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등 예비 체육교사의 무용수업 참여 후 수업 실천 가능성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1169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 체육교사들의 무용수업 참여 후 무용수업 실천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예비 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조사방법인 개방...

      본 연구는 예비 체육교사들의 무용수업 참여 후 무용수업 실천 가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해 예비 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 조사방법인 개방형질문지와 심층면담을 진행하였으며 도출된 결과는 첫째, 경험 전의 심상(心象), 둘째, 경험 후의 성장(成長), 마지막으로 실천 가능성으로의 변화(變化)로 종합할 수 있다. 먼저, 경험 전의 심상(心象)으로는 무용에 대해 ‘무지함’, ‘생소함’, 그리고 ‘호기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무용을 전혀 경험해 보지 않음으로써 느낄 수 있는 감정으로 보인다. 다음으로 경험 후, 성장(成長)의 요인으로 ‘시각적 성장’, ‘정서적 성장’, ‘기술적 성장’으로 도출되었으며 이는 무용을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능력, 예술로서의 무용에 대한 감성적 역량강화, 그리고 실질적 수업경험을 통한 지도 원리 등에 대한 학습의 기회였으며 효과적인 경험이었음을 의미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실천 가능성, 변화(變化)의 요인으로는 ‘시도해볼만한 수업’ 그리고 ‘인식의 변화, 그러나 어려움’의 요인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거의 대부분의 예비 체육교사들이 무용수업 참여 후, 무용수업 현장 실천 가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수의 예비 체육교사들만이 현장적용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이것은 충분한 교육경험의 부재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by qualitative research is to promote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dance class in pre-service education system and to give an opportunity to show possibility of dance class to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colle...

      The goal of this study by qualitative research is to promote the qualitative development of dance class in pre-service education system and to give an opportunity to show possibility of dance class to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collect material for this study, we took qualitative research by giving an in-depth-interview and open-ended questionnaire. The result of this method is in the following; firstly they got the image before experience, secondly the growth after experience and finally the change to possibility of application. First, they had an image in dance class such as ignorance, strangeness and curiosity before experience. It seems that because they had no chance to take any dance education before. Secondly, they showed visual growth, emotional growth and technical growth after experience. It means that they had an opportunity to acquire the ability to appreciate dance, enrich the emotional capacity to dance as an art and learn how to apply the principle guidance by practical lesson experience. Lastly, the change to possibility of application is due to the conversion in perception while it is difficult and their motivation to attempt. It is shown that most students have positive thinking of applying dance calss in th field after taking part in dance education. Only a few students had difficulty in applying in the field and that is because of the absence of sufficient educational experienc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성희, "호기심이 스포츠미디어 소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523-543, 2008

      2 송언근, "탐구에 친숙해지기와 익숙해지기 -사회과 지리 영역을 대상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5-27, 2008

      3 서예원, "초등학교 무용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16 (16): 79-100, 2005

      4 김용환, "초등예비교사의 체육교재연구 수업과정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195-210, 2010

      5 김옥태, "체조의 재평가: 덕육과 희열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01-116, 2008

      6 유지영, "체육교사의 무용교육 교수활동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서울지역 중등학교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정소민, "체육교사의 고충과 실천적 노력에 관한 인식분석 : 무용전공 체육교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8 김미송, "체육과목 내에 중등 무용교육의 독자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최하영, "창작무용을 통한 초등학생의 감성지수 변화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3 (23): 105-119, 2012

      10 최지연, "중학생 체육교육과정중 무용교육 내용 분석"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 박성희, "호기심이 스포츠미디어 소비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21 (21): 523-543, 2008

      2 송언근, "탐구에 친숙해지기와 익숙해지기 -사회과 지리 영역을 대상으로-" 한국사회과교육연구학회 47 (47): 5-27, 2008

      3 서예원, "초등학교 무용감상 프로그램 개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16 (16): 79-100, 2005

      4 김용환, "초등예비교사의 체육교재연구 수업과정 분석" 한국체육교육학회 15 (15): 195-210, 2010

      5 김옥태, "체조의 재평가: 덕육과 희열을 중심으로" 한국체육철학회 16 (16): 101-116, 2008

      6 유지영, "체육교사의 무용교육 교수활동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 서울지역 중등학교 '무용을 전공한 체육교사'를 대상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7 정소민, "체육교사의 고충과 실천적 노력에 관한 인식분석 : 무용전공 체육교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2

      8 김미송, "체육과목 내에 중등 무용교육의 독자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9 최하영, "창작무용을 통한 초등학생의 감성지수 변화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3 (23): 105-119, 2012

