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칠산어장과 조기파시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Chilsan Fishing Area and Croaker Pasi Marke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67697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봄철이면 서남해역 수많은 섬들 사이로 흐르는 난류를 따라 회유성 어류들이 북상을 한다. 풍선배로 고기를 잡던 시절에는 청산도, 나로도, 거문도를 거쳐 흑산도, 칠산도, 연평도로 이어지...

      봄철이면 서남해역 수많은 섬들 사이로 흐르는 난류를 따라 회유성 어류들이 북상을 한다. 풍선배로 고기를 잡던 시절에는 청산도, 나로도, 거문도를 거쳐 흑산도, 칠산도, 연평도로 이어지는 거대한 조기어장이 벨트를 형성했다. 이곳 어장은 조기 외에 고등어, 삼치, 갈치, 전갱이, 멸치, 새우를 비롯하여 홍어까지 어종이 다양하다. 종다양성은 문화다양성의 기반이었다.
      특히 조기는 해양문화는 물론 어민들의 생활상을 재구성하는 좋은 소재이다. 조기는 우리민족의 생활문화와 역사성을 고려할 때 한국 대표 어종으로 손색이 없다. 조기는 각종의례의 제물과 명절의 고급선물로 사랑을 받고 있다. 산자와 죽은 자를 연결하는 신격의 의미를 갖는다. 뿐만 아니라 서해의 대부분 어법, 어업노동요, 어민생활도 조기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해양문화의 거점이 파시이다. 파시는 바다 위에서 고기를 잡는 어부와 상인(객주)들 사이에 이루어지는 시장을 말한다. 어업기술과 운반기술이 발달하기 전 어장과 가까운 포구에 형성되었다. 수심이 낮고 넓은 간사지가 발달한 서해지역은 간만차가 커 독살이나 어살 등 전통어업이 발달했다. 먼 바다에서 이루어지는 그물어업도 조류를 이용했다. 특히 산란장을 찾는 회유성 어종을 잡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조기처럼 짧은 어기에 높은 어획고를 올리는 어종들은 일시에 어장이나 인근 지역에 어선과 운반선이 밀집했다. 파시의 근거지에는 짧은 기간에 목돈을 만지는 선원들과 선주들을 상대로 술과 여자 그리고 도박이 결합 되면서 유흥장이 형성되었다. 이러한 서해해역의 어업특성, 해양생태, 지리적 특성 때문에 서해지역에 파시가 형성될 수 있었다.
      칠산어장과 법성포는 조기의 산란지이며 굴비의 생산지이다. 칠산어장의 대표적인 파시로는 법성포 인근의 목맥파시와 위도파시가 있으며, 낙월도와 송이도와 안마도에도 크고 작은 파시들이 형성되었다. 법성포단오제도 바다와 갚은 관련이 있다. 내륙문화의 관점에서는 추석명절이 축제와 의례의 중심이지만 해양문화관점에서는 단오가 중요하다. 단오를 전후한 시기가 조기를 비롯한 대부분 어류의 산란시점이다. 어민들에게는 최고의 고기잡이 시기다. 파시는 어업기술과 어업문화의 전파와 흡수의 공간 이었다. 그 중심에 조기가 있다. ‘파시’는 전통어업이 근대어업으로 전환하는 과정의 어민 생활사를 이해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이처럼 해양문화연구에서 ‘파시’는 중요한 연구대상 임에도 불구하고 매우 소홀하게 다루어져 왔다. 그 이유는 파시가 시공간의 측면에서 제한적이며 공식문서가 남아 있지 않기 때문이다. 게다가 기존의 파시연구도 단순히 뱃사람들과 술집여인들이 어우러지는 놀이판 정도로 접근하는 측면이 강했다. 파시문화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조명되기 위해서는 생태환경, 어업기술, 마을간 지역간 문화접촉 등 해양문화사의 측면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개요】
      • 1. 서론
      • 2. 칠산어장의 기록과 조기이야기
      • 3. 칠산파시와 조기어장의 공간 변화
      • 4. 칠산파시와 그 기억들
      • 【논문개요】
      • 1. 서론
      • 2. 칠산어장의 기록과 조기이야기
      • 3. 칠산파시와 조기어장의 공간 변화
      • 4. 칠산파시와 그 기억들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2" 청어람미디어 2002

