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고교학점제 방향 탐색 = An Investigation on the Directions for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Students with Special Need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7706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ideas for suggesting the directions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preparing support plans. Method: First, 40 previous studies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coded and analyzed into nine subcategories by the taxonomy of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Second, eight cases of programs that aimed to guarantee students’ minimal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operation and the program contents. Results and Conclusion: First, the analytical result of subject-based research tren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rimary areas, including a review on theories and issues, comparison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nd perspectives of stakeholders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when analyzing the analytic taxonomy, the subject selection right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earning were researched the most. Third, with the result of program cases analysis, the purpose of the operations was divided into (a) prevention of incomplete, (b) supplementary instruction, and (c) both. The contents of program were operated the most as followed: subject studies, counseling, supports to develop learning abilities, career exploration, and other programs in order.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번역하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ideas for suggesting the directions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preparing support plans. Method: First, 40 previous studies on th...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undamental ideas for suggesting the directions of special education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preparing support plans. Method: First, 40 previous studies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ere coded and analyzed into nine subcategories by the taxonomy of curriculum arrangement and implementation. Second, eight cases of programs that aimed to guarantee students’ minimal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operation and the program contents. Results and Conclusion: First, the analytical result of subject-based research trends were classified into three primary areas, including a review on theories and issues, comparisons between domestic and overseas cases, and perspectives of stakeholders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when analyzing the analytic taxonomy, the subject selection right and improving the quality of learning were researched the most. Third, with the result of program cases analysis, the purpose of the operations was divided into (a) prevention of incomplete, (b) supplementary instruction, and (c) both. The contents of program were operated the most as followed: subject studies, counseling, supports to develop learning abilities, career exploration, and other programs in order. Based on the results, discussions and suggestions were presen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과 관련한 특수교육의 방향성 및 적절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첫째, 고교학점제 관련 선행연구 40편을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여건 마련의 범주에 따라 하위 9가지로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최소 학업성취 수준 보장 지도 프로그램 운영 사례 8건을 운영 목적과 운영 내용에 따라 각 하위 범주 별로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선행연구의 주제별 연구 동향 분석 결과, 고교학점제 관련 이론 및 쟁점 고찰,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국내외 사례 탐색 및 국제 비교, 고교학점제 관련 당사자 및 관계자의 인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다룬 고교학점제 쟁점 분석 결과, 과목 선택권 확보 및 학습의 질 개선에 대해 가장 많이 다루었으며 이어서 환경 개선, 교과평가, 교과목 구성, 이수기준, 학점 배당 기준, 진로·학업설계 지원, 졸업요건, 학업성취지도 보장 프로그램 순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최소 학업성취 수준 보장 지도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결과, 운영 목적에 따라 미이수 예방, 보충 지도, 미이수 예방과 보충지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운영 내용에 따라 교과학습, 상담, 학습 능력 형성 지원, 진로 탐색, 기타 프로그램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의 취지를 살린 모든 학생의 학습권 보장, 고교학점제 취지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고교학점제 대비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진로·직업교육의 내실화를 중심으로 논의하며 향후 방향성 설정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번역하기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과 관련한 특수교육의 방향성 및 적절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첫째, 고교학점...

      연구목적: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 시행과 관련한 특수교육의 방향성 및 적절한 지원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 첫째, 고교학점제 관련 선행연구 40편을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운영과 여건 마련의 범주에 따라 하위 9가지로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최소 학업성취 수준 보장 지도 프로그램 운영 사례 8건을 운영 목적과 운영 내용에 따라 각 하위 범주 별로 코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및 결론: 첫째, 선행연구의 주제별 연구 동향 분석 결과, 고교학점제 관련 이론 및 쟁점 고찰, 고교학점제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국내외 사례 탐색 및 국제 비교, 고교학점제 관련 당사자 및 관계자의 인식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에서 다룬 고교학점제 쟁점 분석 결과, 과목 선택권 확보 및 학습의 질 개선에 대해 가장 많이 다루었으며 이어서 환경 개선, 교과평가, 교과목 구성, 이수기준, 학점 배당 기준, 진로·학업설계 지원, 졸업요건, 학업성취지도 보장 프로그램 순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최소 학업성취 수준 보장 지도 프로그램 운영 사례 분석 결과, 운영 목적에 따라 미이수 예방, 보충 지도, 미이수 예방과 보충지도 순으로 나타났으며, 운영 내용에 따라 교과학습, 상담, 학습 능력 형성 지원, 진로 탐색, 기타 프로그램 순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의 취지를 살린 모든 학생의 학습권 보장, 고교학점제 취지에 부합하는 교육과정 편성·운영, 고교학점제 대비 특수교육대상학생에 대한 진로·직업교육의 내실화를 중심으로 논의하며 향후 방향성 설정에 필요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민형, "홍콩의 모국어 교육과정 체제 연구 —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에 주는 시사점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215-249, 2020

      2 조현영,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97-220, 2018

      3 강민정, "혁신교육지구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8

      4 김진숙, "학점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75-103, 2019

      5 장현주, "학교 밖 프로그램의 학습경험 인정 및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학교 밖학습경험의 학점화 방향 탐색" 8 : 37-39, 2019

      6 박지혜,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에 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교육연구소 26 (26): 85-104, 2020

      7 교육부, "포용과 성장의 고교교육 구현을 위한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교육부 2021

      8 이명애, "평가 쟁점에 따른 고교학점제에서의 평가 방안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5-30, 2020

      9 김연화, "지구과학 고등학교 선택과목 재구조화:고체지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283-302, 2019

      10 김진철, "전환교육을 고려한 특수학급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1 이민형, "홍콩의 모국어 교육과정 체제 연구 —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에 주는 시사점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215-249, 2020

