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주거환경만족도 평가의 신뢰성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 주거실태조사의 설문구성 방식을 중심으로 - = A Study on Reliability Improvement in Residential Satisfaction Evaluation - Focused on Survey Questionnaire Design in KHA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717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of residential satisfaction evaluation in terms of the SP(Same-Pattern) responses suspected as outliers under the 2006-2017 KHS.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developed from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Same-Pattern (SP) responses obtained across 2006-2017 KHS, each of three distinctive questionnaires types (type B, R, and D) are prepared and distributed to 750 respondents (2,250 respondents in total) through onlin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duced type R”, in which the number of questionnaire items is reduced in an attempt to lower the likelihood of unreliable answers resulting from the fatigue effect, adversely affected the result and presented even greater tendency towards SP responses. It is concluded that such simple measures of reducing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do not effectively address the problem of SP occurrence that is suspected of being outliers.
      Second, the “Divided type D”, in which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ivided into multiple sub-groups in an attempt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respondents and prod them into action, presented the lowest occurrence of SP responses. Moreover, this type is likely to have the lowest possibility of co-existing outliers, the result confirmed by the verification process using statistical and machine-learning analysis.
      Third, it became clear that reducing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while simultaneously inserting heterogeneous intermediary questionnaires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onduct the table-formulated satisfaction evaluation utilizing a Likert scale. However, since an excessive partition may cause unnecessary psychological pressure on respondents and increase the likelihood of SP outlier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utilize the carefully designed framework for the best result.
      번역하기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of residential satisfaction evaluation in terms of the SP(Same-Pattern) responses suspected as outliers under the 2006-2017 KHS.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developed from the distributi...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reliability verification of residential satisfaction evaluation in terms of the SP(Same-Pattern) responses suspected as outliers under the 2006-2017 KHS.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developed from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in the Same-Pattern (SP) responses obtained across 2006-2017 KHS, each of three distinctive questionnaires types (type B, R, and D) are prepared and distributed to 750 respondents (2,250 respondents in total) through online.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Reduced type R”, in which the number of questionnaire items is reduced in an attempt to lower the likelihood of unreliable answers resulting from the fatigue effect, adversely affected the result and presented even greater tendency towards SP responses. It is concluded that such simple measures of reducing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do not effectively address the problem of SP occurrence that is suspected of being outliers.
      Second, the “Divided type D”, in which the questionnaire items were divided into multiple sub-groups in an attempt to increase the awareness of respondents and prod them into action, presented the lowest occurrence of SP responses. Moreover, this type is likely to have the lowest possibility of co-existing outliers, the result confirmed by the verification process using statistical and machine-learning analysis.
      Third, it became clear that reducing the number of questionnaires while simultaneously inserting heterogeneous intermediary questionnaires is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conduct the table-formulated satisfaction evaluation utilizing a Likert scale. However, since an excessive partition may cause unnecessary psychological pressure on respondents and increase the likelihood of SP outliers, it is highly recommended to utilize the carefully designed framework for the best resul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주거환경만족도 평가의 문제 제기 및 모의실험 설계
      • Ⅳ. 설문 구성방식에 따른 주거환경만족도 평가 온라인설문조사
      • Abstract
      • Ⅰ. 서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주거환경만족도 평가의 문제 제기 및 모의실험 설계
      • Ⅳ. 설문 구성방식에 따른 주거환경만족도 평가 온라인설문조사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진미윤, "해외 6개국의 주거실태조사 비교분석 및 국내 시사점," 3 (3): 225-240, 2012

      2 권익현, "패널을 이용한 온라인 서베이와 오프라인 서베이 데이터 사이의신뢰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학회 34 (34): 1261-1278, 2005

      3 홍성조, "주거환경관리사업 도입지역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153-167, 2015

      4 최형식, "주거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주민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5 강부성, "주거환경 평가방법과 이론" 시공문화사 2003

      6 장한두,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 서울시 중소규모 아파트의 거주자 특성별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11-21, 2008

      7 김석호, "응답자의 성격특성과 응답스타일" 한국조사연구학회 12 (12): 51-76, 2011

      8 이윤석, "온라인 조사의 응답오차에 대한 연구:설문 응답 시간과 응답 성실성의 관계" 한국조사연구학회 9 (9): 51-83, 2008

      9 정명원, "영구임대주택 입주민을 위한 주거만족도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지적학회 34 (34): 105-119, 2018

      10 김권현, "설문지의 길이가 응답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사연구학회 16 (16): 1-48, 2015

      1 진미윤, "해외 6개국의 주거실태조사 비교분석 및 국내 시사점," 3 (3): 225-240, 2012

      2 권익현, "패널을 이용한 온라인 서베이와 오프라인 서베이 데이터 사이의신뢰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경영학회 34 (34): 1261-1278, 2005

      3 홍성조, "주거환경관리사업 도입지역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50 (50): 153-167, 2015

      4 최형식, "주거환경개선사업에 대한 주민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9

      5 강부성, "주거환경 평가방법과 이론" 시공문화사 2003

      6 장한두, "주거만족 영향요인과 주거환경평가 - 서울시 중소규모 아파트의 거주자 특성별 분석을 중심으로 -" 대한건축학회 24 (24): 11-21, 2008

      7 김석호, "응답자의 성격특성과 응답스타일" 한국조사연구학회 12 (12): 51-76, 2011

      8 이윤석, "온라인 조사의 응답오차에 대한 연구:설문 응답 시간과 응답 성실성의 관계" 한국조사연구학회 9 (9): 51-83, 2008

      9 정명원, "영구임대주택 입주민을 위한 주거만족도 평가지표 개발 연구" 한국지적학회 34 (34): 105-119, 2018

      10 김권현, "설문지의 길이가 응답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조사연구학회 16 (16): 1-48, 2015

      11 고길곤, "설문순서에 따른 응답오차의 유무와 원인에 대한 연구" 168-189, 2014

      12 김권현, "비정상 응답의 탐지 및 보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13 김동아, "불균형 자료에 대한 분류분석" 한국통계학회 28 (28): 495-509, 2015

      14 육태미, "매월 조사되는 주택 가격 변동률의이상치 탐색 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19 (19): 153-164, 2013

      15 김종호,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주거만족 영향요인 분석: 청주시 공공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 8 (8): 75-95, 2004

      16 정성운, "건축실무자 조사를 통한 초고층 공동주택 주거환경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3 (23): 11-18, 2007

      17 浅見泰司, "住環境: 評価方法と理論" 東京大学出版会 2001

      18 Robert M. Groves, "Survey methodology" John Wiley & Sons 2011

      19 서민구, "R을 이용한 데이터 처리&분석실무" 도서출판 길벌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 0.8 0.8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6 0.868 0.2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