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 관련 변인 간 구조분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13444

      • 저자
      • 발행사항

        괴산 : 중원대학교, 2023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중원대학교 , 교육학과 , 2023. 2

      • 발행연도

        2023

      • 작성언어

        한국어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형태사항

        ; 26 cm

      • 일반주기명

        지도교수: 안병환

      • UCI식별코드

        I804:43023-200000651891

      • 소장기관
        • 중원대학교 상보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국문요약

      대학생의 다문화역량 관련 변인 간 구조분석

      교육학박사 학위논문
      중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전공
      김남희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자본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감수성, 다문화역량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소재 4년제 대학과 대전, 충청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31명(남: 161, 여: 370)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다문화역량과 관련된 변인 간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자본과 다문화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감수성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다문화역량 관련 변인 간의 가설적 연구모형이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적합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초기에 설정한 연구모형에 비해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의 경로를 제거한 경쟁모형이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은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감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은 타인과 개인이 속한 사회에 대한 신뢰, 적극적인 사회참여, 호혜적 규범 등의 총합으로서 그 사회의 공동체적 가치에 기반을 둔 개념이다. 사회자본이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결국 국내 이주민과 내국인을 포함한 공동체에 대한 신뢰와 호혜적 규범이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이 다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도록 교육적 지원을 수행하기 전에 선행적으로 사회자본에 대한 이해와 공동체적 풍토가 형성될 수 있도록 실천적 교육과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수용성은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수용성은 타 문화권과 국내 이주민에 대한 고정관념 및 차별적 요소를 배제할 때 상호교류 행동의지가 발현된다. 이러한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질수록 다문화감수성(상호작용 참여도, 문화차이 존중도)과 다문화역량(지식, 태도)을 함양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인류 문화사의 관점에서 대학생이 타 문화에 대한 개방성을 가질 수 있도록 대학은 충실히 지원해야 한다.
      넷째, 다문화수용성은 사회자본과 다문화역량, 사회자본과 다문화감수성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고, 다문화수용성이 높을수록 다문화역량이 높으며, 다문화수용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감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본 연구에서 상정한 사회자본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감수성, 다문화역량이 유의미하게 구조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생의 다문화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각 변인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에 대한 성찰과 교육적 처치를 실행할 수 있는 사회와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다문화 관련 연구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던 사회자본을 중요 변수로 설정하여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감수성, 다문화역량의 관계를 실증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역량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 그동안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예비교사 대학생이나 특정 학문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는 대학생 대상 다문화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서울, 경기, 인천 소재 4년제 수도권 대학과 대전, 충청 소재 4년제 비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실시하여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표집을 확대하는 동시에 층화추출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으로써 사회자본의 역할을 중요시하여 다문화 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실증하였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다문화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지만 커다란 사회구조와의 맥락 속에서 다문화 변인의 영향 관계를 밝힐 수 있는 또 다른 변인 발굴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 주요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 실태에 관한 국가적 조사와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초․중등교육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접근이 비교적 상세히 진행되어왔으나 대학교육에서는 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대학 실태조사를 통한 다문화 관련 교육 로드맵 또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인 다문화 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번역하기

      국문요약 대학생의 다문화역량 관련 변인 간 구조분석 교육학박사 학위논문 중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전공 김남희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자본과 다문화수용...

      국문요약

      대학생의 다문화역량 관련 변인 간 구조분석

      교육학박사 학위논문
      중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교육행정학 전공
      김남희

