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 2016 FW - 2019 SS 4대 컬렉션을 중심으로 = Makeup Trend in Hybrid Fashion: From 2016 FW to 2019 SS With the Four Collec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35881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BSTRACT Makeup Trend in Hybrid Fashion From 2016 FW to 2019 SS With the Four Collections Cha, Yu na Major in beauty Des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In the present times, unlike the past...

      ABSTRACT
      Makeup Trend in Hybrid Fashion
      From 2016 FW to 2019 SS
      With the Four Collections
      Cha, Yu na
      Major in beauty Desing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In the present times, unlike the past, diverse cultures coexist and there have been active exchanges between those cultures. Accordingly, people's cognition and value view are changing rapidly due to the social trends and economic influences. And with changes in cultures and people's cognition, the time has come that people are desperate for something newer and unexperienced rather than those which they have been accustomed to.
      As people have come to pursue the new by disintegrating and recombining the existing framework, the hybrid trend has been entrenched. The hybrid is the phenomenon that the meeting of more than two heterogeneous elements creates something new and different in nature, not the existing thing. It is characterized by creating the new thus far unexperienced. In the rapidly changing life, the hybrid is one of those which contemporary people further crave and require. This is not confined to life, technology, machinery and so on but spreads into diverse domains and daily life and has been naturally entrenched. In the fashion domain, the reality is that a diversity of fashion appears through new attempts as the existing framework is broken and diverse costumes and items come out. Accordingly, fashion designers show new clothing by disintegrating and recombing the existing fashion in the rapidly changing times. Such fields as accessories, makeup and nail as well as clothing go beyond the boundary, get mixed and generate new images.
      Among other things, makeup has so far shown the social status and position as the important means for determining the first impression and been used to protect the human body from the outside. Contemporary men as well every woman pursuing beauty have an interest in makeup, and the importance of makeup has become larger as it has come the time when individuality is emphasized more than fashion.
      If the hybrid was defined as the method of contrasting those fragmentarily mutually antithetical in the past, it has evolved into the concept of combining more than two things and creating something new at present. Accordingly, in keeping with the present times when new things are born by disintegration and recombination, there is currently a need to make a new investigation of how fashion and makeup appear to be hybridized.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d the hybrid fashion found in the collections enabling us to recognize the recent fashion trend at first glance and the concomitant makeup trend.
      The scope of this study was confined to four collections in the magazine of Marie Claire Fashion Shows with a focus on 2016F/W∼2019 S/S. It selected six seasons from the most recent 2016F/W as the research material for analysis as the trend has the most influence over the present, not the past.
      In the research method, it employed big data, excluded all key words that could not be included in the key words of the relevant trend such as silhouette, pattern, size, color and so on and extracted the key words commented by specialists with the designer with a focus on the key words of the tend not mentioned in the book of 'Lifestyle and Trend'. This study classified extracted designers and key words by number and viewed more than two as the hybrid phenomenon.
      For the purpose of makeup analysis, it was based on the definitions of terms through NCS and divided base makeup, eyebrow, eye makeup, cheek, lip and so on into natural, semi and point. This was analyzed after the setting of the criterion for analysis because of a strong subjective viewpoint in determining the criterion for makeup analysis.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makeup trend found in the hybrid fashion.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analysis of the fashion trend in all seasons showed that key words appeared in orders of retro, sportism, romanticism, feminism and androgyne and also such as ethnic, nomadism, country, futurism, orientalism.
      Second, analysis of the hybrid phenomenon in fashion showed that of 712 brands, 33% had the hybrid phenomenon of having more than two key words combined, 37% had the solo key word and 30% had no key word.
      Third, analysis of the key words overlappingly found in the hybrid fashion in all seasons showed that the most matched key words in the hybrid phenomenon appeared in orders of retro+romanticism, retro+sportism, romanticism + sportism, retro+street, ethnic+nomadism, de-constructivism + avant garde and romanticism + Victorian age.
      Fourth, the makeup trend when the hybrid phenomenon was found in fashion most showed the natural trend in base makeup, eyebrow, cheek and lip and that eye makeup showed the semi trend.
      Finally, analysis of the makeup trend of key words of the trend overlap pingly found in the hybrid fashion showed that it had the remarkable semi trend in base makeup and eyebrow and eye makeup and had the natural trend in cheek and lip.
      This study showed that the unlike the past, the hybrid fashion is currently becoming entrenched in more diverse and new fields and changing in fashion in accordance with economic indicators and social trends, or that the hybrid trend may move with changes in consumers' new needs. Divers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as to what hybrid phenomenon will emerge in the future, for what reason the hybrid phenomenon changes and how makeup changes accordingly.



