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을 위한 주체별 자연휴양림 무장애성 분석 = Analysis of Barrier-free Characteristics by the Subject on Natural Recreational Forest for Universal Design Appli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97028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웰빙, 로하스 등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림공간에도 복지시설에 대한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모든 사람이 이용하는데 불편과 장애가 없도록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산...

      웰빙, 로하스 등 복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산림공간에도 복지시설에 대한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모든 사람이 이용하는데 불편과 장애가 없도록 하는 유니버설 디자인 개념을 산림복지공간에 적용하고자 하는 연구와 시도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이들 연구들이 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그것도 산림 전체적 공간에 대한 객관적 접근을 하지 못하였다는 한계점을 갖는다. 이에 본 연구는 대표적 산림복지공간인 자연휴양림에 대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주요 이용층인 일반인, 장애인을 중심으로, 필요에 따라 관리자까지 포함하여 공간이용에 대해 느끼는 무장애성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인식도 낮았고, 일반인은 산림복지공간을 장애인과 함께 이용하는데도 상당수 거부감을 가지고 있어서 유니버설 디자인에 대한 적극적 홍보와 교육이 필요하고 판단된다. 또한 이용주체별 무장애성에 대해 공간을 유형화한 결과, 장애인 이용도 어렵고 관리도 힘든 이동편리성 공간, 전체적으로 편리하게 느끼는 휴양편리성 공간, 장애인에게 불편한 서비스편리성 공간의 3개의 유형으로 나누어졌다. 세부공간에 대한 인식차이에서는 진입로, 주차장, 숙박시설에 대한 차이가 분명히 들어나 이들 공간에 대한 개선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해당 공간을 개선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개념에 맞게 모두가 함께 장애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산림복지공간을 조성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concerns toward welfare-related issues such as ‘well-being’ or ‘lohas’ are heightening, the need for introducing welfare facilities in forest areas are also increasing. In this context, there are increased attempts and researches to apply t...

      As concerns toward welfare-related issues such as ‘well-being’ or ‘lohas’ are heightening, the need for introducing welfare facilities in forest areas are also increasing. In this context, there are increased attempts and researches to apply the ‘Universal Design’ concept which would cater to the diverse needs of those using such facilities in the forest area. However, previous studie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y only focus on the disabled as the main user group, and in many cases fail to consider the forest area in a holistic mann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ntire area of natural recreational forest by comparing the perceptions of the general public,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forest welfare facility managerial group regarding barrier-free elemen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recognition of universal design remained low and the general public had negative opinions toward sharing the forest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This result reveals that education and guides regarding universal design are desperately needed. Furthermore, another significant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forest area could be differentiat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of spaces. The first type is the area inconvenient for both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managers; second, the area convenient for all users and; third, areas which are inconveni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only. Specifically, main access road, parking lot, and accommodation were elements that were perceived most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user groups which suggests immediate improvements for these areas. Based on such findings, improved forest welfare is anticipated by further developing barrier-free elements and the use of universal design concepts for everyon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 Ⅱ. 선행연구 분석
      • Ⅲ.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요약
      • Abstract
      • Ⅰ. 연구 배경 및 목적
      • Ⅱ. 선행연구 분석
      • Ⅲ.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Ⅳ. 분석결과
      • Ⅵ.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세철, "지체부자유학생의 물리적 환경과 교육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5 : 155-171, 2005

      2 이영진, "장애인의 관광접근성 개선을 위한 해변 관광지의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적용"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349-374, 2011

      3 이재혁,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산림휴양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 연구 - 유명산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계획학회 21 (21): 51-61, 2015

      4 조우,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숲길 보행시설에 대한 이용객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77-88, 2009

      5 이병수,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 본 노인친화형 공원 시설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6 최승철,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의 공공화장실 설계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625-635, 2013

      7 이선향,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본 한밭수목원 공공시설물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8 김옥주,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영동고속도로 휴게소 편의시설 디자인에 관한 평가연구 : 어린이와 영유아 동반자를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9 이경찬,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탐방환경 평가와 개선방안 -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777-793, 2013

      10 김현태, "숙박시설의 지체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15 (15): 63-72, 2004