      본 연구는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자본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감수성, 다문화역량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인천 소재 4년제 대학과 대전, 충청 소재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531명(남: 161, 여: 370)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다문화역량과 관련된 변인 간 영향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대학생이 지각하는 사회자본과 다문화역량의 관계에서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감수성이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는가?
      연구결과와 논의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 설정한 다문화역량 관련 변인 간의 가설적 연구모형이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적합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초기에 설정한 연구모형에 비해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의 경로를 제거한 경쟁모형이 더욱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자본은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감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자본은 타인과 개인이 속한 사회에 대한 신뢰, 적극적인 사회참여, 호혜적 규범 등의 총합으로서 그 사회의 공동체적 가치에 기반을 둔 개념이다. 사회자본이 다문화수용성 및 다문화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결국 국내 이주민과 내국인을 포함한 공동체에 대한 신뢰와 호혜적 규범이 우선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대학생이 다문화를 이해하고 수용하도록 교육적 지원을 수행하기 전에 선행적으로 사회자본에 대한 이해와 공동체적 풍토가 형성될 수 있도록 실천적 교육과정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수용성은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수용성은 타 문화권과 국내 이주민에 대한 고정관념 및 차별적 요소를 배제할 때 상호교류 행동의지가 발현된다. 이러한 다문화수용성이 높아질수록 다문화감수성(상호작용 참여도, 문화차이 존중도)과 다문화역량(지식, 태도)을 함양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인류 문화사의 관점에서 대학생이 타 문화에 대한 개방성을 가질 수 있도록 대학은 충실히 지원해야 한다.
      넷째, 다문화수용성은 사회자본과 다문화역량, 사회자본과 다문화감수성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자본이 높을수록 다문화수용성이 높고, 다문화수용성이 높을수록 다문화역량이 높으며, 다문화수용성이 높을수록 다문화감수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본 연구에서 상정한 사회자본과 다문화수용성, 다문화감수성, 다문화역량이 유의미하게 구조적으로 연계되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생의 다문화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각 변인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에 대한 성찰과 교육적 처치를 실행할 수 있는 사회와 대학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연구결과와 논의를 종합하여 본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그동안 다문화 관련 연구에서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던 사회자본을 중요 변수로 설정하여 다문화수용성과 다문화감수성, 다문화역량의 관계를 실증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다문화역량 관련 변인을 탐색하였다. 그동안 선행연구들은 대부분 초․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으며, 예비교사 대학생이나 특정 학문계열 대학생을 중심으로 제한적으로 실행되었다. 이는 대학생 대상 다문화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다음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서울, 경기, 인천 소재 4년제 수도권 대학과 대전, 충청 소재 4년제 비수도권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실시하여 본 연구결과를 일반화시키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의 표집을 확대하는 동시에 층화추출방식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인으로써 사회자본의 역할을 중요시하여 다문화 관련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실증하였다. 향후 후속연구에서는 다문화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지만 커다란 사회구조와의 맥락 속에서 다문화 변인의 영향 관계를 밝힐 수 있는 또 다른 변인 발굴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 주요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교육 실태에 관한 국가적 조사와 논의가 필요하다. 현재 초․중등교육에서는 다문화교육에 대한 접근이 비교적 상세히 진행되어왔으나 대학교육에서는 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가 차원에서 대학 실태조사를 통한 다문화 관련 교육 로드맵 또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대학 차원에서 체계적인 다문화 교육을 실행할 수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청소년교육론, 김현욱, 안병환, 동문사, , 2018

