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바탕으로 술방 시청동기에 대한 탐색적 분석과 시청동기가 술방 콘텐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 분석을 실시했다. 술방 시청동기에 대한 탐색적 분석...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849972
2021
Korean
술방 ; 음주 일인방송 ; 유튜브 ; 시청동기 ; 콘텐츠 태도 ; Sulbang ; Youtube ; Watching Motivation ; Content Attitude
KCI등재
학술저널
407-454(48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바탕으로 술방 시청동기에 대한 탐색적 분석과 시청동기가 술방 콘텐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 분석을 실시했다. 술방 시청동기에 대한 탐색적 분석...
본 연구는 이용과 충족 이론을 바탕으로 술방 시청동기에 대한 탐색적 분석과 시청동기가 술방 콘텐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 분석을 실시했다. 술방 시청동기에 대한 탐색적 분석 결과, 정보탐색, 음주 생동감, 시간때 우기, 사회적 상호작용, 대리만족, 재미의 여섯 가지 술방 시청동기를 도출했다. 또한, 성별 및 세대에 따라 시청동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나 세대에 따른 시청동기의 차이는 유의했다. 정보탐색 시청동기는 30대와 40대와 비해 20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음주 생동감 시청동기도 40대에 비해 20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시간때우기 시청동기는 50대에 비해 20대, 30대, 40대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여섯 가지 술방 시청동기가 술방 콘텐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결과, 술방 시청동기 6개 요인 중 시간때우기, 대리만족 동기를 제외한 나머지 4개 술방 시청동기(정보탐색, 음주 생동감, 사회적 상호작용, 재미)가 술방 콘텐츠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술방 시청동기를 처음으로 분석했으며, 술방 시청동기 중 ‘음주 생동감’ 동기는 기존 먹방 연구에서 발견하지 못한 술방만의 차별적 동기임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초기 연구로서 학술적 함의가 크다. 또한, 술방 콘텐츠 제작 실무와 식품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전략에 함의를 준다는 점에서 실용적 가치가 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sed on the theory of Use and Gratific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Sulbang watching motivation and a research of Sulbang watching effect. Sulbang is defined as a drinking broadcast. The findings identified six factors...
Based on the theory of Use and Gratification, this study conducte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on Sulbang watching motivation and a research of Sulbang watching effect. Sulbang is defined as a drinking broadcast. The findings identified six factors: information seeking, drinking liveliness, time-passing, social interaction, vicarious satisfaction, and entertainment. Als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ching motivation by gender. However, three factors, information seeking, drinking liveliness, and time-passing,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watching motivation by generation. In information-seeking motivation, the mean value of 20s respond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30s and 40s. In drinking liveliness motivation, the mean value of 20s respondents was higher than those of 40s. The mean value of the 50s was lower than those of 20s, 30s, and 40s in time-passing motivation. Also,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content attitude depending on the Sulbang watching motivation. The results showed four Sulbang motivations (information seeking, drinking liveliness, social interaction, and entertainment)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 Sulbang content attitude. Research implications are that it presents the first step toward understanding Sulbang watching motivation in an integrated way. Overall, this paper contributes practitioners to build global strategies of Korean food media and discuss youth protection regula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염보연, "한혜연의 배신부터 쯔양의 눈물까지…유튜브 들끓는 ‘뒷광고’ 논란" 뉴스투데이
