polysemous words kephum ‘bubble’, ttekkaps ‘rice cake expense’, and kyothongcengli ‘traffic control’, which acquired new meanings while maintaining their existing forms, and examine how new meanings emerged and spread in Korean society in close relation to social factors based on the appearance patterns in the articles of five newspapers. The traditional focus on polysemy has predominantly centered on the result–oriented perspective of words with multiple meanings (senses). However, this article aims to interpret the polysemy with a complex nature that involves both (1) the generation of new meanings and (2) the change in meaning of existing words (semantic extension) from a process–oriented perspectiv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문금현, "현대국어 신어의 유형 분류 및 생성 원리" 국어학회 33 : 295-325, 1999

      2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2016

      3 이찬영, "한국어 합성명사의 형성과 해석 연구: ‘N+N’형 임시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23

      4 임지룡, "한국어 의미론" 한국문화사 2018

      5 오규환, "한국어 어휘 단위의 형성과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2016

      6 정예은, "한국어 신어의 문화 맥락 의미 형성" 연세대학교 2022

      7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누리집)" 2023

      9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10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한국문화사 2019

      1 문금현, "현대국어 신어의 유형 분류 및 생성 원리" 국어학회 33 : 295-325, 1999

      2 최형용, "한국어 형태론" 역락 2016

      3 이찬영, "한국어 합성명사의 형성과 해석 연구: ‘N+N’형 임시어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2023

      4 임지룡, "한국어 의미론" 한국문화사 2018

      5 오규환, "한국어 어휘 단위의 형성과 변화 연구" 서울대학교 2016

      6 정예은, "한국어 신어의 문화 맥락 의미 형성" 연세대학교 2022

      7 구본관, "한국어 문법 총론 Ⅰ" 집문당 2015

      8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누리집)" 2023

      9 국립국어연구원, "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10 남기심, "표준 국어문법론" 한국문화사 2019

      11 한글학회, "큰사전" 을유문화사 1957

      12 남길임 ; 안진산, "의미적 신어의 출현 및 정착 양상 연구" 한글학회 83 (83): 415-449, 2022

      13 송현주, "의미적 신어와 신어의 의미 관계" 한국어의미학회 76 : 103-131, 2022

      14 남길임 ; 이수진 ; 최준, "웹 말뭉치를 활용한 의미적 신어의 연구 동향과 쟁점" 한국사전학회 (31) : 55-84, 2018

      15 고영근, "우리말 문법론" 집문당 2008

      16 정예은, "어휘의미의 공인화 연구를 위하여" 국어학회 (107) : 377-416, 2023

      17 정한데로, "어휘 변화의 세 방향- ‘보-’를 중심으로 -" 형태론 14 (14): 25-52, 2012

      18 정한데로, "신어의 형성과 빈도 변화에 관한 일고찰 - 2004년 신어를 중심으로 -" 한글학회 (310) : 171-204, 2015

      19 정한데로, "신어의 탄생, 사회와 문화를 담다" 국립국어원 29 (29): 9-23, 2019

      20 국립국어연구원, "신어의 조사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4

      21 정한데로, "신어 형성에 관한 몇 문제" 한국어의미학회 76 : 27-63, 2022

      22 정한데로, "신어 형성과 어휘 변화 -‘1994년 의미적 신어’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107) : 133-166, 2023

      23 임지룡, "새 낱말 창조의 인지적 연구" 국어교육연구회 29 : 1-33, 1997

      24 정한데로, "발견을 위한 한국어 단어형성론" 서강대학교 출판부 2019

      25 구본관, "단어형성론 논의의 확장을 위하여- 양정호(2008)에 답함 -" 형태론 12 (12): 111-119, 2010

      26 정한데로, "단어의 공인화에 관한 고찰" 국어학회 (74) : 233-266, 2015

      27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28 김민수,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1

      29 송원용, "국어의 단어형성체계 재론" 진단학회 (104) : 105-126, 2007

      30 이희승, "국어대사전(수정 증보판)" 민중서림 1982

      31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한국어대사전(누리집)" 2023

      32 정한데로, "‘신어의 삶’에 관한 탐색 -2002년~2004년 신어를 중심으로-" 국어학회 (83) : 119-152, 2017

      33 Cruse, A., "Lexical Seman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34 Murphy, M. L., "Lexical Mean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35 Bauer, L., "English Word–forma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3

      36 Boussidan, A., "Dynamics of semantic change: detecting, analyzing and medeling semantic change in corpus in short diachrony" Universite Lumiere 2013

      37 남길임 ; 이수진 ; 강범일, "'프레임'의 언어학 -의미적 신어 ‘프레임’에 대한 말뭉치언어학적 분석-" 한국어의미학회 65 : 135-163,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