      2. The prosperous community, Putnam , R., 13 ( 4 ) , 35-42 ., , 1993

      3. 다문화 수용성과 젠더, 안상수, 젠더리뷰, 25, 42-52, , 2012

      4. Social capital and development, Fukuyama , F., 22 ( 1 ) , 23-37 ., , 2002

      5. Market networks and corporate behavior, Baker, W. E., 96 ( 3 ) , 589-625 ., , 1990

      6. 연도별 다문화 학생 수(2012~2021), KESS 교육통계서비스, https://kess.kedi.re.kr/index, , 2021

      7. 사회적 자본과 다문화 사회구축, 윤석상, 글로벌교육연구, 3(1), 95-114, , 2011

      8. Social capital : Prospects for a new concept, Adler , P. S. , & Kwon , S. W., 27 ( 1 ) , 17-40 ., , 2002

      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문수백, 학지사, , 2009

      10. 대학의 다문화이해 강좌 인식 연구, 박균열, 박진환, 윤리교육연 구, (22), 273-299, , 2010

      1. 청소년교육론, 김현욱, 안병환, 동문사, , 2018

      2. The prosperous community, Putnam , R., 13 ( 4 ) , 35-42 ., , 1993

      3. 다문화 수용성과 젠더, 안상수, 젠더리뷰, 25, 42-52, , 2012

      4. Social capital and development, Fukuyama , F., 22 ( 1 ) , 23-37 ., , 2002

      5. Market networks and corporate behavior, Baker, W. E., 96 ( 3 ) , 589-625 ., , 1990

      6. 연도별 다문화 학생 수(2012~2021), KESS 교육통계서비스, https://kess.kedi.re.kr/index, , 2021

      7. 사회적 자본과 다문화 사회구축, 윤석상, 글로벌교육연구, 3(1), 95-114, , 2011

      8. Social capital : Prospects for a new concept, Adler , P. S. , & Kwon , S. W., 27 ( 1 ) , 17-40 ., , 2002

      9. 구조방정식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문수백, 학지사, , 2009

      10. 대학의 다문화이해 강좌 인식 연구, 박균열, 박진환, 윤리교육연 구, (22), 273-299, , 2010

      11. N ew Am os7.0 구 조 방 정 식 모 형 분 석, 김 계 수, 한나래출판사, , 2007

      12. 사회적 자본의 정책의제화 방안 연구, 정혜령, 홍영란, 김환식, 현영섭, 김태형, 박인섭, 한국교육개발원, , 2007

      13. 청소년의 다문화 역량 척도개발 연구, 김경은, 임정하, 김미진, 다 문화교육연구, 12(1), 21-45, , 2019

      14.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 및 태도 분석, 이수정, 한국사회교과교육 학회 학술대회지, 163-180, , 2013

      15.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McClelland , D. C., 28 ( 1 ) , 1-14 ., , 1973

      16. 경상북도 다문화수용성 실태조사 연구, 배옥현, 다문화와 인간, 8(1), 93-127, , 2019

      17. 한국인의 사회적 관용과 다문화수용성, 신형진, 육주원, 한국인구 학, 44(4), 1-18, , 2021

      18.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 A synthesis, Chen , G. M. & Starosta , W. J., 19 ( 1 ) , 353-383 ., , 1996

      19. Social capital : Maturation of a field of research ., Kwon , S. W. , & Adler , P. S., 39 ( 4 ) , 412-422 ., , 2014

      20.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결과 발표, 여성가족부, 여성가족부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결과발표, , 2022

      21. 다문화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김서현, 안옥희, 장수정, 한국웰니스학회지, 11(4), 253-265, , 2016

      22. A review of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 Chen , G. M. , & Starosta , W. J ., 1 , 1-16 ., , 1997

      23. Bowling alone : America ’ s declining social capital, Putnam , R., 6 ( 1 ) , 65-78, , 1995

      24. (논문작성에 필요한)SPSS/AMOS 통계분석방법, 송지준, 21세기 사, , 2008

      25. 간호대학생의 인종별 사회적 거리감 연구, 김경숙,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4(4), 2039-2051, , 2012

      26. 한국어 교원의 다문화감수성에 관한 연구, 민혜경, 동북아시아문 화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자료집, 2015(11), 267-270, , 2015

      27. 한국인의 사회자본과 다문화 수용성 관계, 이형하, 한국컴퓨터정 보학회논문지, 19(11), 193-202, , 2014

      28. 한국형 다문화수 용성 진단도구 개발연구, 민무숙, 조영기, 류정아, 안상수, 김이선, 김금미, 대통령 소속 사회통합위원회, , 2010

      29. 대학생의 다문화 경험에 따른 문화적 역량, 이명숙, 박영미, 디지 털융복합연구, 14(12), 657-665, , 2016

      30. 다문화 사회에서의 시민교육과 사회적 자본, 장근영, 김태준, Andragogy Today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Adult & Continuing Education, 13(3), 61-79, , 2010

      31. 대학생의 다문화경험과 글로벌역량의 관 계, 김정덕, 송선영, 이은경, 핵심역량교육연구, 4(1), 47-69, , 2019

      32. 대학생의 다문화인식과 이주민에 대한 태도, 장임숙, 이원일, 지방 정부연구, 15(4), 177-179, , 2011

      33. 사회적 자본과 지식공유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설현도, 대한경영학 회지, 28(1), 141-158, , 2015

      34. 한 중 예비교사들의 문화간 감수성 비교연구, 김옥순, 비교교육 연구, 18(1), 193-217, , 2008

      35.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박선희, 글로벌청 소년학연구, 8(1), 35-54, , 2018

      36. 기업의 사회적 자본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 유한구, 이영현, 직업능력개발연구, 11(1), 119-141, , 2008

