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이돌 스타의 선정적인 영상과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성개방성에 미치는 영향 = Effect of Idol Star's Sexual Image and Social Support on Sex Openness of Adolesc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3080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ly explicit video viewing and social support through the mass media and the sex openness of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s the main data of 'Study on Measures against Sexualization of Juveniles through Mass Media in the Smart Age'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4 nationwide. 3,176 of the 4,356 adolescents in Korea we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subjects after excluding the 1,180 missing adjectives. Results: As a result, sex openness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sex openness, and the higher the stimulus, the higher the sex openness. The higher the imitation sharing, the higher the sex openness. The higher the human rights violation, the lower sex openness. Finally,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sex openness. Conclusions: In conclusion, strengthening the management of realistic media providers and emotional education rather than the unconditional regulation of mass media is expected to help prevent adverse effects on the sex openness of adolescents.
      번역하기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ly explicit video viewing and social support through the mass media and the sex openness of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s the main data of 'Study on Measure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xually explicit video viewing and social support through the mass media and the sex openness of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used as the main data of 'Study on Measures against Sexualization of Juveniles through Mass Media in the Smart Age' condu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4 nationwide. 3,176 of the 4,356 adolescents in Korea were selected as the final study subjects after excluding the 1,180 missing adjectives. Results: As a result, sex openness of mal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students. The higher the grade, the higher the sex openness, and the higher the stimulus, the higher the sex openness. The higher the imitation sharing, the higher the sex openness. The higher the human rights violation, the lower sex openness. Finally,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higher the sex openness. Conclusions: In conclusion, strengthening the management of realistic media providers and emotional education rather than the unconditional regulation of mass media is expected to help prevent adverse effects on the sex openness of adolesc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곽영숙, "한국 청소년의 성의식" 43 (43): 119-127, 2000

      2 방영숙, "청주대학교 성 의식 실태조사" 32 : 115-139, 2010

      3 정은영,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 개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293-312, 2008

      4 김소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성의식과의 관계" 28 : 63-82, 2010

      5 지현진, "청소년의 여가실태에 대한 종단분석 : 4차년간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3 (33): 145-156, 2009

      6 지현진, "청소년의 신체적 여가활동이 지닌 함의"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6 (56): 43-64, 2008

      7 강수경, "청소년의 성의식과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8 엄태완, "청소년의 무망감 관련요인과 자살생각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효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11-237, 2008

      9 남미애, "청소년의 매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연구" 8 (8): 271-306, 2001

      10 여성가족부, "청소년 연예인, 10명 중 1명 노출・선정적 행위, 여성 청소년 연예인 절반 다이어트 권유 경험"

      1 곽영숙, "한국 청소년의 성의식" 43 (43): 119-127, 2000

      2 방영숙, "청주대학교 성 의식 실태조사" 32 : 115-139, 2010

      3 정은영, "청소년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 척도 개발: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한국상담심리학회 20 (20): 293-312, 2008

      4 김소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과 성의식과의 관계" 28 : 63-82, 2010

      5 지현진, "청소년의 여가실태에 대한 종단분석 : 4차년간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33 (33): 145-156, 2009

      6 지현진, "청소년의 신체적 여가활동이 지닌 함의" 사범대학부속중등교육연구소 56 (56): 43-64, 2008

      7 강수경, "청소년의 성의식과 성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 문제행동,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8 엄태완, "청소년의 무망감 관련요인과 자살생각의 관계 : 사회적 지지의 효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5 (15): 211-237, 2008

      9 남미애, "청소년의 매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관한 연구" 8 (8): 271-306, 2001

      10 여성가족부, "청소년 연예인, 10명 중 1명 노출・선정적 행위, 여성 청소년 연예인 절반 다이어트 권유 경험"

      11 백혜정, "청소년 성의식 및 행동 실태와대처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2-257, 2008

      12 김혜원, "청소년 부적응행동과 자아존중감의 관련성 재조명"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1-22, 2009

      13 홍정민, "일 지역 중학생의 성태도와 성지식, 사회적지지 간 상관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3 (13): 240-249, 2013

      14 김지선, "여성 스포츠 유니폼 트렌드와 성 상품화 현상의 관계 탐색" 한국여성체육학회 25 (25): 23-34, 2011

      15 박은경, "여고생이 이성친구와 겪는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6 이동연, "아이돌 : H.O.T. 에서 소녀시대까지" 이매진 2011

      17 김석환, "스마트폰을 통한 청소년 성행동 촬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17 (17): 71-81, 2016

      18 성윤숙, "스마트시대 대중 매체를 통한청소년의 성 상품화 대응방안 연구" 한국청소년개발원 1-664, 2014

      19 신선미, "성 상품화에 대한 인식: 상품화의 유형, 대상자 및 평가자의 성별에 따른 차이" 한국여성심리학회 10 (10): 603-617, 2005

      20 양성은, "비행청소년의 조기 성행동에 대한 질적연구" 대한가정학회 43 (43): 45-57, 2005

      21 윤선오, "부모-자녀간 의사소통및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영향" 20 (20): 25-47, 2010

      22 이규영, "미디어리터러시, 자아존중감이 고등학생의 성개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6 (16): 740-749, 2016

      23 최예은, "대중음악에 대한 태도가 청소년의 정서지능 및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4 장희순, "대중매체 노출이 신체상(身體像) 지각과 상태 신체 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7 (17): 57-83, 2006

      25 심재웅, "다매체·다채널 미디어 환경에서 바람직한 청소년 보호 방안에 관한 연구: 청소년의 성콘텐츠 이용과 성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방송문화진흥회 10 (10): 79-118, 2009

      26 Ward ML, "Using TV as a guide: Associations between television viewing and adolescents’ sexual attitudes and behavior" 16 : 133-156, 2006

      27 Ward LM, "Understanding the role of entertainment media in the sexual socialization of American youth: A review of empirical research" 23 : 347-388, 2003

      28 Whitbeck LB, "The influence of parental support, depressed affect and peers on the sexual behaviors of adolescent girls" 14 : 261-278, 1993

      29 Shaffer DR, "Soci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Wadsworth/Thompson Learning 2000

      30 Bryant J, "Media, children, and the family: Social, scientific, psychodynamic, and clinical perspectives" Lawrence Erlbaum 183-195, 1994

      31 Braun-Courvile DK, "Exposure to sexually explicit web sites and adolescent sexual attitudes and behaviors" 45 : 156-162, 2009

      32 Whitbeck LB, "Early adolescent sexual activity: A developmental study" 61 : 934-947, 1999

      33 Ward LM, "Does television exposure affect emerging adults’ attitudes and assumptions about sexual relationships? Correlational and experimental confirmation" 31 (31): 1-15, 2002

      34 Peter J, "Adolescents’ exposure to a sexualized media environment and their notion of women as sex objects" 56 : 639-660, 200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4-07-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4-07-0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 한국학교·지역보건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4-05-0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보건복지교육학회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Welfare and Health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4-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보건복지교육학회지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Welfare and Health Educatio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4-05-0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KCI등재후보
      2014-03-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 -> 한국보건복지교육학회
      영문명 :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 The Korean Society for Welfare and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4-03-2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학교보건교육학회지 -> 한국보건복지교육학회지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School Health Education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Welfare and Health Education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2 0.62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3 0.9 1.245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