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마산·창원 지역의 초·중·고 방과후학교 실태와 운영에 관한 비교연구 = A Comparative Study on Reality and Management of After School Classes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Masan and Changwon C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18390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방과후학교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남 마산·창원 지역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방과후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조사도구는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비교 성을 높이기 위해 설문 문항을 모두 일치시켰으며, 초·중·고 남여 각 100명씩 600명을 무선 표집 하여 설문 조사하였으나 회수된600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지 23부를 제외한 577부를 최종분석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중·고등학생들의 방과후학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학교 급에 따라서는 방과후학교의 필요성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중·고등학생들의 방과후학교 운영의 만족도는 보통 수준이었고,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높았으며, 수강료를 제외한 교사와 학생의 관계, 교사의 전문성, 수업의 다양성, 수업의 시간대, 수업을 같이 듣는 학생, 수업의 내용, 수업환경 면에서 만족도가 모두 초등학생이 가장 높고 고등학생이 가장 낮았다.
      셋째, 초·중·고등학생들의 방과후학교의 성과에 대한 인식은 다소 낮은 수준이었고,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초등학생은 방과후학교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비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넷째, 초·중·고등학생들의 방과후학교 활성화 요소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중·고등학생이 모두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학교에서 실시하는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해 초·중·고등학생들이 모두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특기적성 개발 측면에 대한 필요성이 높았고, 학업성적 향상 측면에서도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방과후학교의 필요성이 낮아졌으며, 수강료를 제외한 교사와 학생의 관계, 교사의 전문성, 수업의 다양성, 수업의 시간대, 수업을 같이 듣는 학생, 수업의 내용, 수업환경 면에서의 운영에 대한 만족도도 모두 초등학생이 가장 높고 고등학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것에 대한 이유는 방과후학교의 성과에 대한 인식이 초등학생은 긍정적인데 비해 중·고등학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나, 방과후 시간활용의 필요성이 적은 중· 고등학생에게 방과후 프로그램이 사교육에 비해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었다.
      방과후학교 활성화화 하기 위해서는 재미있는 수업운영이 가장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종전과 같이 저렴한 수강료를 유지하고, 수업을 다양화하며,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번역하기

      방과후학교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남 마산·창원 지역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방과후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

      방과후학교를 성공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경남 마산·창원 지역에 소재한 초·중·고등학교를 대상으로 방과후학교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과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조사도구는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를 근거로 비교 성을 높이기 위해 설문 문항을 모두 일치시켰으며, 초·중·고 남여 각 100명씩 600명을 무선 표집 하여 설문 조사하였으나 회수된600부 중에서 불성실한 응답지 23부를 제외한 577부를 최종분석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중·고등학생들의 방과후학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학교 급에 따라서는 방과후학교의 필요성을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중·고등학생들의 방과후학교 운영의 만족도는 보통 수준이었고,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높았으며, 수강료를 제외한 교사와 학생의 관계, 교사의 전문성, 수업의 다양성, 수업의 시간대, 수업을 같이 듣는 학생, 수업의 내용, 수업환경 면에서 만족도가 모두 초등학생이 가장 높고 고등학생이 가장 낮았다.
      셋째, 초·중·고등학생들의 방과후학교의 성과에 대한 인식은 다소 낮은 수준이었고, 초등학생, 중학생, 고등학생 순으로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특히 초등학생은 방과후학교의 성과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데 비하여 중학생과 고등학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넷째, 초·중·고등학생들의 방과후학교 활성화 요소에 대한 필요성 인식은 아주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초·중·고등학생이 모두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학교에서 실시하는 방과후 프로그램에 대해 초·중·고등학생들이 모두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특기적성 개발 측면에 대한 필요성이 높았고, 학업성적 향상 측면에서도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방과후학교의 필요성이 낮아졌으며, 수강료를 제외한 교사와 학생의 관계, 교사의 전문성, 수업의 다양성, 수업의 시간대, 수업을 같이 듣는 학생, 수업의 내용, 수업환경 면에서의 운영에 대한 만족도도 모두 초등학생이 가장 높고 고등학생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것에 대한 이유는 방과후학교의 성과에 대한 인식이 초등학생은 긍정적인데 비해 중·고등학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나, 방과후 시간활용의 필요성이 적은 중· 고등학생에게 방과후 프로그램이 사교육에 비해 효용성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었다.
      방과후학교 활성화화 하기 위해서는 재미있는 수업운영이 가장 중요하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종전과 같이 저렴한 수강료를 유지하고, 수업을 다양화하며,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는 것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about after-school program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in the regions of Masan and Changwon,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an attempt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designed to make an accurate comparison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100 students each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among elementary school boys, elementary school girls, middle school boys, middle school girls, high school boys and high school girls. Every selected student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the answer sheets from 577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23 incomple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necessity of after-school programs,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vestigated were relatively well aware of the need of the programs. By the grade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ers felt the most need for the programs, followed by the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Secon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expressed a moderat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The elementary schoolers were most gratified, followed by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leased the most in every regard except tuition fee, which involve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 professionalism, program diversity, teaching schedule, the content of programs, instructional environments and students with whom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And the high schoolers were unsatisfied the most.