      10 최지연, "중학생 체육교육과정중 무용교육 내용 분석"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 김새미, "중학교 체육교사의 무용수업 인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2 이은실, "중학교 체육교사의 무용교육 현황 및 실태 조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13 이원주, "중학교 체육, 무용교사의 무용교육과 평가에 대한 인식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7

      14 김현숙, "중학교 무용수업 참여자들의 무용정서가 수업분위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 (24) : 19-34, 2011

      15 전은희, "중학교 무용교육에 관한 연구 : 제6차와 제7차 교육과정의 비교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6 최진숙, "중학교 남자 체육교사의 무용수업 실천 경험에 관한 사례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17 안민지, "중등학교 체육교사의 무용수업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1

      18 전숙란, "중등학교 체육교사들의 무용교육 이해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19 이종형, "중등체육교원 임용시험의 수업실연평가에 대한 변화가능성과 발전 방향" 교육연구소 10 (10): 57-75, 2009

      20 김보미, "중등체육교사의 무용교육 수행과정 현황분석 : 무용전공교사와 체육전공교사의 대비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21 임선화, "중등 체육교과서의 무용단원 비교 분석 : 제 7차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교과서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2 이혜주, "유치원 현장실무교육이 예비교사들의교사 효능감과 자기개념에 미치는 효과" 11 (11): 17-31, 2002

      23 박 현, "유아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창작 무용 프로그램 개발 연구"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4 이기화, "움직임교육(Movement Education)에 의한 창의적 무용학습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7 (7): 329-336, 2002

      25 김연희, "예비유아교사 임용직전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교사역량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3

      26 정희자, "아동을 위한 무용 공연 활성화 방안" 한국무용교육학회 18 (18): 1-26, 2007

      27 김정환, "수업의 질 개선을 위한 교사 수업능력 자기평가 방략에 관한 논리적 고찰" 한국교육평가학회 18 (18): 19-38, 2005

      28 한석실, "수업사례 활동이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4 (14): 325-352, 2007

      29 황혜정, "수업 상황에 관한 교사 지식의 평가 요소 탐색" 한국학교수학회 13 (13): 397-413, 2010

      30 권윤방, "무용학 개론" 대한미디어 2009

      31 김지희, "무용전공자의 교육대학원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32 박보미, "무용전공자의 교육대학원 교육경험에 관한 이야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33 김인형, "무용교과 수강을 통한 초등 예비교사의 내적동기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5 (45): 327-336, 2006

      34 함지선, "무용 전공자들의 무용포기 및 진로 고민에 관한 탐색" 한국체육학회 48 (48): 485-494, 2009

      35 함지선, "무용 수업에 대한 체육교사의 성찰과 한계" 10 : 63-73, 2007

      36 전준석, "다양한 목표설정 통한 동기유발의 운동학습 효과" 한국체육과학회 16 (16): 245-253, 2007

      37 곽정연, "낯선 것에 대한 공격적 태도에 관한 정신분석학적 연구- 파스빈더의<불안은 영혼을 잠식한다>를 중심으로" 한국독일어문학회 13 (13): 1-22, 2005

      38 김태희, "남자체육교사들의 무용 수업 운영 실태 및 부담 요인 분석"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39 정은이, "교직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모의수업의 교육적 효과-교직과정 몰입과 교과관련 교사 효능감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0 (10): 27-56, 2009

      40 이강순,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학교무용에 대한 이해와 필요성 연구" 한국체육교육학회 8 (8): 290-304, 2003

      41 김인형, "교육대학교 학생들의 무용수업 태도와 무용교육 의도와의 관계" 한국여성체육학회 19 (19): 117-129, 2005

      42 최경희, "교육대학 예비교사들의 무용지도력 향상에 관한 연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1 (21): 83-111, 2010

      43 최경희, "교육대학 예비교사들의 무용 지도력 향상에 관한 인식 및 요구" 한국무용교육학회 22 (22): 33-51, 2011

      44 이정연, "교육대생들의 창작무용실습을 통해 본 미적체험의 의미" 한국초등체육학회 18 (18): 35-46, 2012

      45 Koff, S. R., "Toward a Definition of Dance Education" 77 (77): 27-31, 2000

      46 Mathiesen, J. A., "Teacher perceptions related to technology tools for curriculum alignment: A survey of teachers' response to a curriculum mapping tool" Pepperdine University 2008

      47 Litman, J. A., "Measuring epistemic curiosity and its diversive and specific components" 80 : 75-86, 2003

      48 Collins, R. P., "Measurement of curiosity as a multidimensional personality trait" University of South Florida 2000

      49 Ronit, R. T., "Dance Education: Choreographing the Dance Teachers' Path Within Israel's Schools" Lesley University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8 1.78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1 1.8 1.668 0.5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