      37. 사회적 자본이 지식창출과 혁신에 미치는 영향, 허문구, 인사조직 연구, 19(1), 41-73, , 2011

      38. An anthropological approach to multicultural diversity training, Garcia , M. H., 31 ( 4 ) , 490-504, , 1995

      39. Subjective social distance and urban occupational stratification, Laumann , E. O, 71 ( 1 ) , 26-36 ., , 1965

      40. 다문화교육의 현황과 다문화교육 접근방향 탐색, 안병환, 교육실 천연구, 8(2), 155-177, , 2009

      41. 예비교사의 다문화역량 척도개발. 박사학위논문, 박명희, 경북대학 교 대학원, , 2013

      42. Integration and multiculturalism : Ways towards social solidarity, Berry , J. W., 20 ( 1 ) , 1-21 ., , 2011

      43. Social capital : Its origins and applications in modern sociology, Portes , A ., 24 ( 1 ) , 1-24 ., , 1998

      44.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 비교연구, 김대희, 전미현,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51, 45-77, , 2020

      45. Social capital and value creation : The role of intrafirm networks, Tsai , W. , & Ghoshal , S., 41 ( 4 ) , 464-476 ., , 1998

      46. 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 조사 연구(연구보고 2012-51), 안상수, 김이선, 선보영, 민무숙, 이명진,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12

      47. Individualism-collectivism : A study of cross-cultural researchers ., Hui , C. H. , & Triandis , H. C., 17 ( 2 ) , 225-248 ., , 1986

      48. Prepar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 Rethinking the curriculum, Villegas , A. M. , & Lucas , T., 53 ( 1 ) , 20-32 ., , 2002

      49. 대학생의 사회자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 향, 공계순, 최미경, 복지상담교육연구, 11(1), 131-160, , 2022

      50. 노츠타카시 한일 대학생의 다문 화수용성 비교 연구, 이혜진, 김태완, 이연옥, 조윤용, 디아스포라연구, 10(2), 257-290, , 2016

      51. 한국 대학생의 다문화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동향, 선곡유화, 이영선, 박순덕, 다문화와 평화, 7(2), 173-203, , 2013

      52.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ree measures of multicultural competency, Kocarek , C. E. , Talbot , D. M. , Batka , J. C. , & Anderson , M. Z ., 79 ( 4 ) , 486-496 ., , 2001

      53. Social capital , intellectual capital , and the organizational advantage, Nahapiet , J. , & Ghoshal , S., 23 ( 2 ) , 242-266 ., , 1998

      54. 글로벌 역량 개발을 위한 다문화수용성과의 관계 탐색, 김정덕, 이은경, 핵심역량교육연구, 5(1), 35-63, , 2020

      55. 다문화교육 강좌를 통한 예비교사들의 다문화역 량변화, 김경식, 박명희, 다문화교육연구, 5(1), 155-176, , 2012

      56. 중 고등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 인 연구, 신희정, 박근수,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307-319, , 2012

      57. 초등학교의 사회자본이 교사의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 김세정, 김도기, 초등교육연구, 23(3), 193-213, , 2010

      58. 한국 대학 중국어 전공 학생의 다문화 감수성 조사 연구, 박형춘, 국학연구론총, (25), 205-226, , 2020

      59. Individual-level evidence for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capital, Brehm J, Rahn W., 41 ( 3 ) , 999-1023 ., , 1997

      60. Multicultural competencies in teaching : a typology of classroom activities, Mushi , S., 15 ( 2 ) , 179-194 ., , 2004

      61.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한석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 2014

      62. A developing model of teachers educating themselves for multicultural pedagogy, Heard , D., 38 ( 4 ) , 461-487 ., , 1999

      63. Multicultural counseling competencies and standards : A call to the profession, Sue , D. W. , Arredondo , P. , & McDavis , R. J ., 70 ( 4 ) , 477-486 ., , 1992

      64. Our global age requires global education : Clarifying definitional ambiguities, Kirkwood , T. F., 92 ( 1 ) , 10-15 ., , 2001

      65. 사회적 자본이 비행청소년의 다문화수용성에 미 치는 영향, 김주일, 차한솔, 아동복지연구, 18(2), 39-63, , 2020

      66. 중⋅고등학생 대상 다문화감수성 프로그 램의 효과성 분석, 손녕희, 선은정, 조인제, 교육문화연구, 23(6), 715-748, , 2017

