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현석, "향유하기와 주관적 웰빙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 조현석, "한국판 향유신념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9 (29): 349-365, 2010
3 이주일, "체험정서와 표현정서의 심리적 효과"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8
4 지혜경, "중년의 외상 후 성장 경험과 종교적 대처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5 김성희, "중년여성의 자기효능감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한림대학교 대학원 2016
6 이미숙, "중년여성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한국상담 대학원 대학교 2016
7 양현주, "중년기 전업주부의 생성감과 가족관계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활동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8 김애순, "중년기 위기감(1)." 한국노년학회 13 (13): 1-16, 1993
9 김정숙, "중년기 영성의 영성과 고통 감내력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7
10 이우경, "중년기 여성의 스트레스, 마음챙김, 자기-자애, 정서적 안녕감 간의 관계 구조 분석과 마음챙김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1 최종환, "중년기 성인의 간접 외상경험과 침투적 반추가 외상 후 스트레스 성장에 미치는 영향 : 향유방식의 매개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8
12 김연신, "중년 여성의 내현적 자기애가 노화불안에 미치는 영향 : 완벽주의와 반추의 매개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 2015
13 윤영선, "정서표현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정서규범의 조절효과 검증"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5
14 이경란, "정서표현성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이 대학생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06
15 김경희, "정서란 무엇인가" 믿음사 1995
16 홍창희, "정서경험과 정신건강과의 관계 : 정서표현성의 매개 모델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3
17 한정원, "정서 표현성이 건강 및 주관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7
18 우소연, "정서 표현성과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 미치는 정서 규범의 조절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19 정옥분, "전 생애 인간발달의 이론" 학지사 2015
20 김인자, "적응심리" 정민사 1984
21 강병서, "연구조사방법론: SPSS와 AMOS 활용" 무역경영사 2005
22 배병조, "어머니의 양육 효능감, 정서표현성, 역할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5
23 서은국,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사회및성격심리학회 25 (25): 95-113, 2011
24 김예지, "노화불안이 중년기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8
25 전현경, "노인의 향유신념과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및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5
26 조은희, "노인의 향유 신념과 향유 방식의 삶의 의미와의 관계에서 정서조절 전략의 매개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2
27 김광미, "기독교인의 영성이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감사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9
28 홍세희, "구조방정식 모형의 이론과 응용"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29 Fredrickson BL.,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16 (16): 83-101, 1998
30 Friedman, H. S., "Type behavior, nonverbal expressive type and health" 48 : 1299-1315, 1985
31 Snyder, M., "The self-monitoring of expressive behavior" 30 : 526-537, 1974
32 Button. C. M., "The health benefits of writing about intensely positive experiences" 38 : 150-163, 2004
33 Lang, P. J., "The emotion probe: Studies of motivation and attention" 50 : 372-385, 1995
34 Diener, E., "Subjective well-being" 95 : 542-575, 1984
35 Halberstadt, A. G., "Self-expressiveness with in the family context: Psychometric support for a new measure" 7 : 93-103, 1995
36 Bryant, F. B., "Savoring; a new model for positive experience" Lawrence Erblaum Associates, Inc 2007
37 Hurley, D. B., "Savoring helps most when you have little: interaction between savoring the moment and uplifts on positive affect and satisfaction with life" 14 : 1261-1271, 2013
38 Bryant, F. B., "Savoring Beliefs Inventory (SBI): A Scale Form measuring beliefs about savoring" 12 : 175-196, 2003
39 Cox, T., "Psychological factors and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etiology and development of cancers" 16 : 381-396, 1982
40 Buck., "Nonverbal communication of affect in humans" 23 : 362-371, 1972
41 Seligman, M. E. P.,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2" 3-12, 2002
42 Watson, D.,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106-119, 2002
43 Esterling, B. A., "Empirical foundations for writing in prevention and psychotherapy : Mental and physical health outcomes" 19 (19): 79-96, 1999
44 Emmons, R. A., "Emotional conflict and well-being : Relation to perceived availability, daily utilization, and observer reports of social" 68 : 947-959, 1995
45 Welden, T. A, "Emotion regulation" 21 (21): 7-25, 1997
46 Salovey. P., "Emitional intelligence and imagination" 9 : 185-211, 1990
47 Goleman, D., "Emitional intelligence" Bantam 1995
48 Pennebaker. J. W., "Disclosure of traumas and health. among Holocaust survivors" 51 : 577-589, 1989
49 King, L. A., "Conflict over emotion expressi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correlates" 58 : 864-877,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