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부성 실천을 통해 본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  :  중간 계층 아버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 The Possibility of Caring Masculinities in the Practice of Fatherhood : Focusing on Fathers in the Middle Cla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548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아버지들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변화에 주목하여, 그 중에서도 특히 노동자 및 양육자로서 남성들이 부성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어떤 갈등과 적응의 과정을 거치는지,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하는 남성성은 성 평등의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 가능한지 분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에 자녀 양육에 적극적인 30~40대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으며, 아버지들의 생애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부성 실천 과정에서의 긴장을 드러내고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처음 아버지가 된 남성들은 출산하지 않은 몸이라는 제 3자적 위치를 자각하고, 자녀와의 유대감 형성을 위해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됨을 체득하게 된다. 또한 아버지들은 ‘새로운 아버지’ 담론을 접하면서도 경제적 부양자 역할을 중심으로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수용하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현실적 제약 속에서도 아버지들은 친밀한 가족관계에 대한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자녀와의 신체적 심리적 거리를 좁히기 위해 노력하며, 배우자와 협력적인 부모노릇을 수행하면서 제한적으로나마 관계지향성, 상호의존성과 같은 돌봄 가치를 재현한다는 점에서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아버지들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변화에 주목하여, 그 중에서도 특히 노동자 및 양육자로서 남성들이 부성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어떤 갈등과 적응...

      이 연구는 오늘날 한국 사회의 아버지들에게 요구되는 다양한 역할변화에 주목하여, 그 중에서도 특히 노동자 및 양육자로서 남성들이 부성 정체성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어떤 갈등과 적응의 과정을 거치는지,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구성하는 남성성은 성 평등의 관점에서 어떻게 해석 가능한지 분석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이에 자녀 양육에 적극적인 30~40대 아버지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수행하였으며, 아버지들의 생애 전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부성 실천 과정에서의 긴장을 드러내고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과 한계를 논의하였다. 처음 아버지가 된 남성들은 출산하지 않은 몸이라는 제 3자적 위치를 자각하고, 자녀와의 유대감 형성을 위해 더 많은 노력과 시간이 소요됨을 체득하게 된다. 또한 아버지들은 ‘새로운 아버지’ 담론을 접하면서도 경제적 부양자 역할을 중심으로 부모로서의 책임감을 수용하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현실적 제약 속에서도 아버지들은 친밀한 가족관계에 대한 기대와 요구를 충족시키고자 자녀와의 신체적 심리적 거리를 좁히기 위해 노력하며, 배우자와 협력적인 부모노릇을 수행하면서 제한적으로나마 관계지향성, 상호의존성과 같은 돌봄 가치를 재현한다는 점에서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differentiated roles of fathers in current Korean society, investigate the process of conflict and adaptation that fathers do fathering as a worker and carer, and analyze their masculinity with a gender perspective. With the in-depth interviews to fathers in 30-40s who care for their child(ren) activel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tension arising from fathering and explai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aring masculinities. At first, fathers come to realize their status as a third party due to the physical distance, and then find the necessity of effort and time for developing the bond between the child(ren) and themselves. In addition, fathers have a tendency to accept the parental responsibilities mainly with the breadwinner role, even though they encounter ‘New Father’ discourse. Nowadays, however, fathers try to fill up the gap between their child(ren) and themselves physically and emotionally, and also embrace the care value such as relationship or interdependency by co-parenting with their partner even though it is incomplete. Despite the limitations inherent in fathers’ parenting, the reflexive attitude of caring fathers raises the expectations for the possibility of caring masculinitie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differentiated roles of fathers in current Korean society, investigate the process of conflict and adaptation that fathers do fathering as a worker and carer, and analyze their masculinity with a gender 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ocus on the differentiated roles of fathers in current Korean society, investigate the process of conflict and adaptation that fathers do fathering as a worker and carer, and analyze their masculinity with a gender perspective. With the in-depth interviews to fathers in 30-40s who care for their child(ren) actively,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tension arising from fathering and explain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caring masculinities. At first, fathers come to realize their status as a third party due to the physical distance, and then find the necessity of effort and time for developing the bond between the child(ren) and themselves. In addition, fathers have a tendency to accept the parental responsibilities mainly with the breadwinner role, even though they encounter ‘New Father’ discourse. Nowadays, however, fathers try to fill up the gap between their child(ren) and themselves physically and emotionally, and also embrace the care value such as relationship or interdependency by co-parenting with their partner even though it is incomplete. Despite the limitations inherent in fathers’ parenting, the reflexive attitude of caring fathers raises the expectations for the possibility of caring masculin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논의
      • Ⅱ. 연구방법 및 연구 참여자
      • 국문초록
      • Ⅰ. 서론
      • 1. 문제제기
      • 2. 이론적 논의
      • Ⅱ. 연구방법 및 연구 참여자
      • Ⅲ. 아버지됨의 과정과 부성 역할의 수용
      • 1. 노력으로 체화되는 부성 정체성
      • 2. 책임 있는 ‘노동자’로의 전환
      • Ⅳ. ‘돌봄’과 ‘남성성’의 이종(異種) 결합
      • 1. 자기성찰을 통한 관계지향적 부성의 구체화
      • 2. 존중에 기반한 상호의존성의 제한적 수용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혜정, "후기 근대적 위기와 ‘돌봄 국가’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시론: ‘차가운 근대 cold modern'에서 ’따뜻한 근대 warm modern' 로" 사회과학연구소 37 (37): 71-97, 2006