      67. 다민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 구축(Ⅲ), 신현옥, 민무숙, 이태정, 이선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2009

      68. 집단주의와 개인주의 문화 비교와 한국 가족치료 접근 전략, 송성자, 한국가족치료학회지, Vol. 5, 1-26, , 1997

      69. 초 중등학교 다문화감수 성교육의 한계와 다양화 방안 모색, 이은정, 임선일, 이용민, 조인제, 오영훈,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8(1), 173-202, , 2019

      70.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김미진, 고려대학교 대학원, , 2010

      71. 사회자본과 지식공유 관계에서 정보시스템 특성 의 조절효과, 김경재, 정범구, 인적자원관리연구, 15(3), 1-18, , 2008

      72. 지역과 국가수준의 사회자본이 다문화수 용성에 미치는 영향, 허윤철, 임영호, 조윤용, 디아스포라연구, 11(2), 51-88, , 2017

      73. A framework for examin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artram , D. , Robertson , I. T. , & Callinan , M.In I. T. Robertson , M. Callninan , & D . Bartram ( Eds . ), pp . 1-10 ), , 2002

      74. Social network , social trust and shared goals in organizational knowledge sharing, Chow , W.S . & Chan , L.S, 45 ( 7 ) , 458-465 ., , 2008

      75. The forms of capital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Bourdieu , P.In J. Richardson ( Ed ., pp . 241-258, , 1986

      76. 교사의 다문화 역량의 강화 방안 연구: 미술 교과를 중심 으로, 김정효, 문화예술교육연구, 6(1), 71-97, , 2011

      77. Analysis of teachers ’ intercultural sensitivity levels in multicultural contexts, Segura-Robles , A. , & Parra-Gonz ? lez , M. E., 11 ( 11 ) , 1-12 ., , 2019

      78. Multicultural education and perceived multicultural competency of school counselors, Dameron , M. L. , Camp , A. , Friedmann , B. , & Parikh ? Foxx , S., 48 ( 3 ) , 176-190 ., , 2020

      79. Using storybooks to promote multicultural sensitivity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Kim , B. S. , Green , J. L. G. , & Klein , E. F., 34 ( 4 ) , 223-234 ., , 2006

      80.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적 자본을 중심 으로, 곽윤경, 다문화사회연구, 13(2), 5-26, , 2020

      81. 사회자본과 다문화 수용성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및 인 식 분석, 이재철, 정치정보연구, 20(2), 275-304, , 2017

      82. 사회통합 실태 진단 및 대응 방안 연구(Ⅵ) - 사회통합 상태 진단, 우선희, 김미곤, 정해식, 이정윤, 김문길, 곽윤경, 한국보건사 회연구원, , 2019

      83.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박사학 위논문, 박미희, 인하대학교 대학원, , 2019

      84. 청소년의 다문화 감수성과 다문화 수용성의 관계. 석사학 위논문, 김다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 2020

      85. 한국 다문화사회에서 시민성과 사회적 자 본의 역할에 관한 고찰, 윤은기, 황선영, 김수진, 한국부패학회보, 23, 95-124, , 2018

      86. Identifying and integrating individual level and organizational level core competencies, Lahti , R. K., 14 ( 1 ) , 59-75 ., , 1999

      87. The study of men and masculinity as an Important multicultural competency consideration, Liu , W. M., 61 ( 6 ) , 685-697 ., , 2005

      88. 간호대 학생의 문화적 공감, 다문화감수성, 문화 적역량과의 관계, 이금주, 최예숙,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15(6), 105-113, , 2021

      89. 대학생의 사회자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 학위논문, 최미경, 호서대학교 대학원, , 2019

      90. Educating all students : Creating culturally responsive teachers , classrooms , an schools, Brown , M. R., 43 ( 1 ) , 57-62, , 2007

      91.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Shrout , P. E. , & Bolger , N., 7 ( 4 ) , 422-445 ., , 2002

      92.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성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오경화, 대한가정학회지, 49(9), 83-97, , 2011

      93. 조선족 근로자의 사회적 자본이 문화적응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유양, 이금희, 정동섭, 인적자원관리연구, 23(1), 1-18, , 2016

      94. Social capital and economic development: Toward a theoretical synthesis and policy framework, Woolcock, M., 27 ( 2 ) , 151-208 ., , 1998