2 김윤영, "한국인의 음주요인에 대한 변화추이와 패널분석 - 2005년~2016년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보건사회학회 (48) : 29-58, 2018
3 주정, "한국의 음주실태와 알코올 관련정책 방향" 19 (19): 73-115, 2009
4 김혜진, "하위문화로서의 푸드 포르노(Food Porn) 연구 - 아프리카TV의 인터넷 먹방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50) : 433-455, 2015
5 전재욱, "하반기부터 야외 술광고 전면금지…주류업계 반발" 이데일리
6 황유선, "트위터에서의 의견 지도력과 트위터 이용패턴: 이용동기, 트윗 이용패턴, 그리고 유형별 사례분석" 한국방송학회 24 (24): 365-404, 2010
7 황하성, "텔레비전 시청만족도 형성에 관한 재고찰시청동기, 의사인간관계(para?social interaction),실재감(presence)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342-382, 2007
8 김용근, "코로나 팬데믹이 강원랜드 카지노 장기체류 도박자의 도박 행위 및 일상에 미친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60 (60): 31-72, 2021
9 이은곤, "커뮤니티 요소와 매체 풍요도 요소가 소셜 네트워크 게임 이용자의 이용경험에 미치는 영향 : ‘애니팡’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18 (18): 191-211, 2013
10 최희준, "주먹밥 '먹방' 하던 日유튜버 사망…계속되는 유튜브 사망 사고" 조선일보
1 염보연, "한혜연의 배신부터 쯔양의 눈물까지…유튜브 들끓는 ‘뒷광고’ 논란" 뉴스투데이
2 김윤영, "한국인의 음주요인에 대한 변화추이와 패널분석 - 2005년~2016년 한국노동패널자료를 중심으로 -" 한국보건사회학회 (48) : 29-58, 2018
3 주정, "한국의 음주실태와 알코올 관련정책 방향" 19 (19): 73-115, 2009
4 김혜진, "하위문화로서의 푸드 포르노(Food Porn) 연구 - 아프리카TV의 인터넷 먹방을 중심으로 -" 인문학연구원 (50) : 433-455, 2015
5 전재욱, "하반기부터 야외 술광고 전면금지…주류업계 반발" 이데일리
6 황유선, "트위터에서의 의견 지도력과 트위터 이용패턴: 이용동기, 트윗 이용패턴, 그리고 유형별 사례분석" 한국방송학회 24 (24): 365-404, 2010
7 황하성, "텔레비전 시청만족도 형성에 관한 재고찰시청동기, 의사인간관계(para?social interaction),실재감(presence)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1 (21): 342-382, 2007
8 김용근, "코로나 팬데믹이 강원랜드 카지노 장기체류 도박자의 도박 행위 및 일상에 미친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60 (60): 31-72, 2021
9 이은곤, "커뮤니티 요소와 매체 풍요도 요소가 소셜 네트워크 게임 이용자의 이용경험에 미치는 영향 : ‘애니팡’을 중심으로" 한국전자거래학회 18 (18): 191-211, 2013
10 최희준, "주먹밥 '먹방' 하던 日유튜버 사망…계속되는 유튜브 사망 사고" 조선일보
11 이설영, "주류업계, 유튜브로 2030 젊은 소비자 공략" 파이낸셜뉴스
12 장윤재, "정서적 허기인가 정보와 오락의 추구인가 - 먹방 · 쿡방 시청동기와 시청경험, 만족도의 관계" 한국방송학회 30 (30): 152-185, 2016
13 어흥선, "젊은여성의 YouTube 기반 뷰티 콘텐츠 이용 동기가 인지된 유용성 및 인지 된 용이성, 지속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미용학회 15 (15): 95-105, 2019
14 삼성서울병원 임상영양팀, "적당한 음주는 몇 잔?, 삼성서울병원 건강정보"
15 성민제, "인터넷 게임 방송에서 이용동기가 만족도와 몰입에 미치는 영향" 139-144, 2018
16 손승혜, "인터넷 개인방송 콘텐츠의 규제 정책에 대한 전문가 심층 인터뷰 분석: 정책 평가와 자율 규제 실현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03) : 137-167, 2018
17 안진, "인터넷 개인방송 시청공동체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아프리카 TV <먹방 BJ 애봉이>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30 (30): 5-53, 2016
18 김지응, "음식관련 MCN 개인방송 이용동기, 소비자태도, 구매의도와의 영향관계 연구 -대학생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34 (34): 1-26, 2019
19 박신영, "음식 콘텐츠 이용 동기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534-546, 2020
20 이효성, "유튜브의 이용동기에 대한 탐색적 고찰"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8 (28): 77-99, 2020
21 석보라, "유튜브(YouTube) 1인 미디어 뷰티 채널의 이용 동기가 채널 평가, 제품 태도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21 (21): 168-198, 2019
22 이종만, "유튜브 이용자의 성격 특성과 이용 동기가 강박적 유튜브 사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9 (19): 512-520, 2019
23 이상숙, "유튜브 이용 동기에 대한 세대 간 상호인식 차이: 중장년층과 청년층 간 비교" 한국방송학회 34 (34): 76-104, 2020
24 이은선, "유튜브 이용 동기 및 친밀도가 이용자 활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14-126, 2020
25 장영일, "유튜브 상품 리뷰채널 구독자의 상품태도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국제e-비즈니스학회 20 (20): 77-97, 2019