      Key words : makeup, beauty, hybrid, trend fashion, coordin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는 과거와 달리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그 문화들 간의 교류가 활발해졌다. 그에 따라 사회적 경향이나 경제적 영향을 받아 사람들의 인식과 가치관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문화와...

      현대는 과거와 달리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그 문화들 간의 교류가 활발해졌다. 그에 따라 사회적 경향이나 경제적 영향을 받아 사람들의 인식과 가치관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며, 문화와 사람들의 인식도 변화함에 따라 기존에 익숙한 것들보다는 더 새롭고 접해보지 못한 무언가를 갈망하는 시대가 되었다.
      기존의 틀을 해체하고 재조합하여 새로운 것들을 추구하게 되면서 하이브리드 트렌드가 정착되어 가고 있다. 하이브리드는 이질적인 요소가 두 가지 이상 만나서 기존의 성질이 아닌 새롭고 다른 성질의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현상으로, 지금까지 접해보지 못한 새로운 것을 창조해내는 점이 특징이다. 빠르게 변화하는 삶 속에서 하이브리드는 현대인들이 더욱 갈망하고 요구하는 것 중 하나인데, 이는 생명, 기술, 기계 등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영역과 일상생활에까지 스며들어 자연스럽게 자리 잡아가고 있다. 패션 영역에서도 기존에 있던 틀이 깨지며 다양한 의상과 아이템들이 나오고 새로운 시도를 통해 다양한 패션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패션 디자이너 역시,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속에 기존에 선보였던 패션을 해체하고 재조합함으로써 새로운 의상들을 선보이고 있다. 의상뿐만 아니라 액세서리나 헤어, 메이크업, 네일도 서로 경계를 넘나들며 뒤섞이고 새로운 이미지들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메이크업은 첫인상을 결정짓는 중요한 수단으로 과거부터 신분과 지위를 나타냈으며, 자신의 과장이나 은폐, 자연환경이나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어왔다. 아름다음을 추구하는 모든 여성은 물론, 현대에는 남자들까지도 메이크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유행보다는 개성을 중요시하는 시대가 다가오면서 메이크업의 중요도는 더욱 커졌다.
      과거에는 단편적으로 서로 상반되는 것들의 대조방법으로써 하이브리드를 구분하였다면, 현재의 하이브리드는 두 가지가 아닌 두 가지 이상이 모여 새로운 무언가를 만들어내는 개념으로 진화했다. 따라서 해체와 재조합으로 새로운 것들이 끊임없이 탄생하는 현시대에 맞춰, 패션과 메이크업은 어떻게 하이브리드 되어 나타나고 있는지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또 최신 패션 트렌드를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컬렉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패션과 그에 따른 메이크업 경향을 함께 분석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2016F/W∼2019S/S 시즌을 중심으로 마리끌레르(Marie Claire) 패션쇼 북의 4대 컬렉션을 대상으로 한다.
      연구 방법은 빅데이터를 통해, 실루엣, 무늬, 사이즈, 컬러 등 해당 트렌드 키워드에 포함될 수 없는 키워드는 제외하고, 전문가의 코멘트가 작성이 되어있는 키워드를 도서 ‘라이프스타일과 트렌드’에 기재 되어있는 트렌드 키워드를 중심으로 디자이너와 함께 추출했다. 추출된 디자이너와 키워드는 개수 별로 분류하여 두 가지 이상을 하이브리드 현상으로 보았다.
      메이크업 분석은 NCS를 통한 용어 정립을 기본으로 하여 베이스 메이크업(Base makeup), 아이 브로우(Eye Brow), 아이 메이크업(Eye makeup), 치크(Cheek), 립(Lip) 등을 내추럴(Natural)과 세미(Semi), 강조(Point)로 나누어 분석한다. 분석 기준은 토탈 코디네이션에서 보인 메이크업이 진하기로 표현되어야 패션과 메이크업의 조화를 확인할 수 있어 기준을 이와같이 정하였다.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시즌에서 유행 추이를 분석하였을 때, 키워드는 레트로, 스포티즘, 낭만주의, 페미니즘, 양성성 순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에스닉, 노마디즘, 컨트리, 퓨처리즘, 오리엔탈리즘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패션에서 하이브리드 현상을 보인 결과는 712개 브랜드 중 2가지 이상의 키워드들이 합쳐진 하이브리드 현상은 33%, 하나의 키워드를 가지고 있는 솔로 키워드는 37%, 트렌드 키워드가 나타나지 않은 현상은 30%로 분석되었다.

      셋째, 시즌 전체의 하이브리드 패션에서 중복적으로 보인 트렌드 키워드 중에서 가장 많이 매치되어 보인 키워드는 다음과 같다. 레트로+낭만주의, 레트로+스포티즘, 낭만주의+스포티즘, 레트로+스트리트, 에스닉+노마디즘, 해체주의+아방가르드와 낭만주의+빅토리안시대 순으로 하이브리드 되어있었다.

