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 The Actual State and Transformation of Major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 during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45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낙선재, 주합루, 존덕정, 대보단지를 중심으로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양상을 고찰하였다. 전각, 식생, 구조물과 달리 상대적으로 관심이 저조했던 점경물...

      본 연구는 낙선재, 주합루, 존덕정, 대보단지를 중심으로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양상을 고찰하였다. 전각, 식생, 구조물과 달리 상대적으로 관심이 저조했던 점경물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상을 조명하기 위한 의도이다. 본 연구의성과는 향후 창덕궁 내 점경물의 복원정비계획 수립에 요긴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1901년 체코인 브라즈가 촬영한 사진에 따르면 당시 낙선재 후원에는 석지(石池)와 괴석을 비롯해 총 6기의 점경물이 소재했다.
      후원의 지면에는 금사연지(琴史硯池)로 불리는 석지와 괴석 2기, 화계 1단에는 괴석 3기가 배치되어 있었다. 해방 이후부터 괴석의 임의적인 재배치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그 과정에서 본래 화계 1단에 위치했던 괴석 2기는 경훈각(景薰閣) 후원으로 이설된 상태이다.
      둘째, 「동궐도」가 제작된 조선후기와 달리 1900년대 초반 주합루 후원에는 괴석 2기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외형, 규격, 의장이 유사한 전통적 양식의 점경물이었다. 하지만 주합루 후원의 괴석은 모두 1970~1980년대에 타지로 이설되어 현재는 고유위치를 벗어난 상태이다. 1기는 빙천(氷泉) 입구와 금천교 인근을 거쳐 애련정 후면에, 또 다른 1기는 연경당 장락문(長樂門) 앞에 남아 있다.
      셋째, 과거 존덕정 일곽에 소재했던 점경물 중 괴석 1기는 현재 구성 부재가 분리된 상태로 정자 주변 석교와 영화당 인근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영화당 인근의 대석은 1990년 무렵 앙부일구 모조품을 설치하기 위한 용도로 이설되었다. 또 다른 괴석 1기는후원 정문으로 이설된 이후 현재는 소재 파악이 어려우며, 본래 위치에는 완전히 상이한 형태의 점경물이 새롭게 배치되어 있다.
      넷째, 대보단지에 현존하고 있는 대석 2기는 일제강점기 당시 이왕직청사(李王職廳舍) 현관 기둥의 초석으로 사용되던 건축 부재였다. 해방 이후 이왕직청사가 구황실재산사무총국으로 개편되고, 1960년 무렵 사무총국 건물이 전소되자 기단 위에 배치되어 있던 석상(石像)과 대석이 대보단지로 이설되었다. 대보단지의 대석은 건축부재가 점경물로 오인되고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and transformation of the major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focusing on Nakseonjae(樂善齋), Juhamnu(宙合樓), Jondeokjeong(尊德亭), and Da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and transformation of the major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focusing on Nakseonjae(樂善齋), Juhamnu(宙合樓), Jondeokjeong(尊德亭), and Daebodanji (大報壇址).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lan of the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 an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 photo taken by the Czech Vráz, in 1901, a total of six garden ornaments, including a stone pond and odd-shaped stones, were located in the backyard of Nakseonjae. Since liberation, arbitrary relocation of garden ornaments has frequently occurred, and in the process, two odd-shaped stones, originally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terraced flower bed, have been transferred to the backyard of Gyeonghungak(景薰閣).
      Second, unlike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Donggwoldo(東闕圖)」 was produced, odd-shaped stones were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backyard of Juhamnu in the early 1900s. It was a traditional style garden ornament with similar appearance, size, and design. However, all the odd-shaped stones in the backyard of Juhaumnu were relocated to other places in the 1970s and 1980s. One is located at the rear of Aeryeonjeong(愛蓮亭) through the entrance of Bingcheon(氷泉) and the vicinity of Geumcheongyo(錦川橋), and the other remains in front of the Yeongyeongdang Jangnakmun(演慶堂 長樂門).
      Third, among the garden ornaments located in the area of Jondeokjeong in the past, one odd-shaped stone is now relocated around the stone bridge near the pavilion and the Yeonghwadang(暎花堂) with its components separated. The bondstone near Yeonghwadang was relocated in 1990 for the purpose of installing an imitation of Angbuilgu(仰釜日晷). Another odd-shaped stone has been relocated to the front door of the Secret Garden(後苑), and now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location.
      Fourth, the two bondstones remaining in the Daebodanji were actually building materials that were used as the foundation stone for the entrance pillars of the Yi Royal Office Building(李王職廳舍)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the Yi Royal Office Building was reorganized into Imperial Estate Administration Office(皇室財産事務總局), and when the office building was burned down in 1960, the stone statues and foundation stones placed on the stylobate were relocated to the Daebodanji. The bondstone at Daebodanji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onstruction materiasl being mistaken for gaeden ornam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세키노 타다시, "한국건축조사보고" 동경제국대학공과대학 1904

      2 정재훈, "한국 전통의 원(苑)" 도서출판 조경 1996

      3 "파인아트 뮤지엄 홈페이지"

      4 정우진, "창덕궁 후원 존덕정 일원 지당의 변형과 조영경위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31 (31): 71-86, 2013

      5 조운연, "조선시대 궁원의 전통조경구조물 복원에 관한 연구 : 창덕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2002

      6 姜聲愛, "조선시대 궁원의 괴석에 대하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8

      7 윤국병, "조경사" 일조각 1978

      8 "정책브리핑 홈페이지"

      9 최준형, "정원 점경물 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경복궁·창덕궁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2

      10 김화옥, "전통정원에 활용된 괴석의 상징문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 세키노 타다시, "한국건축조사보고" 동경제국대학공과대학 1904

      2 정재훈, "한국 전통의 원(苑)" 도서출판 조경 1996

      3 "파인아트 뮤지엄 홈페이지"

      4 정우진, "창덕궁 후원 존덕정 일원 지당의 변형과 조영경위에 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 31 (31): 71-86, 2013

      5 조운연, "조선시대 궁원의 전통조경구조물 복원에 관한 연구 : 창덕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2002

      6 姜聲愛, "조선시대 궁원의 괴석에 대하여" 全南大學校 大學院 1998

      7 윤국병, "조경사" 일조각 1978

      8 "정책브리핑 홈페이지"

      9 최준형, "정원 점경물 문양의 상징성에 관한 연구 : 경복궁·창덕궁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2002

      10 김화옥, "전통정원에 활용된 괴석의 상징문화"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11 "일본 학습원대학 홈페이지"

      12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

      13 "워싱턴대학 도서관 홈페이지"

      14 이철원, "왕궁사" 동국문화사 1954

      15 경향신문, "앙부일구 모조품 제작·설치"

      16 정우진, "동궐도(東闕圖)에 나타난 괴석(怪石)의 배치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 32 (32): 12-26, 2014

      17 "국립고궁박물관 홈페이지"

      18 "국가기록원 소장 일반문서. 관리번호 BA0004664"

      19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필름류. 관리번호 DET0035980"

      20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필름류. 관리번호 CET0061390"

      21 "국가기록원 소장 사진필름류. 관리번호 CET0050484"

      22 경향신문, "韓國의 돌 <34> 庭園石"

      23 서울역사박물관, "1901년 체코인 브라즈의 서울 방문 : 체코 여행가들의 서울 이야기" 서울역사박물관조사연구과, 주한체코공화국대사관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5-01-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원학회지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1 0.31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5 0.58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