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명사구 보문절의 교육 연구 - 교재 분석 및 학습자 오류 분석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Teaching Complement Noun Clause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Analyzing Teaching Contents and Students' Err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76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blems related to teaching Korean compliment noun clause and to analyze the teaching contents and students' errors in formulating compliment noun clauses.
      Unlike relative clauses, compliment noun clauses have gained less recognition as major instructional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that the compliment noun clause is one of the main structures that form Korean sentences and that a higher difficulty on producing it is expected due to their syntactic complexity, it is necessary to teach how to formulate compliment noun clauses in Korean to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 language textbooks introduce compliment noun clauses and also analyzes students' composition to see how they use and formulate such clauses. The finding is Korean language textbooks excessively teach formulaic expression including compliment noun clauses but give few interests on compliment noun clauses when general nouns are used as compliment nouns. The finding from students' composition is that they hardly use compliment noun clauses and it appears that they don't have enough knowledge to produce correct compliment noun clause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blems related to teaching Korean compliment noun clause and to analyze the teaching contents and students' errors in formulating compliment noun clauses. Unlike relative clauses, compliment noun clauses h...

      The purpose of his study is to describe the problems related to teaching Korean compliment noun clause and to analyze the teaching contents and students' errors in formulating compliment noun clauses.
      Unlike relative clauses, compliment noun clauses have gained less recognition as major instructional cont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sidering that the compliment noun clause is one of the main structures that form Korean sentences and that a higher difficulty on producing it is expected due to their syntactic complexity, it is necessary to teach how to formulate compliment noun clauses in Korean to Korean language learners.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 language textbooks introduce compliment noun clauses and also analyzes students' composition to see how they use and formulate such clauses. The finding is Korean language textbooks excessively teach formulaic expression including compliment noun clauses but give few interests on compliment noun clauses when general nouns are used as compliment nouns. The finding from students' composition is that they hardly use compliment noun clauses and it appears that they don't have enough knowledge to produce correct compliment noun clauses.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재일, "형태론적 구성으로 인식되는 복합문 구성에 대하여" 국어학회 (15) : 195-215, 1986

      2 신서인, "현대국어 의존명사에 대한 연구 : 자연언어 처리의 관점에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흥식, "현대 국어 관형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4 강범모, "한국어 보문의 구조와 의미 특성연구 : 사실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3

      5 강범모, "한국어 보문의 구문의 의미 특성" 서울대 어학연구소 19 (19): 53-73, 1983

      6 민재기, "한국어 관계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3) : 59-78, 1991

      7 홍종선, "명사화 어미의 변천" 국어국문학회 (89) : 31-52, 1983

      8 홍종선, "명사화 어미 ‘-ㅁ’과 ‘-기" 한국언어학회 8 (8): 241-272, 1983

      9 강소영, "명사구 보문 구성의 문법화" 한국문화사 2004

      10 장경희, "국어의 완형보절의 해석" 국어학회 16 : 487-519, 1987

      1 권재일, "형태론적 구성으로 인식되는 복합문 구성에 대하여" 국어학회 (15) : 195-215, 1986

      2 신서인, "현대국어 의존명사에 대한 연구 : 자연언어 처리의 관점에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 이흥식, "현대 국어 관형절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90

      4 강범모, "한국어 보문의 구조와 의미 특성연구 : 사실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3

      5 강범모, "한국어 보문의 구문의 의미 특성" 서울대 어학연구소 19 (19): 53-73, 1983

      6 민재기, "한국어 관계절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3) : 59-78, 1991

      7 홍종선, "명사화 어미의 변천" 국어국문학회 (89) : 31-52, 1983

      8 홍종선, "명사화 어미 ‘-ㅁ’과 ‘-기" 한국언어학회 8 (8): 241-272, 1983

      9 강소영, "명사구 보문 구성의 문법화" 한국문화사 2004

      10 장경희, "국어의 완형보절의 해석" 국어학회 16 : 487-519, 1987

      11 우형식, "국어의 관형절과 핵심명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15) : 143-189, 1987

      12 류윤도, "국어의 관형절 분석과 지도 방법"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3 정재은, "국어의 관형 보문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2

      14 이익섭, "국어문법론" 학연사 1983

      15 김진웅, "국어 보문명사구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16 방성원, "국어 보문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17 洪宗善, "國語 體言化 構文의 硏究" 高麗大學校 大學院 198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3 1.3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