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민형, "홍콩의 모국어 교육과정 체제 연구 —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에 주는 시사점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215-249, 2020
2 조현영,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97-220, 2018
3 강민정, "혁신교육지구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8
4 김진숙, "학점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75-103, 2019
5 장현주, "학교 밖 프로그램의 학습경험 인정 및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학교 밖학습경험의 학점화 방향 탐색" 8 : 37-39, 2019
6 박지혜,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에 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교육연구소 26 (26): 85-104, 2020
7 교육부, "포용과 성장의 고교교육 구현을 위한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교육부 2021
8 이명애, "평가 쟁점에 따른 고교학점제에서의 평가 방안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5-30, 2020
9 김연화, "지구과학 고등학교 선택과목 재구조화:고체지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283-302, 2019
10 김진철, "전환교육을 고려한 특수학급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1 이민형, "홍콩의 모국어 교육과정 체제 연구 —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에 주는 시사점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215-249, 2020
2 조현영, "호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남호주 Norwood High School의 교과목 편성 및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97-220, 2018
3 강민정, "혁신교육지구란 무엇인가?" 맘에드림 2018
4 김진숙, "학점제의 고등학교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요구 조사"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75-103, 2019
5 장현주, "학교 밖 프로그램의 학습경험 인정 및 교육과정 연계의 필요성, 학교 밖학습경험의 학점화 방향 탐색" 8 : 37-39, 2019
6 박지혜,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에 관한 사회적 인식 연구: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하여" 교육연구소 26 (26): 85-104, 2020
7 교육부, "포용과 성장의 고교교육 구현을 위한 고교학점제 종합 추진계획" 교육부 2021
8 이명애, "평가 쟁점에 따른 고교학점제에서의 평가 방안 탐색" 교육연구소 26 (26): 5-30, 2020
9 김연화, "지구과학 고등학교 선택과목 재구조화:고체지구영역을 중심으로"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13 (13): 283-302, 2019
10 김진철, "전환교육을 고려한 특수학급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0
11 박승희, "전국 중학교 특수학급 및 통합학급 수업의실제: 중학교 통합교육의 실상과 허상" 특수교육연구소 14 (14): 27-62, 2015
12 최은정, "유럽의 고교학점제 시행 현황과 국어교육적 시사점 — 핀란드, 영국, 독일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341-376, 2020
13 임유나, "영국 고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특징과 고교학점제에 주는 시사점: Key Stage 4와 Sixth Form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87-116, 2020
14 유상희,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서의 IBDP 선택과목 탐색 — 국어과 관련 선택과목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179-213, 2020
15 조성지, "서울 지역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의 수업과 학교생활 실태: 고등학교 통합교육 내실화를 향한 문제 정의"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20 (20): 25-59, 2018
16 백명옥, "발달장애학생의 방과후학교 진로·직업교육 실태 및 부모의 욕구조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17 박선화, "미래사회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Ⅱ) : 유치원, 초·중등학교의교수학습 방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18 주형미, "미래사회대비 교육과정, 교수학습, 교육평가, 비전 연구(Ⅰ): 초·중등학교 교과 교육의 방향"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6
19 권은선, "미국 고교의 학점제 기반 자국어 교육과정 고찰 - 국어과 선택과목 교육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 국어교육연구소 (46) : 49-87, 2020
20 최정희, "문・이과 통합 및 고교학점제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대학 교육에 주는 시사점: 연구학교 및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5 (25): 421-447, 2019
21 강영택, "마을을 품은 학교공동체" 민들레 2017
22 김정완, "균형있는 국가 인적자원개발 위한 교육제도 개편 방안: 「2022 대입개편 방안」과 「고교학점제」를 중심으로" 한국인사행정학회 18 (18): 207-234, 2019
23 교육부, "국민과 함께하는 미래형 교육과정 추진 계획(안)" 교육부 2021
24 김홍겸,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한 고교학점제 운영의 개선점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11-139, 2019