      넷째, 패션에서 하이브리드 현상이 나타날 때의 메이크업 경향은 베이스 메이크업과 아이 브로우, 치크, 립에서 내추럴 경향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아이 메이크업에서 세미 경향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하이브리드 패션에서 중복적으로 보인 트렌드 키워드의 메이크업 경향 분석한 결과는 베이스 메이크업과 아이 브로우, 아이 메이크업에서 세미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으며, 치크와 립에서는 내추럴 경향이 표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하이브리드 패션은 과거와 달리 더욱 다양하고 새로운 방면으로 정착되고 있으며, 패션에서는 경제적 지수나 사회적 경향에 따라 변화하거나, 소비자의 새로운 니즈가 변화하면 하이브리드 경향도 그에 따라 움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출된 결론을 토대로 미래에는 어떤 하이브리드 현상이 나타나는지, 어떠한 이유로 하이브리드 현상에 변화가 있는지, 그에 따른 메이크업은 어떻게 변화하는지에 등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 차 ⅳ
      • 그림목차 ⅶ
      • 국문초록 ⅻ
      • 제1장 서론 1
      • 표 목 차 ⅳ
      • 그림목차 ⅶ
      • 국문초록 ⅻ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의의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4
      • 1. 연구 범위 4
      • 2. 연구 방법 4
      • 제2장 이론적 배경 7
      • 제1절 하이브리드의 정의 및 발생 배경 7
      • 1. 하이브리드의 정의 7
      • 2. 하이브리드의 발생 배경 8
      • 제2절 사회적 배경 및 문화 전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9
      • 1. 소비자의 배경 9
      • 2. 생명 분야 11
      • 3. 기술·과학 분야 12
      • 4. 전기·기계 분야 13
      • 5. 상업·마케팅 분야 15
      • 6. 공연·예술·문화 분야 17
      • 7. 건축 분야 20
      • 8. 패션 분야 20
      • 9. 뷰티 분야 23
      • 제3장 연구 분석 방법 25
      • 제1절 트렌드 키워드 고찰 25
      • 1. 트렌드 키워드의 의미 사용 25
      • 제2절 메이크업의 개념 33
      • 1. 메이크업의 정의 33
      • 2. 메이크업의 분석 기준 34
      • 제4장 시즌별 하이브리드 분석 36
      • 제1절 2016F/W 컬렉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 36
      • 1. 시즌 유행 추이 36
      • 2. 2016F/W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 37
      • 3. 2016F/W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40
      • 4. 하이브리드 패션에서 중복적으로 나타난 트렌드 키워드와 메이크업 42
      • 제2절 2017S/S 컬렉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 46
      • 1. 시즌 유행 추이 46
      • 2. 2017S/S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 47
      • 3. 2017S/S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49
      • 4. 하이브리드 패션에서 중복적으로 나타난 트렌드 키워드와 메이크업 50
      • 제3절 2017F/W 컬렉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 55
      • 1. 시즌 유행 추이 55
      • 2. 2017F/W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 56
      • 3. 2017F/W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59
      • 4. 하이브리드 패션에서 중복적으로 나타난 트렌드 키워드와 메이크업 60
      • 제4절 2018S/S 컬렉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 64
      • 1. 시즌 유행 추이 64
      • 2. 2018S/S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 65
      • 3. 2018S/S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68
      • 4. 하이브리드 패션에서 중복적으로 나타난 트렌드 키워드와 메이크업 69
      • 제5절 2018F/W 컬렉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 73
      • 1. 시즌 유행 추이 73
      • 2. 2018F/W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 74
      • 3. 2018F/W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77
      • 4. 하이브리드 패션에서 중복적으로 나타난 트렌드 키워드와 메이크업 78
      • 제6절 2019S/S 컬렉션에 나타난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 82
      • 1. 시즌 유행 추이 82
      • 2. 2019S/S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 83
      • 3. 2019S/S 시즌의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86
      • 4. 하이브리드 패션에서 중복적으로 나타난 트렌드 키워드와 메이크업 87
      • 제7절 하이브리드 패션과 메이크업 경향 분포도 91
      • 1. S/S와 F/W의 유행 추이 시즌별 분석 91 91
      • 2. S/S와 F/W의 하이브리드 현상 분석 91
      • 3. 도시별 하이브리드 현상 분석 92
      • 4. 동일한 키워드가 중복적으로 하이브리드 된 패션 93
      • 5. S/S와 F/W 하이브리드 패션에 나타난 메이크업 경향 분석 94
      • 제5장 결론 99
      • 참고문헌 104
      • ABSTRACT 1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