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경찰과 군 수뇌부는 요시찰인과 불순분자, 보도연맹원 등에 대한 예비검속과 학살을 명시적으로 지시했다. 그리고 전쟁 초기 전국에 걸쳐 예비검속과 학살이 조직적·...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573124
2014
Korean
331
KCI등재
학술저널
7-53(47쪽)
2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경찰과 군 수뇌부는 요시찰인과 불순분자, 보도연맹원 등에 대한 예비검속과 학살을 명시적으로 지시했다. 그리고 전쟁 초기 전국에 걸쳐 예비검속과 학살이 조직적·...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경찰과 군 수뇌부는 요시찰인과 불순분자, 보도연맹원 등에 대한 예비검속과 학살을 명시적으로 지시했다. 그리고 전쟁 초기 전국에 걸쳐 예비검속과 학살이 조직적·반복적으로 진행되었다. 그 결과 수많은 민간인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그런데 이 예비검속은 특정한 법적 구조와 깊은 관련이 있다. 경찰의 행정검속으로서의 예비검속권은 바로 행정집행령(1914)에 근거한 것이었고, 이 권한은 미군정기에도 계속되었다. 그러나 미군정기 내내 이 예비검속권 오남용 논란이 끊이지 않았고, 결국 군정법령 제176호(1948)에 의해 효력 정지되었다. 이렇게 법의 폐지를 통해 예비검속은 불법화되었지만, 실무적으로는 관행처럼 계속 운용되었다. 그리고 정부 수립 이후에도 경찰 수뇌부는 좌익세력 척결뿐만 아니라 중도, 우익 세력 할 것 없이 반이승만 세력 척결에 불법적인 예비검속권을 계속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군 예비검속은 계엄법 제13조를 근거로 운용되었다. 한국전쟁 이전부터 도군이 예방적 차원에서 민간인을 검속하고 처벌한 일은 비일비재했다. 국방경비법제32조, 제33조의 민간인 적용이 자주 활용되었다. 국회가 제정한 헌병과국군정보기관의 수사한계에관한법률(1949)은 이를 제한하기 위한 시도였다. 그러나 전쟁 발발과 계엄 선포로 이 제약은 완전히 풀려나갔고, 더 나아가 군은 계엄법 제13조가 규정한 엄격한 예비검속의 발동 요건마저 허물어뜨렸다. 이처럼 국민에 대한 국가폭력, 구체적으로 대량학살을 예비한 자국민 민간인에 대한 예비검속은 법의 바깥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라 법질서와의 관계 속에서 집행되었다. 본문에서는 한국전쟁 초기 상부에서 하달된 예비검속 지시(또는 통첩)와 하부의보고(또는 이해)를 구체적으로 분석했다. 경찰의 경우 전쟁 직후부터 예비검속 지시가 신속하게 하달되고 이행된 배경에 경찰의 사찰 조직의 기능(활동)과 이들의 보도연맹 인식과 함께 치안국장 장석윤의 역할을 강조했다. 군의 경우 육군본부(정보국장 장도영)와 헌병사령부(헌병사령관 송요찬)의 지시와 방첩대·헌병대의 전전-전후로 계속되는 ‘내부의 적 처리’ 기능(활동)을 강조했다. 또한 예비검속 권한과 집행을 둘러싼 경찰-검찰-군의 관계도 살펴보았다. 그 다음으로 예비검속의 운용의 구체적 양상, 즉 예비검속자에 대한 심사와 분류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 이에 따라 대량학살이 어떻게 전개되었고 그 특징이 무엇인지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최상부로부터 학살 지시가 하달되어 학살이 조직적·체계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 형무소 정치범 학살과 보도연맹원 학살이 함께 진행되었다는 점, 피난민 검문과 심사를 통해서도 ‘색출’, 학살이 비일비재했다는 점, 후방지역에서 계속적으로 예비검속과 학살이 반복되었다는 점을 확인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Police and the leading members of the military directed proposedly the preventive custody and massacre towards a person under surveillance (要視察人), impure element (不純分子), members of Bodoyonmang (Na...
