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다전문직 현장인 학교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학생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교사와 사회복지사들의 공동작업 중 파생되는 상호작용을 탐색하여 두 전문직에서 바라보는 협력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5868155
201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63-213(51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다전문직 현장인 학교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학생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교사와 사회복지사들의 공동작업 중 파생되는 상호작용을 탐색하여 두 전문직에서 바라보는 협력의 ...
본 연구는 다전문직 현장인 학교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학생들의 보다 나은 삶을 위해 교사와 사회복지사들의 공동작업 중 파생되는 상호작용을 탐색하여 두 전문직에서 바라보는 협력의 의미를 재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서울과 경기지역 중학교 교사 2명과 사회복지사 3명을 선정하여, 그들에게 타전문직(교사 또는 사회복지사)과의 상호작용한 경험을 스스로 이야기하도록 요구하는 문제 중심 인터뷰(problem-centered interview)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객관적 해석학(objective hermeneutics) 으로 재구성하였다. 교사와 사회복지사는 같은 장소에서 동일한 대상자를 위해 상호 협력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제로 두 전문직의 상호작용을 탐색한 결과, 전문직 간 공동의 목표와 책임이 전문성을 기초로 한 대칭적-호혜적 형태의 ‘협력’이 아닌, 한 쪽이 일방적으로 힘을 보태어 돕는 비대칭적-일방적 형태의 ‘협조’의 형태를 보이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학교에서 형태상 두 전문직이 함께 활동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교사가 중심이 되는 공간에 뒤늦게 투입된 사회복지사는 교사 쪽으로 이미 기울어진 운동장(uneven playing field)에서 균형(equilibrium)을 맞추기 위해 사회복지 영역에서 전문성을 발휘하기보다 부수적인 이벤트성 프로그램을 주로 진행하고 있어, 다전문직 간의 동등한 협력이 아닌 교사의 성공적 업무를 위한 협조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 학교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사회복지사가 어떻게 다른 전문직과 협력하며 자율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Multi professional teams in schools are supposed to benefit the lives of students.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collaboration of teachers and social workers by inquiring in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professions. By selecting two middle...
Multi professional teams in schools are supposed to benefit the lives of students. This study aims to reconstruct the collaboration of teachers and social workers by inquiring into the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professions. By selecting two middle school teachers and three social workers from Seoul and Gyeonggi- do conducting school social work programs, this study collected data based on problem-centered interviews requiring spontaneous talks about the experience of interaction with other professionals, and it reconstructed the result with the help of the method of objective hermeneutics. Even if the teachers and to a lesser degree the social workers insist that they are collaborating for the same objects in identical place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inquiry, it turned out that the common objective and responsibility were not oriented to “collaboration” in a symmetrical-reciprocal form based on professionalism, but to “help” in an asymmetric-unilateral form where one side has to offer help to another side in a unidirectional manner. Plain spoken, though both parties conduct activities at school, in reality, the social workers, who were only recently placed in the teacher-centered space, mainly carry out the collateral event-focused programs. They are not able to display their professionalism in social welfare and keep balance in the already uneven playing field inclined towards the teachers. Social workers play a role only in assisting the duties of teachers instead of being accepted as equal multi-professionals. In other words, social workers are seen only as helpers not as equals. Further cooperation should place social workers in a position of equal status, only then a professional autonomy of social workers can be achiev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 김선희, "한국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24) : 121-149, 2007
3 김영종, "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제도적 전문성 경로와 대안적 정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377-404, 2014
4 신선인, "학교사회복지현장의 가족치료적 개입에 관한 연구: 실태 및 욕구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7 : 299-324, 2014
5 정연정,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 서비스 이용에 대한 학생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0 : 121-139, 2015
6 홍순혜, "학교사회복지실천가의 현장슈퍼비전 현황과 발전 방안"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197-218, 2013
7 김광혁, "학교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8 : 55-80, 2014