26 박은주, "유튜브 먹방 채널의 시청 동기가 시청태도, 시청만족도, 구전의사에 미치는 영향" 지방자치연구소 37 (37): 355-375, 2020
27 송정은, "유투브(YouTube) 이용자들의 참여에 따른 한류의 확산 : 홍콩의 10-20대 유투브(YouTube) 이용자조사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3 (13): 155-169, 2013
28 양유선, "우리나라의 음주현황과 건강행태-1 인가구의 음주행태 및 특성" 111-129, 2017
29 강미정, "욕구 충족 영상 콘텐츠(브이로그 / ASMR / 먹방) 이용 동기, 수용자 특성, 시청 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73-98, 2020
30 정유지, "외식시장의 MCN(다중채널네트워크) 콘텐츠 속성이 이용동기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6 (26): 281-298, 2017
31 박채원, "외국인 유튜버들, K푸드 대표 매운맛에 울고 웃는다" 이코노미조선
32 성태제, "연구방법론" 학지사 2006
33 오지현, "여론 뭇매 맞는 '뒷광고'...유튜브는 잘못없나" 서울경제
34 손은교, "여대생의 음주 동기가 음주에 관한 인식과 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학기술학회 19 (19): 161-169, 2018
35 정용국, "여대생의 뷰티 유튜브 이용동기 및 시청경험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원 25 (25): 7-28, 2018
36 이혜경, "약물경험 청소년의 자살위험 예측요인: 흡연, 음주행위와 정신건강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원 59 (59): 291-327, 2020
37 김효선, "신규 여성 박사들의 경력개발에 관한 탐색적 연구-교육계열 전공자를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685-696, 2013
38 조건진, "스포츠팬의 스포츠미디어 관심도가 접촉동기 및 수용태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08
39 이순용, "술 권하는 인터넷 ‘술방’ … 청소년이 빠져든다" 이데일리
40 김아름, "술 권하는 인터넷 '술방'… 청소년 빠져든다" 보건뉴스
41 오대영, "수용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이용동기, 성격이 유튜브의 장르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7 (17): 122-162, 2017
42 이형민, "수용자들의 원자력 관련 이슈에 대한 선택적 언론 노출과 한국수력원자력 (한수원)과의 조직ᐨ공중 관계성 인식이 원자력발전 기술 태도와 정책 지지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21 (21): 236-272, 2019
43 우수진, "소셜미디어의 이용과 충족" 한국방송학회 18 (18): 91-131, 2017
44 이정권, "소셜미디어 이용 동기 연구: 개방형 SNS와 폐쇄형 SNS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115-148, 2015
45 손동진, "소셜 인플루언서를 활용한 디지털 마케팅 전략 연구: 올레드TV 글로벌 디지털 캠페인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10 (10): 64-95, 2017
46 박상철, "샌드박스네트워크의 MCN(Multi-Channel Network)시장 진입 전략" 한국경영학회 23 (23): 99-123, 2019
47 최지윤, "뷰티 인플루언서 마케팅 활용 전략: 매스미디어와 소셜미디어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28 (28): 47-72, 2017
48 장정윤, "뷰티 유튜브 시청 동기가 의사사회적 상호작용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0
49 나경철, "보고 배울라"…규제 없는 ‘술방’" MBC
50 이동준, "미디어스포츠 접촉동기와 수용태도 및 스포츠 가치관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19 (19): 253-264, 2010
51 한영주, "미디어 이용 동기, 개인적 성향, 인지된 개혁의 특성이 1인 방송 시청에 미치는 영향: ‘이용과 충족’ 이론과 ‘개혁의 확산’ 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07) : 152-190, 2019
52 홍석경, "미디어 문화 속 먹방과 헤게모니 과정"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4 (24): 105-150, 2016
53 조은하, "먹방의 유행과 문화현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68-85, 2020
54 김예경, "먹방 마케팅" 51 (51): 58-70, 2017
55 이선희, "드라마 시청동기가 3DTV 드라마 시청 태도 및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역언론학회 13 (13): 414-453, 2013
56 손봉현, "뒷광고의 합리적 규제 방안" 40 : 6-9, 2020
57 김진욱, "대학생의 SNS 이용동기가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335-354, 2016
58 임한솔, "국내외 인터넷 개인방송 규제현황 및 규제 방향성 제언" 한국콘텐츠학회 20 (20): 248-264, 2020
59 박현익, "국내 10명 중 8명 유튜브 쓴다… 월평균 30시간" 조선비즈
60 문수백,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학지사 2009
61 홍세희,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19 (19): 161-177, 2000
62 주보아, "광고 디스클로저와 인플루언서 공신력에 관한 설득효과 연구: 설득지식모델을 적용하여" 사회과학연구원 59 (59): 497-530, 2020
63 김남이, "공중의 라이프스타일이 소셜 미디어 이용 동기 및 이용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회 13 (13): 306-341, 2011