As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the Police and the leading members of the military directed proposedly the preventive custody and massacre towards a person under surveillance (要視察人), impure element (不純分子), members of Bodoyonmang (National Guidance Alliance) and others. And the preventive custody and massacre has been committed systematic and repetitive way during the early Korean War on a national scale. As the result, there was enormous civilian casualty during the time. On the other point, the preventive custody preparing a potential massacre has strong relationship with a certain legal system. The authority for the preventive custody of the police, as a sort of administrative custody, has the legal base of Administrative Execution Order (enacted by 1914); and this authority of policy has been valid during the US Military Government. However, there were so many disputes about the abuse cases of the preventive custody, so then the preventive custody was put in the suspension of efficiency by Ordinance No. 176 (enacted by 1948). From this abolition of law clauses, the preventive custody turned into illegal, the management of the legal system of the preventive custody has continued just as habitual practice, on working level. Even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government of Republic of Korea the leading members of the police has used this ‘illegal’ preventive custody vigorously and continually for suppressing the left-wing, the neutral, and even the right-wing to eradicate the anti-movement of Rhee Seung-Man’s dictatorship. The preventive custody of the military has been managed under Article 13 of the Martial Law. Before the Korean War, the custody and punishment of civilians for preventive purpose were very usual. Those cases were committed as application of the Article 32, 33 o the Law for the Government of Korean Constabulary to civilians. The Law of limitations of investigation of the military police and military intelligence agencies was enacted by 1949 for imposing the limitations on the abusing power of the military preventive custody. However, by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nd the promulgation of Martial Law, the preventive custody was freed from the limitations at all, and further to this, the military power incapacitated the strict requirements for the activation of the preventive custody fixed under Article 13 of the Martial Law. On this context, the preventive custody towards domestic civilians as preparation for the potential massacre was not made and committed from the outside of the legal system, but from the inner relationship with the law and order. This study analyzed the notification / command from the superior office and report / understanding from the lower office of the preventive custody concretely. On aspect of the police, the study found the backgrounds of the fast delivery of the police preventive custody just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as focusing on the civilian inspection system and the awareness on Bodoyonmang (National Guidance Alliance) of the police, and the role of security commissioner Chang Sukyoon. And on the aspect of the military, the management of the preventive custody were powered by the commands of the Army headquarters (the director of information bureau Chang Doyoung) and the provost of marshal headquarters (the provost marshal Song Yochan) and the role (activity) of ‘eradication of inner enemy’ of counter intelligent corps and military police before and during the Korean War. Furthermore, this study conside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lice-the prosecution-the military surrounding the authority and commitment of the preventive custody. As the next, this study analyzed the specific aspects of the management of preventive custody; the process of the screening and classification of a person under potential custody and characteristics from the aspects. In detail, this study found these points; the civilian massacre was committed systematically and organizationally by the command delivered from the most superior office, the ‘tracking down’ for the civilian massacre was frequently committed through the inspection and screening of the refugee, and the preventive custody and massacre were repeated continuously across the rear area during the Korean War.