      Thir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didn't put a high value on the outcome of after-school program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the highest opinion on it, followed by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 elementary schoolers looked at it in a positive manner, whereas the secondary students took a dismal view of it.
      Four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found it very necessary to dynamize after-school programs. All of them believed that the programs should be more vitalized.
      Thus, all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ached importance to the necessity of after-school programs. In particular, they gave more weight to the need for the programs as ways to develop their specialty and aptitude, and they considered it necessary for the programs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However, they put a less value on the necessity of after-school programs with grade, and the elementary schoolers were most satisfied with every factor of after-school programs except tuition fee, which include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 professionalism, program diversity, teaching schedule, the content of programs, instructional environments and students with whom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The high school students expressed the least satisfaction.
      As for the reason, the elementary schoolers took a favorable view of the outcome of after-school programs, while the secondary students looked at it in a negative manner to some extent. It implied that after- school programs were less useful than private education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less free time after school.
      It could be concluded that in order to bolster after-school programs, what matters most is proceeding with instruction in an interesting and intriguing way. Like the current practices, it's required to maintain the low tuition fee, and a wide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offered. Besides,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programs should be taken to another level.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about after-school program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in the regions of Masan and Changwon,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an attempt to lay the groundwork f...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about after-school programs and their satisfaction level in the regions of Masan and Changwon, South Gyeongsang Province, in an attempt to lay the groundwork for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as questionnaire designed to make an accurate comparison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earlier stud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100 students each were selected by random sampling from among elementary school boys, elementary school girls, middle school boys, middle school girls, high school boys and high school girls. Every selected student participated in a survey, and the answer sheets from 577 respondents were analyzed except for 23 incomple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necessity of after-school programs,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investigated were relatively well aware of the need of the programs. By the grade of school, the elementary schoolers felt the most need for the programs, followed by the middle schoolers and high schoolers.
      Secon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expressed a moderat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management of after-school programs. The elementary schoolers were most gratified, followed by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pleased the most in every regard except tuition fee, which involve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 professionalism, program diversity, teaching schedule, the content of programs, instructional environments and students with whom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And the high schoolers were unsatisfied the most.
      Third,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didn't put a high value on the outcome of after-school programs.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d the highest opinion on it, followed by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pecifically, the elementary schoolers looked at it in a positive manner, whereas the secondary students took a dismal view of it.
      Fourth,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tudents found it very necessary to dynamize after-school programs. All of them believed that the programs should be more vitalized.
      Thus, all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ttached importance to the necessity of after-school programs. In particular, they gave more weight to the need for the programs as ways to develop their specialty and aptitude, and they considered it necessary for the programs to improve their academic achievement as well. However, they put a less value on the necessity of after-school programs with grade, and the elementary schoolers were most satisfied with every factor of after-school programs except tuition fee, which included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students, teacher professionalism, program diversity, teaching schedule, the content of programs, instructional environments and students with whom they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The high school students expressed the least satisfaction.
      As for the reason, the elementary schoolers took a favorable view of the outcome of after-school programs, while the secondary students looked at it in a negative manner to some extent. It implied that after- school programs were less useful than private education for th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less free time after school.
      It could be concluded that in order to bolster after-school programs, what matters most is proceeding with instruction in an interesting and intriguing way. Like the current practices, it's required to maintain the low tuition fee, and a wide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offered. Besides,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charge of the programs should be taken to another level.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요약
      • Ⅰ. 서 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문제 제기와 연구방법 = 3
      • Ⅱ. 방과후학교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 7
      • 국문요약
      • Ⅰ. 서 론 = 1
      •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 1
      • 2. 연구문제 제기와 연구방법 = 3
      • Ⅱ. 방과후학교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 7
      • 1. 방과후학교의 개념 = 7
      • 2. 방과후학교의 필요성과 추진배경 = 8
      • 3. 방과후학교 운영 실태 및 운영 내용 = 14
      • Ⅲ. 연구 분석 및 비교 = 21
      • 1. 초·중·고 방과후학교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비교 = 21
      • 2. 초·중·고 방과후학교의 운영에 대한 만족도 비교 = 25
      • 3. 초·중·고 방과후학교의 성과에 대한 인식 비교 = 30
      • 4. 초·중·고 방과후학교의 활성화 요소 = 34
      • Ⅳ. 방과후학교 문제점과 개선방향 = 39
      • 1. 방과후학교의 문제점 = 39
      • 2. 방과후학교의 개선방향 = 42
      • Ⅴ. 결 론 = 44
      • 참 고 문 헌 = 46
      • 부록 = 47
      • ABSTRACT = 5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