64 신명희, "개인미디어에서의 자기표현전략 및 미디어 운영 특성 : 대학생의 블로그 이용동기와 성별을 중심으로"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17 (17): 33-59, 2009
65 김다현, "가상 공간에서 함께 식사하기: 먹방 시청의 심리학" 45-45, 2020
66 서지원, "“내돈내산 누가 믿나” 유튜브 세대, 뒷광고를 말하다" 국민일보
67 류웅재, "‘쿡방’의 정치경제학-주체의 자기 통치의 관점에서" 83 : 160-173, 2015
68 민태원, "‘술방’ 수두룩 유튜브는 규제 사각지대" 국민일보
69 심재훈, "[차이나통통]'음식 낭비라며' 먹방 막았더니 주(酒)방 등장" 연합뉴스
70 반윤선, "[드링킷] '술방'만 있으면 혼술, 외롭지 않아" 아시아경제
71 김성우, "[뉴스탐색]술 권하는 사회?…방송ㆍ유튜브 ‘술방’ 제재도 아랑곳" 헤럴드경제
72 강민정, "Z세대가 즐기는 유튜브 채널의 몰입 요인과 특징" 한국콘텐츠학회 20 (20): 150-161, 2020
73 Hanson, G., "YouTube users watching and sharing the news : A uses and gratifications approach" 11 (11): 1-11, 2008
74 Anjani, L., "Why do people watch others eat? An empirical study on the motivations and practices of mukbang viewers" 2020
75 Pope, L., "Viewers vs. doers. The relationship between watching food television and BMI" 90 : 131-135, 2015
76 Ryan, T., "The uses and abuses of Facebook : A review of Facebook addiction" 3 (3): 133-148, 2014
77 Kang, E., "The popularity of eating broadcast: Content analysis of “mukbang” YouTube videos, media coverage, and the health impact of “mukbang” on public" 26 (26): 2237-2248, 2020
78 Lobstein, T., "The commercial use of digital media to market alcohol products : a narrative review" 112 : 21-27, 2017
79 Kircaburan, K., "The association of addictive mukbang watching with mukbang watching motives, emotion regulation, impulsivity, and psychiatric distress" 2020
80 Katz, E., "The Uses of Mass Communications: Current Perspectives on Gratifications Research" Sage publications 1974
81 Rubin, A. M., "Television uses and gratifications : The interactions of viewing patterns and motivations" 27 (27): 37-51, 1983
82 이상봉, "TV홈쇼핑 채널의 이용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9
83 김기영, "TV음식프로그램 시청동기가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1 (31): 107-122, 2017
84 김건휘, "TV요리프로그램의 시청동기, 시청태도, 시청만족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11 : 28-39, 2016
85 고정훈, "TV엔 '캬~' 소리도 못내다보니…유튜브로 옮겨가는 주류광고" 디지털 투데이
86 강민지, "TV 음식 프로그램 시청자의 시청동기가 시청태도,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연구학회 33 (33): 55-69, 2019
87 신명은, "TV 음식 프로그램 시청동기가 의사사회 상호작용과 시청 만족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아시아식생활학회 29 (29): 357-366, 2019
88 West, S. 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Sage Publications, Inc 56-75, 1995
89 Boyd, D. M., "Social network sites : Definition, history, and scholarship" 13 : 210-230, 2008
90 Khan, M. L., "Social Media Engagement: What Motivates User Participation and Consumption on YouTube?" 66 : 236-247, 2017
91 Haridakis, P., "Social Interaction and Co-viewing with YouTube : Blending Mass Communication Reception and Social Connection" 53 (53): 317-335, 2009
92 정원석, "SNS 뒷광고 규제 나선 공정위…"내년부터 상시 모니터링"" 조선비즈
93 Primack, B. A., "Portrayal of alcohol intoxication on YouTube" 39 (39): 496-503, 2015
94 Primack, B. A., "Portrayal of alcohol brands popular among underage youth on YouTube : a content analysis" 78 (78): 654-664, 2017
95 Ryoo, W. J., "Political economy of 'cookbang-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ubject's self-governance" 83 : 160-173, 2015
96 Katz, E., "On the use of the mass media for important things" 38 (38): 164-181, 1973
97 Bagozzi, R. P.,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16 (16): 74-94, 1988
98 민태원, "IPTV, DMB에서도 술 광고 못한다… 6월 30일부터" 국민일보
