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어 쓰기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 및 선호 차이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Differences in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Preferences Regarding Teacher Feedback in Korean as a Second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97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hile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icacy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provided by teacher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preferences regarding teacher feedback.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pares student and teacher beliefs on teacher feedback. A total of 27 students and 25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perceptions and preferences regarding teacher feedback were measured by a questionnaire. Results show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have strong beliefs on teacher feedback. However, some discrepancies were found: (1) students preferred direct metalinguistic feedback, while teachers preferred direct feedback; and (2) students seemed to have consistent beliefs regarding the type of feedback they prefer, but teachers were not very consistent.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Ewha Womans University)
      번역하기

      While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icacy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provided by teacher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preferences regarding teacher feedback.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pares stude...

      While many studies have examined the efficacy of written corrective feedback provided by teachers,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students' and teachers' perceptions and preferences regarding teacher feedback. This study investigates and compares student and teacher beliefs on teacher feedback. A total of 27 students and 25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ir perceptions and preferences regarding teacher feedback were measured by a questionnaire. Results show that both students and teachers have strong beliefs on teacher feedback. However, some discrepancies were found: (1) students preferred direct metalinguistic feedback, while teachers preferred direct feedback; and (2) students seemed to have consistent beliefs regarding the type of feedback they prefer, but teachers were not very consistent.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made. (Ewha Womans Univers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연희, "한국어 쓰기에서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문법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직접 피드백과 간접 피드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이진주, "특정 항목을 대상으로 한 집중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적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3 이수미, "재형태화 피드백이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 김나연, "영어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과 수행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 김지숙, "암시적 피드백과 명시적 피드백이 조사 오류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중언어학회 (36) : 93-114, 2008

      6 설수연, "서면으로 제공되는 수정적 피드백, 제2언어적성 및 학습자 태도가 한국어 조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7 노혜남, "내용 피드백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김세영, "교사 피드백 후 학습자의 다시쓰기가 한국어 쓰기 능력의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9

      9 박주현, "교사 피드백 방법이 학습자 작문의 형태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0 Wenden, A. L, "What do second-language learners know about their language learning? A second look at retrospective accounts" 7 : 187-201, 1986

      1 박연희, "한국어 쓰기에서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문법 오류 수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직접 피드백과 간접 피드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 이진주, "특정 항목을 대상으로 한 집중 피드백이 한국어 학습자의 문법적 정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3 이수미, "재형태화 피드백이 한국어 쓰기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4 김나연, "영어 오류 수정 피드백에 대한 대학생 학습자와 교사의 인식과 수행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5 김지숙, "암시적 피드백과 명시적 피드백이 조사 오류에 미치는 영향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중언어학회 (36) : 93-114, 2008

      6 설수연, "서면으로 제공되는 수정적 피드백, 제2언어적성 및 학습자 태도가 한국어 조사 습득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11

      7 노혜남, "내용 피드백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쓰기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8 김세영, "교사 피드백 후 학습자의 다시쓰기가 한국어 쓰기 능력의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9

      9 박주현, "교사 피드백 방법이 학습자 작문의 형태 오류 감소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0 Wenden, A. L, "What do second-language learners know about their language learning? A second look at retrospective accounts" 7 : 187-201, 1986

      11 Horwitz, E. K, "Using student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in the foreign language methods course" 18 : 333-340, 1985

      12 Ferris, D. R, "The influence of teacher commentary on student revision" 31 : 315-336, 1997

      13 Frantzen, D, "The effects of grammar supplementation on written accuracy in an intermediate Spanish content course" 79 : 329-344, 1995

      14 Sheen, Y, "The effect of focused written corrective feedback and language aptitude on ESL learners' acquisition of articles" 41 (41): 255-283, 2007

      15 Sheen, Y, "The effect of corrective feedback, language aptitude and learner attitudes on the acquisition of English articles, In Conversational interaction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University Press 301-322, 2007

      16 Ferris, D. R, "The case for grammar correction in L2 writing classes: A respond to Truscott(1996)" 8 (8): 1-11, 1999

      17 Truscott, J, "The case against grammar correction in L2 writing classes" 46 (46): 327-369, 1996

      18 Horwitz, E. K, "The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of beginning university foreign language students" 72 : 283-294, 1988

      19 Ferris, D. R, "The "grammar correction" debate in L2 writing: Where are we, and where do we go from here?" 13 (13): 49-62, 2004

      20 Fathman, A, K, "Teacher response to student writing: Focus on form versus content, In Second language writing: Research insights for the classroom"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8-190, 1990

      21 Horwitz, E. K, "Surveying student beliefs about language learning, In Learner strategies in language learning" Prentice Hall 119-129, 1987

      22 Hedgcock, J, "Some input on input: Two analyses of student response to expert feedback on L2 writing" 80 : 287-308, 1996

      23 Robb, T, "Salience of feedback on error and its effect on ESL writing quality" 20 : 83-91, 1986

      24 Lalande, J. F, "Reducing composition errors: An experiment" 66 : 140-149, 1982

      25 Brown, H. D,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Prentice-Hall 1987

      26 Ashwell, T., "Patterns of teacher response to student writing in a multiple-draft composition classroom: Is content feedback followed by form feedback the best method?" 9 (9): 227-257, 2000

      27 Lyster, R, "Oral feedback in classroom SLA" 32 : 265-302, 2010

      28 Schulz, R. A, "Focus on form in the foreign language classroom: Student's and teacher's view on error correction and the role of grammar" 29 (29): 343-350, 1996

      29 Hyland, K, "Feedback on second language student's writing" 39 : 83-101, 2006

      30 Havranek, G,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of corrective feedback" 1 : 99-122, 2001

      31 Ferris, D, "Error feedback in L2 writing classes: How explicit does it need to be?" 10 (10): 161-184, 2001

      32 Ellis, R, "Corrective feedback in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2007

      33 Ferris, D. R, "Can advanced ESL students be taught to correct their most serious and frequent errors?" 8 (8): 41-62, 1995

      34 Kepner, C. G, "An experiment in the relationship of types of written feedback to the development of second language writing skills”" 75 : 305-313, 19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10-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어 교육 -> 한국어교육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8 0.88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1.03 1.37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