      95. 융복합 시대 휴먼서비스분야 전 공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 박순희, 박소정, 김선애, 배양자, 디지털융복합연구, 13(11), 493-507, , 2015

      96.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인권감수성이 다문화수용성에 미 치는 영향, 안수라, 노윤구, 보건정보통계학회지, 45(1), 30-36, , 2020

      97.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이미자, 강원대학교 대학원, , 2016

      98. 예비중등교사의 사회자본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석학위논문, 신재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 2016

      99. Multicultural competency instrumentation : A review and analysis of reliability generalization, Dunn , T. W. , Smith , T. B. , & Montoya , J . A ., 84 ( 4 ) , 471-482 ., , 2006

      100. Becoming interculturally competentToward Multiculturalism : A Reader in Multicultural Education, Bennett , M. JIn J. Wurzel ( Ed . ), 2ed. , pp . 62-77, , 2004

      101. Multicultural competence level of university instructors : A perspective from a Turkish context, Yavas-Bozkurt , A. , Eksi , G. , & Alci , B ., 4 ( 14 ) , 415-415 ., , 2013

      102. 기업의 사회적 자본, 지식경영활동, 그리 고 성과 간의 구조적 인과관계, 이영찬, 권기택, 이승석, 지식경영연구, 9(1), 129-146, , 2008

      103.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인식과 문화적역량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석소현, 조영미, 한국컨텐츠학회논문지, 19(10), 190-197, , 2019

      104.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연구: 문화적 인식, 지식, 기술을 중심으로, 김민경, 한국생활과학회지, 19(6), 945-965, , 2010

      105. 대한민국 미래지도: 한국 경제의 방향과 속도를 가늠할 미래 전망 보고서, 현대경제연구원, 티핑포인트, , 2014

      106. 외국인 대학원생을 지도하는 한국인 교수자의 다문화감수성에 관한 연구, 김금희, 전예은, 김영순, 인문과학연구, 37, 461-488, , 2013

      107.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 구. 박사학위논문, 정석원, 공주대학교 대학원, , 2014

      108. 공과대학 재학생들의 사회적 자본이 지식공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 조순옥, 직업교육연구, 30(3), 147-173, , 2011

      109. 다문화시대 유아교사에게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 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윤갑정, 김미정, 유아교육연구, 30(3), 169-194, , 2010

      110. The measuremen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using the concepts of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 Bhawuk , D. P. S. , & Brislin , R., 16 ( 4 ) , 413-436 ., , 1992

      111. 대학생 다문화 태도에 대한 다양성 경험과대학의 구조적 다양성 효과 분석, 이인서, 이병식, 교육학연구, 57(2), 197-225, , 2019

      112.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새로운 지적 자본 창출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박순미, 전남대학교 대학원, , 2001

      113. 다문화교과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다 문화수용성 및 역량에 미치는 효과, 김진일, 채명정, 이진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1(3), 373-381, , 2015

      114. Identification and assessmen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as a student outcome of internationalization, Deardorff , D. K., 10 ( 3 ) , 241-266, , 2006

      115. The tie that leads to prosperity : The economic value of social bonds is only beginning to be measured, Pennar , K., 15 , 153-155 ., , 1997

      116. Preservice teachers ’ learning about cultural and racial diversity : Implications for urban education, Milner , H. R., 41 ( 4 ) , 343-375, , 2006

      117.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역량에 관한 영성지능과 인권태도의 구조분석, 박선희, 한국사회복지학, 69(1), 79-10, , 2017

      118. 다문화적 한국어 교수 역량 강화를 위한 초등 교사 양성 및 커리큘럼 개발 방향, 원진숙, 한국어교육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2, 189-210, , 2012

      119. 대학의 사회적 자본이 성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미 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김정헌, 중앙대학교 대학원, , 2016

      120. 서비스 기업의 조직공정성, 사회자본, 지식공유 및 혁 신행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김미숙, 홍관수, 기업경영연구, 21(3), 15-33, , 2014

      121. Social Capital , Trust and Intercultural InteractionIntercultural interactions in the multicultural workplace, Sułkowski , ŁIn Rozkwitalska , M. , Sułkowski , L. , & Magala , S . ( Eds ., pp . 155-171, , 2017