99 Smock, A. D., "Facebook as a toolkit : A uses and gratification approach to unbundling feature use" 27 (27): 2322-2329, 2011
100 Fornell, C.,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18 (18): 39-50, 1981
101 Choe, H., "Eating together multimodally: Collaborative eating in mukbang, a Korean livestream of eating" 48 (48): 171-208, 2019
102 Wardell, J. D., "Drinking to Cope During COVID‐19 Pandemic: The Role of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in Coping Motive Pathways to Alcohol Use, Solitary Drinking, and Alcohol Problems" 44 (44): 2073-2083, 2020
103 Stafford, T. F., "Determining uses gratification for the internet" 35 (35): 259-288, 2004
104 Gupta, P. B., "Consumers' perceptions of the ethics and acceptability of product placements in movies : Product categor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9 (19): 37-50, 1997
105 Klobas, J. E., "Compulsive YouTube usage : A comparison of use motivation and personality effects" 87 : 129-139, 2018
106 Hair, J. F., "Cluster Analysis. Multivariate data analysis" Hair JF 2010
107 Fishbein, M.,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1975
108 Rubin, A. M., "Audience activity and Television news gratifications" 14 (14): 58-84, 1987
109 Levy, M. R., "Audience Activity and Gratifications : A Conceptual Clarification and Exploration" 11 (11): 51-78, 1984
110 Ford, J., "Antecedents of product placement effectiveness across cultures" 33 (33): 5-24, 2016
111 Barry, A. E., "Alcohol advertising influences underage brand-specific drinking: Evidence of a linear dose-response relationship" 42 (42): 1-3, 2016
112 Cranwell, J., "Adolescents’ exposure to tobacco and alcohol content in YouTube music videos" 110 (110): 703-711, 2015
113 정민주, "ASMR 이용 동기와 충족: 플로우(Flow) 경험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8
114 Festinger, L., "A theory of social comparison processes" 7 (7): 117-140, 1954
115 김이진, "<뉴스G> 2020년을 바꿔놓은 단어, 봉쇄" EBS
116 Koff, R. N., "56.'You Drink!'on YouTube: College Students' Portrayals of Alcohol" 50 (50): S41-S42, 2012
117 나스미디어, "2021 인터넷 이용자 조사"
118 언론진흥재단, "2019 언론수용자 조사"
119 남궁진, "1인 미디어 인터넷 방송 이용 동기와 사회적 시청이 브랜드 태도, 브랜드 관여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0-46, 2020
120 권혁성, "1인 미디어 음식콘텐츠의 시청동기가 시청만족도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먹방’과 ‘쿡방’을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25 (25): 102-112, 2019
121 정서현, "1인 미디어 게임방송 이용 동기 및 이용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인터넷 게임방송 이용자 심층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정보사회학회 20 (20): 1-29, 2019
122 유병돈, "'헌팅 방송' 막았더니 계약서 쓰고 '음란 방송'…규제 없는 1인 방송" 아시아경제
123 Nah, E. K., ""Eating broadcasts"and"Cooking broad-casts"exploratory study on food media trends : Socio-cultural backgrounds and new media use factors" 28 (28): 183-215, 2015
기혼여성의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
거부민감성, 적대적 귀인 편향 및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 의도적 통제의 조절효과
시민은 시민단체를 어떻게 인식하는가?: 시민단체의 역할과 신뢰를 중심으로
자원 변수 중심으로 살펴 본 고령인구 삶의 만족 결정요인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09-06-0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회과학연구소 -> 사회과학연구원영문명 :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 Institute of Social Science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31 | 1.31 | 1.2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9 | 1.23 | 1.772 | 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