      2 한인수, "한말 연평도 근해의 조기어업 소고" 3 : 1977

      3 박구병, "한국어업사" 정음사 1977

      4 농상공수산국, "한국수산지" 조선총독부농상공부 1910

      5 김재원, "한국서해도서조사보고" 을유문화사 1957

      6 한국도서학회, "한국도서연구 임자도특집" 1999

      7 최길성, "파시의 민속학적 연구" 민속원 1997

      8 "지도총쇄록"

      9 김승, "조선시대 전통의 파시와 어업근거지 파시의 비교연구" (22) : 2005

      10 김준, "조기파시의 기억과 기록 in: 서해와 조기" 경인문화사 2008

      1 이태원, "현산어보를 찾아서 2" 청어람미디어 2002

      2 한인수, "한말 연평도 근해의 조기어업 소고" 3 : 1977

      3 박구병, "한국어업사" 정음사 1977

      4 농상공수산국, "한국수산지" 조선총독부농상공부 1910

      5 김재원, "한국서해도서조사보고" 을유문화사 1957

      6 한국도서학회, "한국도서연구 임자도특집" 1999

      7 최길성, "파시의 민속학적 연구" 민속원 1997

      8 "지도총쇄록"

      9 김승, "조선시대 전통의 파시와 어업근거지 파시의 비교연구" (22) : 2005

      10 김준, "조기파시의 기억과 기록 in: 서해와 조기" 경인문화사 2008

      11 김준, "젓새우잡이의 역사와 어로문화" 도서문화연구소 (31) : 33-60, 2008

      12 "자산어보"

      13 최길성, "일본민속학자가 본 1930년대 서해도서 민속" 민속원 2004

      14 박광순, "위도의 조기파시에 관한 일고찰" 한국도서학회 11 : 2000

      15 서종원, "위도 조기파시의 민속학적 고찰" 고려대학교 2004

      16 김준, "어촌사회의 구조와 변동" 전남대학교 2000

      17 "신동국여지승람"

      18 수산업사연구소, "수산업사연구 2권" 1995

      19 "세종실록지리지"

      20 나승만, "서해와 조기" 경인문화사 2008

      21 김수관, "서해 지역의 파시에 관한 조사연구(1)" 수산업사연구소 1 : 1994

      22 김준, "생태환경의 변화와 파시촌 어민의 적응"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9 : 2001

      23 김준, "생태환경의 변화와 어촌사회" 민속원 2004

      24 전경욱, "법성포단오제의 연희성" 2007

      25 이경엽, "법성포다오제의 축제성 in: 법성포단오제" 월인 2007

      26 나경수, "법성포다오제의 제의성 in: 법성포단오제" 월인 2007

      27 박수현, "바다생물 이름 풀이사전" 지성사 2008

      28 주강현, "민어잡이와 타리파시의 생활사" 해양문화재단 6 : 2001

      29 이경엽, "도서지역의 민속연희와 남사당노래 연구" 한국민속학회 33 : 2001

      30 송수권, "남도의 맛과 멋" 창공사 1995

      31 김일기, "곰소만의 어업과 어촌 연구" 서울대 1988

      32 吉田敬市, "波市坪考-朝鮮に於ける移動漁村集落" 京都大學 5 : 1954

      33 吉田敬市, "朝鮮水産開發史" 朝水會 1954

      34 アチツクミーユゼアム, "朝鮮多島海旅行覺書" アチツクミーユゼアム 1963

      35 한상복, "Korean Fisherman : Ecological Adaptation in Three Communic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Press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6-28 학회명변경 한글명 : 도서문화연구소 -> 도서문화연구원
      영문명 : THE INSTITUTE OF ISLAND CULTURE MOKPO NATIONAL UNIVERSITY -> Institution for Marine & Island Cultures Mokpo National University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7-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5 0.45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5 0.874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