      122. 사회적 자본의 지각이 지식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금융기관을 중심으로, 장용선, 김재구, 조직과 인사관리연구, 30(1), 59-91, , 2006

      123. 생산직 이주근로자 고용 한국 회사 내 한국인 근 로자의 다문화 감수성에 관한 연구, 정지현, 김영순, 교육문화연구, 18(4), 139-162, , 2012

      124. 노인들의 세계시민 의식이 다문화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한식, 동국대학교 대학원, , 2017

      125. 대학생의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 효능감 간의 관 계에서다문화교육 경험의 조절효과, 백현희, 정민, 정민, 백현희, 인문사회 21, 13(3), 2123-2134, , 2022

      126. 남⋅여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 사 회적 변인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인숙, 경일대학교 대학원, , 2016

      127. 대학생의 다문화감수성 향상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상 호문화역량 인식에 관한 연구, 최봉도, 인문사회 21, 13(1), 1325-1338, , 2022

      128. Understanding knowledge sharing in virtual communities: An integration of social capital and social cognitive theories, Hsu, M. H., Wang, E. T., Chiu, C. M., 42 ( 3 ) , 1872-1888 ., , 2006

      129.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자본이 다문화 지향성과 한국 사회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손신, 신효진, 잔신논단, 49(4), 219-250, , 2017

      130.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차슬기, 변해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 지, 19(7), 207-213, , 2018

      131. CCAI ( cross-cultural adaptability inventory ) manualA Factor analytic study of the cross-cultural adaptability inventory, Kelley , C. , & Meyers , JIn S. L. Davis & S. J. Finney, 66 ( 2 ) , 318-330 ., , 1995

      132. Synthesizing multicultural , global , and civic perspectives in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and educational research, Camicia , S. P. , & Zhu , J ., 17 , 1-19, , 2012

      133.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 비교 분석-경제, 사회적 요인인가? 사회자본 요인인가?-.”, 박희봉, 이희창, 한국행정논집, 17(3), 709-729, , 2005

      134. Student affairs professionals ' self-report of multicultural competence : Understanding awareness , knowledge , and skills ., Castellanos , J. , Gloria , A. M. , Mayorga , M. M. , & Salas , C., 44 ( 4 ) , 1040-1060 ., , 2008

      135. 다문화가족 청소년의 사회자본 및 문화변용 스트레스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병주, 디지털정책연구, 10(11), 29-38, , 2012

      136. 학교 조직의 사회적 자본이 아동의 학교 공동체의식과 학습참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양국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 2002

      137. Crafting a culturally relevant social studies approachThe social studies curriculumm : Purposes , problems , and possibilities, Ladson-Billings , G.In E. W. Ross ( Ed . ), pp . 201-215., , 2001

      138. 다문화위기에 대응하는 한국 청소년의 다문화 수용적 태 도의 증진- 국제비교와 영향요인 탐색, 김준홍, 한국위기관리논집, 8(6), 183-208, , 2012

      139. 문화가정 학생 멘토링 경험과 일반적 특성에 따 른 대학생의 다문화 감수성과 셀프리더십 비교, 김은만, 김춘미, 다문화사회연구, 9(1), 5-29, , 2016

      140. 초등학생 다문화 감수성 향상을 위한 다문화이해교육 자 료 비교와 개선점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재명, 동아대학교 국제전문대학 원, , 2017

      141. 한국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요인: 대구 경북 지 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차은주, 영남대학교 대학원, , 2022

      142.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문화수용성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 향: 문화 간 감수성을 매개변수로, 이명은, 강택구, 인문사회 21, 11(2), 1297-1312, , 2020

      143.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가족 및 학교 내 사회자본, 다문 화 수용성 간 구조적 관계. 석사학위논문, 김희나, 고려대학교 대학원, , 2016

      144.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다문화역량에 관한 영성지능과 인권태도의 구조관계분석. 박사학위논문, 박선희,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 원, , 2015

      145. Conceptualizing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mpetence . In D. K. Deardorff ( Ed . ) , The SAGE Handbook of intercultural competence, Spitzberg , B. H. , & Chagnon , G., pp . 2-52, , 2009

      146. 고등학생의 다문화 수용성 영향요인 분석 -부산 지역 다문화교육 및 관련 정책학교 효과를 중심으로-, 이기혜, 이자형, 중등교육 연구, 66(2), 493-523, , 2018