      2 kimmel, M. S., "회사와 개인생활의 조화" 북21 2002

      3 조윤경, "협동조합형 공동육아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돌봄의 의미화와 가족관계의 변화 : 성인지 관점에서 본 남성 돌봄과 아버지됨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4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가온"

      5 정진성, "한국사회 부성의 구조: 딸들이 기억하는 아버지" 한국여성연구소 9 (9): 79-111, 2009

      6 "한겨레 신문"

      7 Goode, W. J.,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 1991

      8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9 이숙진, "최근 한국 기독교의 아버지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착한’ 가부장주의를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학회 22 (22): 209-237, 2012

      10 김영두, "초보 아버지들의 양육특성과 아버지 됨의 변화과정"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353-380, 2011

      1 조혜정, "후기 근대적 위기와 ‘돌봄 국가’적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시론: ‘차가운 근대 cold modern'에서 ’따뜻한 근대 warm modern' 로" 사회과학연구소 37 (37): 71-97, 2006

      2 kimmel, M. S., "회사와 개인생활의 조화" 북21 2002

      3 조윤경, "협동조합형 공동육아에 참여한 아버지들의 돌봄의 의미화와 가족관계의 변화 : 성인지 관점에서 본 남성 돌봄과 아버지됨의 재구성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4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가온"

      5 정진성, "한국사회 부성의 구조: 딸들이 기억하는 아버지" 한국여성연구소 9 (9): 79-111, 2009

      6 "한겨레 신문"

      7 Goode, W. J., "페미니즘의 시각에서 본 가족" 한울 1991

      8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9 이숙진, "최근 한국 기독교의 아버지 담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착한’ 가부장주의를 중심으로" 종교문화비평학회 22 (22): 209-237, 2012

      10 김영두, "초보 아버지들의 양육특성과 아버지 됨의 변화과정"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2 (12): 353-380, 2011

      11 김두섭, "질적 연구방법론" 나남 2010

      12 임정묵, "좋은 아버지 수업 : 사랑에 서툰 아버지들을 위한 아버지다움 공부!" 좋은날들 2012

      13 이강옥, "젖병을 든 아빠, 아이와 함께 크는이야기:늦깎이 아빠 이강옥 교수의 육아에세이" 돌베개 2000

      14 박기남, "전문직 여성의 노동경험과 돌봄의 젠더화: 198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연구소 7 (7): 83-124, 2007

      15 홍승아, "유연근무제와 가족생활의 변화"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1

      16 박찬희, "아빠를 키우는 아이" 소나무 2013

      17 연은경, "아버지의 원가족 부모관계와 부부관계가자녀와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회 19 (19): 509-527, 2014

      18 장경근, "아버지가 나서면 딸의 인생이 바뀐다" 황금부엉이 2005

      19 이동옥, "아버지 양육 담론의 한계와 대안적 부성: 행복한 가족과 친구 같은 아버지를 넘어서" 여성학연구소 7 (7): 147-180, 2014

      20 이정희, "아버지 신드롬, 어디로가는 걸까?" 40 : 32-39, 2013

      21 신경아, "신자유주의시대 남성 생계부양자의식의 균열과 젠더관계의 변화" 한국여성학회 30 (30): 153-187, 2014

      22 "서울특별시 건강가정지원센터"