참고문헌 (Reference)
1 정용욱, "해방직후 주한미군 방첩대 조직체계와 활동" 53 : 2007
2 "한성일보"
3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1991
4 헌병사편찬위원회, "한국헌병사" 헌병사령부 1952
5 오병두, "한국전쟁기 예비검속 관련 법적 문제점: ‘국민보도연맹사건’을 중심으로<한국전쟁기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의 법적 쟁점>" 진실화해위 2009
6 이임하, "한국전쟁기 부역자 처벌" 수선사학회 (36) : 101-140, 2010
7 강성현, "한국전쟁 초기 형무소 재소자 학살: 대전형무소 재소자 학살을 중심으로" 2007
8 정병준, "한국전쟁 초기 국민보도연맹원 예비검속·학살사건의 배경과 구조" 한국역사연구회 (54) : 91-130, 2004
9 김득중, "한국전쟁 전후 육군 방첩대(CIC)의 조직과 활동" 수선사학회 (36) : 21-62, 2010
10 강성현, "한국전쟁 전 정치범 양산 ‘법계열’의 운용과 정치범 인식의 변화" 수선사학회 (36) : 63-100, 2010
1 정용욱, "해방직후 주한미군 방첩대 조직체계와 활동" 53 : 2007
2 "한성일보"
3 서중석, "한국현대민족운동연구: 해방후 민족국가 건설운동과 통일전선" 역사비평사 1991
4 헌병사편찬위원회, "한국헌병사" 헌병사령부 1952
5 오병두, "한국전쟁기 예비검속 관련 법적 문제점: ‘국민보도연맹사건’을 중심으로<한국전쟁기 민간인 집단희생 사건의 법적 쟁점>" 진실화해위 2009
6 이임하, "한국전쟁기 부역자 처벌" 수선사학회 (36) : 101-140, 2010
7 강성현, "한국전쟁 초기 형무소 재소자 학살: 대전형무소 재소자 학살을 중심으로" 2007
8 정병준, "한국전쟁 초기 국민보도연맹원 예비검속·학살사건의 배경과 구조" 한국역사연구회 (54) : 91-130, 2004
9 김득중, "한국전쟁 전후 육군 방첩대(CIC)의 조직과 활동" 수선사학회 (36) : 21-62, 2010
10 강성현, "한국전쟁 전 정치범 양산 ‘법계열’의 운용과 정치범 인식의 변화" 수선사학회 (36) : 63-100, 2010
11 "한국일보"
12 내무부 치안국, "한국경찰사 2" 1973
13 강성현, "한국 사상통제기제의 역사적 형성과 '보도연맹 사건', 1925-50" 서울대 2012
14 이도영, "죽음의 예비검속: 양민학살 진상조사보고서" 말 2000
15 "조선일보"
16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2003
17 "제민일보"
18 김학재, "정부수립후 국가감시체계의 형성과정 : 1948 ~ 1953, 정보기관과 국민반, 국민보도연맹의 운영사례" 서울대 2004
19 이승호, "우리나라 보안처분의 역사적 전개" 7 : 1995
20 문성도, "영장주의의 도입과 형성에 관한 연구 : 1954년 형사소송법의 성립을 중심으로" 서울대 2001
21 수원시, "수원근현대사 증언자료집 1" 경기출판사 2001
22 "부산일보"
23 "부산매일"
24 鈴木敬夫, "법을 통한 조선 식민지 지배에 관한 연구"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1989
25 "민주신보"
26 문준영, "미군정 법령체제와 국방경비법" 민주주의법학연구회 (34) : 97-136, 2007
27 "매일신보"
28 김갑수, "군정과 일본법 적용의 한계(1/2)" 2 (2): 1947
29 문정창, "군국일본 조선강점 36년사 하" 1967
30 진실화해위, "국민보도연맹사건 진실규명결정서" 2009
31 "경향신문"
32 장석윤, "격랑반세기 1" 강원일보사 1988
33 대검찰청, "검찰제요" 1948
34 김득중, "‘빨갱이’의 탄생: 여순사건과 반공국가의 형성" 선인 2009
35 25th CIC Detachment, "War diary and activity report" 407 : 1950
36 Bob E. Edwards, "NARA RG 319 Records of the Army Staff G-2 ID File"
37 Alan Winnington, "I Saw the Truth in Korea" 1950
38 진실화해위, "2010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2010
39 진실화해위, "2009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2009
40 진실화해위, "2009년 상반기 조사보고서" 2009
41 진실화해위, "2008피해자현황조사 용역사업충북 영동군 최종결과보고서" 2008
42 진실화해위, "2008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2008
43 진실화해위, "2007년 하반기 조사보고서" 2007
44 강성현, "1945~50년 ‘檢察司法’의 재건과 ‘사상검찰’의 ‘反共司法’" 한국민주주의연구소 (25) : 102-143, 2011
일본식민주의가 한국전쟁기 한국군위안부제도에 미친 영향과 과제
식민지 조선의 일본인 화류계 여성 -한 게이샤 여성의 생애사를 통해 본 주변부 여성 식민자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10-07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1-50) -> 사회와역사(구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9 | 1.09 | 1.1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6 | 1.11 | 1.712 | 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