      2 조현영,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97-220, 2018

      3 강민정, "혁신교육지구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8

      4 김진숙, "학점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75-103, 2019

      5 장현주, "학교 밖 프로그램의 학습경험 인정 및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학교 밖학습경험의 학점화 방향 탐색" 8 : 37-39, 2019

      6 박지혜,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에 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교육연구소 26 (26): 85-104, 2020

      7 교육부, "포용과 성장의 고교교육 구현을 위한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교육부 2021

      8 이명애, "평가 쟁점에 따른 고교학점제에서의 평가 방안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5-30, 2020

      9 김연화, "지구과학 고등학교 선택과목 재구조화:고체지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283-302, 2019

      10 김진철, "전환교육을 고려한 특수학급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11 박승희,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수업의실제: 중학교 통합교육의 실상과 허상" 특수교육연구소 14 (14): 27-62, 2015

      12 최은정, "유럽의 고교학점제 시행 현황과 국어교육적 시사점 — 핀란드, 영국, 독일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341-376, 2020

      13 임유나, "영국 고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특징과 고교학점제에 주는 시사점: Key Stage 4와 Sixth Form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87-116, 2020

      14 유상희,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서의 IBDP 선택과목 탐색 — 국어과 관련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179-213, 2020

      15 조성지,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과 학교생활 실태: 고등학교 통합교육 내실화를 향한 문제 정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25-59, 2018

      16 백명옥, "발달장애학생의 방과후학교 진로·직업교육 실태 및 부모의 욕구조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17 박선화, "미래사회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Ⅱ) : 유치원, 초·중등학교의교수학습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8 주형미, "미래사회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Ⅰ):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19 권은선, "미국 고교의 학점제 기반 자국어 교육과정 고찰 - 국어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46) : 49-87, 2020

      20 최정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421-447, 2019

      21 강영택,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 민들레 2017

      22 김정완, "균형있는 국가 인적자원개발 위한 교육제도 개편 방안: 「2022 대입개편 방안」과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8 (18): 207-234, 2019

      23 교육부,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 추진 계획(안)" 교육부 2021

      24 김홍겸,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고교학점제 운영의 개선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1-139, 2019

      25 이숙향, "국내 중등 통합교육 연구의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39-369, 2010

      26 강현석, "교육과정 쟁점에 기반한 고교 학점제 가능성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25-633, 2018

      27 이미영, "교육 패러다임 전환과 독일학의 방향" 한국독일어문학회 29 (29): 253-273, 2021

      28 허정은, "교사의 고교학점제 및 대입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433-1452, 2020

      29 박진희, "과목선택권 확대를 통해 본 학습자 주도성의 의미 재고: S고 학생들의 공동교육과정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81-104, 2020

      30 임진택, "고등학생 교과별 선택과목의 대입전형 활용에 대한 인식 연구" 7 (7): 1-30, 2018

      31 정주한, "고등학교 완전통합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및 진학 지도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77-111, 2012

      32 박균열,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32 (32): 87-113, 2019

      33 노은희, "고교학점제의 교과 이수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27-50, 2020

      34 문경호, "고교학점제에서의 도덕과 교육의 변화와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한국윤리교육학회 (54) : 35-57, 2019

      35 김지혜, "고교학점제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 — 대학입시제도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99-130, 2020

      36 김대영, "고교학점제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안암교육학회 25 (25): 1-27, 2019

      37 우옥희, "고교학점제를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기준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31 (31): 305-332, 2019

      38 이상은,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나타난 쟁점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9-136, 2019

      39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교육부 2017

      40 김동욱,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편성의 실제 및 학생 선택 경향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31-157, 2019

      41 이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시 과목 선택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79-105, 2019

      42 이경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의 성과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33-1253, 2020

      43 교육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안내서" 교육부 2021

      44 교육부,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사례집" 교육부 2021

      45 우원재, "고교학점제 성공적 실행 및 정착에 대한 선결조건, 외적환경 및 운영방법의 영향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11-330, 2019

      46 이상은, "고교학점제 선택과목 확대 가능성 탐색: 교사 전공별 담당교과 현황 및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49-73, 2019

      47 한혜정,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조 관련 쟁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53-81, 2019

      48 배희정,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한문과 교육의 현재와 과제" 한국한문교육학회 (54) : 123-150, 2020

      49 이광우,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 밖 학습경험의 학점 인정에 관한 쟁점 논의" 한국교육과정학회 39 (39): 5-34, 2021

      50 허주,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수급 관련 쟁점: 학생의 교과목 수요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51-672, 2020

      51 이현,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41) : 77-144, 2018

      52 주세형, "고교학점제 대비를 위한 문법 교육과정 구성의 쟁점들" 2020 (2020): 87-139, 2020

      53 김영은,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에 관한 국외 사례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103-129, 2020

      54 김천홍, "고교 학점제의 학생평정 방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79-301, 2018

      55 정광희, "고교 학점제의 단계적 도입을 위한 진로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01-229, 2017

      56 홍후조,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99-724, 2018

      57 김란주,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13-138, 2018

      58 안성훈, "SW교과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관련 교육제도 분석"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4 (4): 163-170, 2018

      59 홍후조, "IB DP의 특징에 기반한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29-56, 2019

      60 교육부, "2020년 교육기본통계" 교육부 2020

      61 교육부, "2020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20

      62 홍후조, "'학습자 중심의 진로 맞춤형 교육을 위한 학점제 실행 방안 탐색'에 대한토론" 33-38, 201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2-03-05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영문명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2-03-0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Multiple, & Health Disabilities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8-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Council For Physical And Multiful Disabilities -> Korean Council of Physical &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4-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연구
      외국어명 : The Educationlal Journal for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10-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중복·지체지체부자유아교육 ->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53 1.53 1.3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5 1.27 1.413 0.6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