      23 최미옥, "보육지원정책의 현황과 전망" 664-683, 2012

      24 박미정, "배우자의 분만과정 참여에 대한 산모와 배우자의 태도 조사" 병원간호사회 18 (18): 74-85, 2012

      25 Tronto, J., "돌봄 민주주의" 아포리아 2013

      26 Paulter, S., "당신은 아들에게어떤 아버지입니까?:21세기 아버지학"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2005

      27 김혜영, "남성의부성경험과 갈등에 관한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8

      28 서혜영, "남성의 일-아버지 갈등과 부모 역할 만족도 및부모로서의 유능감" 4 (4): 257-280, 1999

      29 박명순, "남성과 한국사회" 사회문화연구소출판부 1997

      30 정우성, "나는 아빠다" 문학동네 2013

      31 백진아, "기혼 남성의 부성과 가족 경험" 한국인문사회과학회 33 (33): 163-186, 2009

      32 임인숙, "경제위기가 남편의 권위상실감에 미치는 영향" 34 (34): 1105-1127, 2000

      33 이재경, "가족의이름으로:한국 근대 가족과 페미니즘" 또 하나의문화 2003

      34 이재경, "가족의 미래와 정책패러다임 모색:가족과 노동의 경계를 넘어서" 3-16, 2014

      35 김미란, "‘육아공동체’에서 부모참여의 가능성과 한계: 가족에 의한 공동체의 형성과 경계들" 한국교육사회학회 18 (18): 19-60, 2008

      36 Dermott, E., "The ‘Intimate Father’:Defining Paternal Involvement" 8 (8): 2003

      37 Townsend, N. W, "The Package Deal:Marriage, work, and fatherhood in men's lives" Temple University Press 2002

      38 Connell, R. W., "The Men and the Boy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00

      39 Dowd, N. E., "The Man Question:Male Subordination and Privilege" New York University Press 2010

      40 김미라, "TV매체에 재현된 새로운 남성성(masculinity)과 그 한계 -주말 예능프로그램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4 (14): 88-96, 2014

      41 Gerson, K., "No Mans’ Land:Men’s Changing Commitments to Family and Work" Basic Books 1993

      42 Ranson, G., "Men at Work:Change-or No Change?-in the Era of the ‘New Father’" 4 (4): 3-26, 2012

      43 Haywood, C., "Men and masculinities:theory, research and social practice" Open University 2003

      44 Brandt, B., "Masculinity and child care:the reconstruction of fathering" 46 (46): 293-313, 1998

      45 Connell, R. W., "Masculinities:Knowledge, Power and Social Change" Polity Press 1995

      46 Hanlon, N., "Masculinities, Care and Equality:Identity and Nurture in Men’s Lives" Palgrave Macmillan 2012

      47 Miller, T., "Making Sense of Fatherhood:Gender, Caring and W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1

      48 Hobson, B., "Making Men into Fathers:Men, Masculinities, and the Social Politics of Fatherh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2

      49 Latshaw, B. A., "Is Fatherhood a Full-time Job? Mixed Methods Insights into Measuring Stay-at-Home Fathers" 9 (9): 125-149, 2011

      50 Dermott, E., "Intimate Fatherhood:a Sociological Analysis" Routledge 2008

      51 Connell, R. W., "Hegemonic Masculinity:Rethinking the Concept" 6 : 829-859, 2005

      52 Deutsch, F. M., "Halving It All:How equally shared parenting works" Harvard 1999

      53 Connell, R. W., "Gender and Power" Polity Press in association with Blackwell Publishers 1987

      54 Dowd, N. E., "Fatherhood and Equality:Reconfiguring Masculinities" 45 (45): 1048-1081, 2012

      55 김혜준, "Fatherhood" 지식기업창과샘 2011

      56 Coltrane, S., "Family Man:Housework and Gender Equity" Oxford University Press 1996

      57 Gavanas, A., "Domesticating Masculinity and Masculinizing Domesticity in Contemporary U.S. Fatherhood Politics" 11 (11): 247-266, 2004

      58 Featherstone, B., "Contemporary Fathering:Theory, policy and practice" Policy Press 2009

      59 Lupton, D., "Constructing Fatherhood:discourses and experiences" SAGE 1997

      60 Demetriou, D. S., "Connell’s concept of hegemonic masculinity:A critique" 30 : 337-361, 2001

      61 Connell, R. W., "Confronting Equality:gender, knowledge and global change" Polity Press 2011

      62 Pleck, J. H., "Changing Men:New Directions in Research on Men and Masculinity" SAGE 1987

      63 Segal, L., "Changing Men:Masculinities in Context" 22 : 625-641, 1993

      64 Elliott, K., "Caring Masculinities:Theorizing an Emerging Concept" 1-20, 2015

      65 Marks, L., "American Fatherhood Types:The Good, the Bad, and the Uninterested" 2 (2): 113-129,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2-1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Korean Cultural Studies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6-11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Cultural Research Institute -> Korea Cultur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 0.73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