8 주석진,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요인: 개인특성요인과 직무환경특성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3 : 127-155, 2016
9 최경일,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103-126, 2009
10 최경일,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교사회복지사와 부장 교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8) : 217-244, 2008
1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2 김선희, "한국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24) : 121-149, 2007
3 김영종, "한국 사회복지전문직의 제도적 전문성 경로와 대안적 정향"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41 (41): 377-404, 2014
4 신선인, "학교사회복지현장의 가족치료적 개입에 관한 연구: 실태 및 욕구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7 : 299-324, 2014
5 정연정, "학교사회복지실천에서 서비스 이용에 대한 학생의 낙인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0 : 121-139, 2015
6 홍순혜, "학교사회복지실천가의 현장슈퍼비전 현황과 발전 방안"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4 : 197-218, 2013
7 김광혁, "학교사회복지실천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8 : 55-80, 2014
8 주석진, "학교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에 미치는 요인: 개인특성요인과 직무환경특성요인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3 : 127-155, 2016
9 최경일,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103-126, 2009
10 최경일,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의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학교사회복지사와 부장 교사의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38) : 217-244, 2008
11 채완순, "학교사회복지사와 교사의 팀 협력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2
12 전재일, "학교사회복지론" 양성원 2016
13 임경선, "학교사회복지 프로그램 기획과정의 단계별 특징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9 : 123-151, 2014
14 임정임, "학교사회복지 실습교육 모델 개발에 관한 연구 -서울학교사회복지사협회의 공동실습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9 : 283-308, 2014
15 홍순혜,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의 현황과 방향 -대학 학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2 : 327-355, 2015
16 윤철경, "학교부적응 학생을 위한 교육지원 방안" 1-316, 2011
17 이순희, "학교라는 장(field)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차별경험과 대응방식: 대구광역시의 사례" 한국사회복지연구회 46 (46): 215-245, 2015
18 안정선, "학교 현장 사회복지 슈퍼바이저 양성 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분석"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9 : 343-374, 2014
19 주석진, "학교 내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과 보호요인"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32 : 53-85, 2015
20 "표준대국어사전"
21 이준상, "특수학교 장면에서의 학교사회복지에 관한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5 (5): 451-468, 2004
22 최낙환, "쾌락적 탐닉선택에 대한 환경적 프라이드 유형의 역할" 한국마케팅학회 31 (31): 93-111, 2016
23 이희연, "초등학교 학교사회복지사의 사례관리 실천경험 -경기도지역을 중심으로-"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9 : 309-341, 2014
24 손순용, "초·중등교사의 학교사회복지에 대한 인식 연구-광주· 전남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7 (7): 157-177, 2005
25 이봉세, "직무특성과 주인의식문화가 심리적 소유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고용노사관계학회 19 (19): 139-167, 2009
26 김교헌, "지역민의 심리적 주인의식" 6 : 107-125, 1995
27 유은주, "중등학교 교사들의 학생지도 현황과 학교사회사업에 대한 인식에 관한 연구" 4 (4): 81-109, 2001
28 이혜정, "중등교사 역할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4 (14): 500-512, 2014
29 김고은, "전문분야 간 팀 협력의 유형화와 유형별 서비스 성과에 대한 인식 - 장애인복지관의 사정 및 계획수립 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복지학회 (19) : 173-192, 2012
30 이효선,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정민사 2012
31 백수연, "우리나라 학교사회사업의 실천현황과 활성화 방안"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6
32 오흥명, "열등감에 관하여 - 열등감에 관한 심리학적, 존재론적 분석과 탈가치의 윤리학을 위한 시론 -" 한국현상학회 (67) : 67-105, 2015
33 류미령, "아동보호서비스 실천현장의 전문가 협력효과 결정요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6
34 우정자, "아동, 청소년 복지 서비스 조직간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4 (14): 263-285, 2007
35 박준기, "스타트업 팀의 조직 자부심 선행요인: 팀 효율성, 일과 삶의 균형, 사회적 자본을 중심으로" 경영경제연구소 39 (39): 163-188, 2017
36 이명신, "성폭력 상담자의 다전문직간 연계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15 (15): 1101-1124, 2014
37 김미원, "사회사업실천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제언 : 사회사업실천의 임상중심경향과 전문화지향에 대한 비판적 고찰" 31 : 171-190, 1997
38 문성호, "사회사업실천의 연구방법에 관한 논쟁 : 통합적 접근의 모색" 33 : 144-161, 1997
39 김영종, "사회복지전문직의 원인론(etiology) 분석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소 24 (24): 83-102, 2008
40 이효선,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질적 연구: 이론과 실제" 학현사 2005
41 유연숙, "사회복지사가 경험한 윤리적 갈등과 윤리적 의사결정의 의미 재구성" 사회복지연구소 13 (13): 73-114, 2016