      1 오세철, "지체부자유학생의 물리적 환경과 교육에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45 : 155-171, 2005

      2 이영진, "장애인의 관광접근성 개선을 위한 해변 관광지의 유니버설디자인(universal design) 적용"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349-374, 2011

      3 이재혁,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산림휴양공간의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 연구 - 유명산 자연휴양림을 중심으로 -" 한국농촌계획학회 21 (21): 51-61, 2015

      4 조우,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한 숲길 보행시설에 대한 이용객 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23 (23): 77-88, 2009

      5 이병수, "유니버설디자인 측면에서 본 노인친화형 공원 시설물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6 최승철,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의 공공화장실 설계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625-635, 2013

      7 이선향, "유니버설디자인 관점에서 본 한밭수목원 공공시설물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8 김옥주,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본 영동고속도로 휴게소 편의시설 디자인에 관한 평가연구 : 어린이와 영유아 동반자를 대상으로"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9 이경찬, "순천만 자연생태공원 탐방환경 평가와 개선방안 - 유니버설 디자인 원칙을 중심으로 -" 한국환경생태학회 27 (27): 777-793, 2013

      10 김현태, "숙박시설의 지체장애인 편의시설 설치현황에 관한 기초연구" 한국주거학회 15 (15): 63-72, 2004

      11 서동익, "북한산 국립공원 안내사인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적용 연구 북한산 둘레길 무장애 탐방로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학회 26 (26): 483-505, 2013

      12 최승철, "배리어프리 인증 건축물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적용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4 (14): 611-623, 2013

      13 이현철, "도시공원에 적용 가능한 유니버설디자인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 11 (11): 399-412, 2010

      14 최동식, "대구광역시 도시공원에 대한 유니버설디자인 개념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지방자치학회 14 (14): 227-251, 2012

      15 김영근, "공공시설 화장실의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 적용실태 조사 - 대구광역시를 중심으로 -" 한국장애인재활협회 12 (12): 231-249, 2008

      16 Mace, R., "What is Universal Design" The Center for Universal Design at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1997

      17 Seo, J. W., "Universal manual for forest welfare service faciliti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e 2014

      18 Oh, C. O., "Universal design characteristics in small apartment housing focusing on the physically disabled" 11 (11): 99-108, 2000

      19 Levine, D. R., "Universal Design New York: IDeA Publications, Center for Inclusive Design and Environmental Access" University at Buffalo,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2003

      20 Japanese Forestry Agency, "Universal Design Methodology for Overall Facilities in Forest" Japanese Forest Agency 1999

      21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Universal Design Manual Development for Forest Welfare Service Facilities"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4

      22 Daejeon, "Universal Design Manual" Daejoen 2008

      23 Preiser, W. F., "Universal Design Handbook" McGraw Hill Professional 2001

      24 Tokyo, "Universal Design Guideline for Making Welfare Village" Ministry of Health in Tokyo 2006

      25 Kumamoto Perfecture, "Universal Design Architctural Guideline" Kumamoto Perfecture 2003

      26 Sung, B. K., "The fundamental study how to activate the universal design in the forest recreation facilities in Korea" 4 : 42-48, 2011

      27 Gyeonggi, "Gyeonggi-do Universal Design Guideline" Gyeonggi Province 2011

      28 National Natural Recreation Forest Office, "Forest Experience Sharing Project" National Natural Research Forest Office 2012

      29 Kwon, O. J., "Case studies of residential bathrooms for adapting universal design" 23 : 5-28, 2000

      30 Lee, J. H.,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to outdoor recreation facilities" 21 (21): 7-21, 2012

      31 Jang, J. H., "A study on universal design" Hongik University 2000

      32 Je, H. S., "A study on the direction of applying universal design on buildings and facilities in Korea" 13 (13): 107-115, 1997

      33 Ha, M. K.,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universal design in facilities" 11 : 82-90, 1997

      34 Lee, J. G., "A study of museums applying universal design"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19-222, 200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9-1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산림휴양학회 ->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영문명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and Welfare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9 0.99 0.9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6 0.89 0.924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