      147. Multicultural adolescents between tradition and postmodernity : Dialogical self theory and the paradox of localization and globalization, van Meijl , T., 137 , 39-52, , 2012

      148. 이주배경청소년의 사회적 자본, 한국어 능력, 진로인식 수 준과 학업성취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장은지, 문화교류와 다문 화교류, 10(5), 277-297, , 2021

      149.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잠재성장모형을 활용한 종단분석. 박사학위논문, 김동진, 서울대학교 대 학원, , 2019

      150. 결혼이주여성의 사회적 자본이문화적응스 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 및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 심준영, 서재복, 임양미, 국제이해교육연구, 16(2), 33-70, , 2021

      151. 사회복지전공대학생의문화적 역량 영향 요인 연구 : 문화 적 민감성의 매개효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이숙, 호서대학교 대학 원, , 2019

      152. 다문화수용성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분석: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박사학위논문, 이혜란, 선문대학교 대 학원, , 2019

      153. Intercultural Competence : An emerging focus i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 In DeardorffThe sage handbook of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Deardoff , D. K. , & Jones , E.D. K. , De Wit , H. , Heyl , J. D. , & Adams , T . ( Eds. ), pp . 283-304 ), , 2012

      154. 초등교사의 문화간 감수성, 다문화수용성, 교원학습문화 및 다문화교육역량과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논문, 강종훈, 숭실대학교 대학원, , 2015

      155. Cross-cultural personnel selection criteria , issues , andmethods . In D. Landis , & R. W. Brislin ( Eds . ) , Handbook of intercultural training, Kealey , D. J. , & Ruben , B. D., Vol.1 , pp . 155-175 ), , 1983

      156. Predicting interethnic bridging social capital in youth ethnicdiversity engagement : the role of interethnic interaction andintercultural sensitivity, Tamam , E. , & Hashmi , M., 21 ( 1 ) , 1-14 ., , 2016

      157. 청소년이 지각한 지역사회 사회자본이 학교적응 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정서적 역량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이숙종, 이찬희, 국정 관리연구, 16(1), 1-37, , 2021

      158. 한국인 대학생의 외국인 유학생과의 접촉이 다문화역량 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와 현실갈등인식의 매개효과, 최가희, 한국 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4), 279-303, , 2019

      159. 고등학생의 다문화교육경험 유형이 다문화 수용성 태도 유형에 미치는 차별적 효과: 대구지역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강운선, 사 회과교육, 53(3), 31-49, , 2014

      160. 대학생의 국민정체성, 다문화수용성이 인권태도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교육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공수연, 한세대 학교 대학원, , 2020

      161. 대학생의 다문화수용성에 관한 연구: 문화개방성, 고정 관념 및 차별: 상호교육 행동의지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홍유진, 호 남대학교 대학원, , 2014

      162. 사회복지학 전공 대학생의 문화간 감수성이 다문화 수용 성에 미치는 영향: 외국인에 대한 사회적 친밀감의 매개효과 검 증, 김경호, 한국사회복지교육, 77-104, , 2013

      163. 다문화사회에서 요구되는 대학생역량 관계연구: 기독대학 생의 신앙성숙도, 팀리더쉽, 다문화수용성, 세계시민성을 중심으 로. 박사학위논문, 박광영, 한남대학교 대학원, , 2018

      164.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college students-taking foreign spouses as example and discussing the cognitive gap between college students and foreign spouses, Cho , C. C. , & Kao , R. H., 7 ( 1 ) , 90-106 ., , 2019

      165. Intercultural competence : An emerging focus in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 In D. Deardorff , H. de Wit , J. Heyl & T. Adams ( Eds . ) , The SAGE handbook of international higher education, Deardorff , D. , & Jones , E., pp . 283-303, , 2012

      166. 사회복지학전공 대학생의 사회복지 가치가 다문화수용성 에 미치는 영향-문화 간 감수성과 사회복지 옹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김정윤, 호남대학교 대학원, , 2014

      167. 다문화청소년의 가족지지와 삶의 만족도에 대한 종단연 구-사회적 위축과 다문화수용성 매계효과 및 생활환경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김관숙, 조선대학교 대학원, , 202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