42 이민홍, "사회복지관간의 협력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전국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43 이봉주,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신정 2014
44 이효선, "사회복지 윤리와 철학" 학지사 2016
45 양병화, "비정규직 계약직 근로자와 정규직 근로자의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 14 (14): 73-93, 2001
46 김미주, "보건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간의 지역사회 보건·복지 협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4
47 임경선, "민간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의 학교배치 배경과 과정, 성과" 45-58, 2014
48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 "내부문서: 2018년도 제14회 학교사회복지사 자격시험 시행 공고문"
49 임헌경, "구성원의 조직기반 인식이 심리적 소유감과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적자원개발학회 19 (19): 151-183, 2016
50 김정숙,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 사업 관계자간의 갈등: 그 현상과 본질" 한국교육사회학회 21 (21): 25-54, 2011
51 진혜경, "교육복지 서비스 전달의 학과내 전문직간 협력 경험 사례연구" 한국청소년학회 13 (13): 225-258, 2006
52 최경일, "교사가 인식하는 학교장의 리더십이 교사와 학교사회복지사의 협력에 미치는 영향: 학교문화와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욕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소 27 (27): 29-46, 2011
53 고인석, "공시적 통약불가능성의 개념과 양상-전문분야간 협력과 관련하여" 대한철학회 103 : 1-24, 2007
54 Bourdieu, P., "Zur Soziologie der symbolischer Formen" Suhrkamp 1974
55 Beer, J. S., "What Is Unique about Self-conscious Emotions?" 15 (15): 126-129, 2004
56 Bruner, C., "Thinking collaboratively: ten questions and answers to help policy makers improve children’s service" Education and Human Service Consortium 1991
57 Flick, U., "Theorie, Methoden, Anwendung in Psychologie und Sozialwissenschaften" Reinbek bei Hamburg 1996
58 Garz, D., "Theorie der Lebenspraxis : Einführung in das Werk Ulrich Oevermanns" Springer VS 2015
59 Barker, R. L., "The Social Work Dictionary" NASW Press 1995
60 진혜경, "Teacher’s Expectations of Student Service Professionals’ Role"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16 : 75-90, 2009
61 Dente, C. L., "Teachers and Social Workers: Collaboration in a Changing Environment" 26 : 1-8, 2001
62 Morris, K., "Social Work and Multi-Agency Working: Making a Difference" The Policy Press 2008
63 Tracy, J. L., "Putting the Self into Self-Conscious Emotions: A Theoretical Model" 15 (15): 103-125, 2004
64 Vandewalle, D., "Psychological Ownership: An Empirical Examination of Its Consequences" 20 (20): 210-226, 1995
65 Raven, U., "Professionalization in Social Work" 17 (17): 79-96, 2011
66 Oevermann, U., "Professionalisierung der Pädagogik – Professionalisierbarkeit pädagogischen Handelns" 1981
67 Cheng, J. T., "Pride, Personality, and the Evolutionary Foundations of Human Social Status" 31 (31): 334-347, 2010
68 Glasby, J., "Partnership Working in Health and Social Care" The Policy Press 2008
69 Garz, D., "Objektive Hermeneutik, Handbuch Qualitative Forschungsmethoden in der Erziehungswissenschaft" Juventa-Verl 2010
70 Kim, A. J.,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in school social work: building relationships for ecological change" 2012
71 Bronstein, L. R.,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etween social workers and other professionals: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and assessment instrument" Barry University 1999
72 Wernet, A., "Hermeneutics and objective hermeneutics, The SAGE handbook of qualitative data analysis" SAGE Publications 2014
73 Brinks, S., "Grundschulsozialarbeit in der Stadt Mainz- Eine Evaluation" 2014
74 Noordegraaf, M., "From ‘Pure’ to ‘Hybrid’ Professionalism: Present-Day Professionalism in Ambiguous Public Domains" 39 (39): 761-785, 2007
75 Wernet, A., "Einführung in die Interpretationstechnik der Objektiven Hermeneutik" Springer VS 2009
일본의 개호보험제도와 장애인복지제도의 제도 간 조정에 관한 고찰
죄인인가 클라이언트인가? “기독교인 사회복지사가 동성애자 클라이언트를 만났을 때”
건강위험과 보건정책 - 위험사회에서의 건강영향평가와 ‘모든 정책에서 건강우선(HiAP)’ 접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2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영문명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 -> Critical Social Welfare Academy/Academy of Critical Health Policy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20-03-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11-0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 -> 비판과대안을위한사회복지학회/비판과대안을위한건강정책학회 | ![]() |
2011-10-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상황과복지 -> 비판사회정책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8 | 1.28 | 1.3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37 | 1.35 | 1.677 | 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