25 이숙향, "국내 중등 통합교육 연구의 동향 및 향후 과제 고찰"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1 (11): 339-369, 2010
26 강현석, "교육과정 쟁점에 기반한 고교 학점제 가능성 분석"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8 (8): 625-633, 2018
27 이미영, "교육 패러다임 전환과 독일학의 방향" 한국독일어문학회 29 (29): 253-273, 2021
28 허정은, "교사의 고교학점제 및 대입제도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433-1452, 2020
29 박진희, "과목선택권 확대를 통해 본 학습자 주도성의 의미 재고: S고 학생들의 공동교육과정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81-104, 2020
30 임진택, "고등학생 교과별 선택과목의 대입전형 활용에 대한 인식 연구" 7 (7): 1-30, 2018
31 정주한, "고등학교 완전통합학급에 배치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및 진학 지도 현황과 개선 방안"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 22 (22): 77-111, 2012
32 박균열, "고교학점제의 안정적 정착을 위한 학교 구성원의 역할 분석" 교육문제연구소 32 (32): 87-113, 2019
33 노은희, "고교학점제의 교과 이수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3 (23): 27-50, 2020
34 문경호, "고교학점제에서의 도덕과 교육의 변화와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한국윤리교육학회 (54) : 35-57, 2019
35 김지혜, "고교학점제에 따른 국어교육의 과제 — 대학입시제도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회 55 (55): 99-130, 2020
36 김대영, "고교학점제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안암교육학회 25 (25): 1-27, 2019
37 우옥희, "고교학점제를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기준 개발" 한국교육방법학회 31 (31): 305-332, 2019
38 이상은, "고교학점제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나타난 쟁점과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9-136, 2019
39 교육부, "고교학점제 추진 방향 및 연구학교 운영 계획(안)" 교육부 2017
40 김동욱,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선택 교육과정 편성의 실제 및 학생 선택 경향성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131-157, 2019
41 이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시 과목 선택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79-105, 2019
42 이경진,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의 성과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1233-1253, 2020
43 교육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운영 안내서" 교육부 2021
44 교육부,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운영 사례집" 교육부 2021
45 우원재, "고교학점제 성공적 실행 및 정착에 대한 선결조건, 외적환경 및 운영방법의 영향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311-330, 2019
46 이상은, "고교학점제 선택과목 확대 가능성 탐색: 교사 전공별 담당교과 현황 및 인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36 (36): 49-73, 2019
47 한혜정,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구조 관련 쟁점 및 향후 연구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53-81, 2019
48 배희정,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한문과 교육의 현재와 과제" 한국한문교육학회 (54) : 123-150, 2020
49 이광우,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일반계 고등학교 학교 밖 학습경험의 학점 인정에 관한 쟁점 논의" 한국교육과정학회 39 (39): 5-34, 2021
50 허주,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교원수급 관련 쟁점: 학생의 교과목 수요를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 (20): 651-672, 2020
51 이현, "고교학점제 도입 추진 정책에 대한 비판적 검토" (41) : 77-144, 2018
52 주세형, "고교학점제 대비를 위한 문법 교육과정 구성의 쟁점들" 2020 (2020): 87-139, 2020
53 김영은, "고교학점제 교과 이수 기준에 관한 국외 사례 고찰" 한국교육과정학회 38 (38): 103-129, 2020
54 김천홍, "고교 학점제의 학생평정 방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279-301, 2018
55 정광희, "고교 학점제의 단계적 도입을 위한 진로수요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5 (35): 201-229, 2017
56 홍후조, "고교 학점제 도입의 문제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699-724, 2018
57 김란주, "‘고교학점제’를 통한 교육과정 혁신의 가능성과 한계" 한국교육과정학회 36 (36): 113-138, 2018
58 안성훈, "SW교과 고교학점제 운영을 위한 관련 교육제도 분석" 한국창의정보문화학회 4 (4): 163-170, 2018
59 홍후조, "IB DP의 특징에 기반한 진학계 고등학교 교과목 재구조화 방안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7 (37): 29-56, 2019
60 교육부, "2020년 교육기본통계" 교육부 2020
61 교육부, "2020 특수교육통계" 교육부 2020
62 홍후조, "'학습자 중심의 진로 맞춤형 교육을 위한 학점제 실행 방안 탐색'에 대한토론" 33-38,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