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육재정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 A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Focus on big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2962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통해 유아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아 + 교육재정’을 키워드로 rawDATA를 마련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차·2차 정제과정을 마친 데이터들 중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키워드 200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1-mode matrix dataset을 작성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서 ‘교육’, ‘유아’, ‘교육재정’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 다. 또한 이해관계 집단 요인(유치원, 지방, 정부, 사립, 어린이집, 교육부, 대학), 이해 관계자 요인(유아, 교사, 교수), 정책 및 행정 요인(교육, 교육재정, 지원, 보육, 정책, 예산, 복지, 교부금, 무상, 공교육), 유관법령 요인(교육법, 법), 사회적 반응 요인(부 담, 문제, 필요)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실제적 데이터 네트워크 에서 드러난 유아교육재정에 관한 개념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재정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통해 유아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아 + 교육재정’을 키워드로 rawDAT...

      본 연구에서는 빅데이터를 통해 유아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위해 Textom에서 제공하는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유아 + 교육재정’을 키워드로 rawDATA를 마련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1차·2차 정제과정을 마친 데이터들 중 빈도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핵심 키워드 200개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1-mode matrix dataset을 작성하여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교육재정에 대한 사회적 인식에서 ‘교육’, ‘유아’, ‘교육재정’이 핵심 키워드로 나타났 다. 또한 이해관계 집단 요인(유치원, 지방, 정부, 사립, 어린이집, 교육부, 대학), 이해 관계자 요인(유아, 교사, 교수), 정책 및 행정 요인(교육, 교육재정, 지원, 보육, 정책, 예산, 복지, 교부금, 무상, 공교육), 유관법령 요인(교육법, 법), 사회적 반응 요인(부 담, 문제, 필요)과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실제적 데이터 네트워크 에서 드러난 유아교육재정에 관한 개념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의의가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교육재정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based on big data.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the keyword ‘young children + education finance’ with big data Textom.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words, 200 words were select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filtering processes, which were converted to 1-mode matrix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Concep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have a common relation to ‘education’, ‘young children’ and ‘education finance’. It also show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have closely related to ‘stakeholder group’, ‘stakeholder’, ‘policy & administration’, ‘laws’ and ‘social respons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exposed in actual data networks.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ways to suppor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policy.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based on big data.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the keyword ‘young children + education finance’ with big data Textom.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social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based on big data.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the keyword ‘young children + education finance’ with big data Textom. Based on the frequency of the words, 200 words were selected after the first and second filtering processes, which were converted to 1-mode matrix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Concep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have a common relation to ‘education’, ‘young children’ and ‘education finance’. It also showed tha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have closely related to ‘stakeholder group’, ‘stakeholder’, ‘policy & administration’, ‘laws’ and ‘social response’. This study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cept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exposed in actual data networks. Based on these analytical results, the researcher suggested ways to support early childhood education finance polic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겨레, "한유총 “박용진 3법 통과되면 폐원”…학부모·지인까지 ‘광화문 총동원’"

      2 현영희, "한국 유아교육 재정에 관한 분석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3 최순희, "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 공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법제처,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5 최일선, "유치원정보공시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91-111, 2016

      6 김병주, "유치원재무회계규칙 제정의 쟁점과 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25-43, 2011

      7 배정호, "유치원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 홀리스틱 교육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2 (22): 105-130, 2018

      8 안현주, "유치원 교사의 행정 업무 부담 및 적합성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9 송기창, "유아교육재정의 쟁점과 과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43-59, 2011

      10 천세영, "유아교육의 공적부조 확대 필요성 및 지원방안"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205-224, 2010

      1 한겨레, "한유총 “박용진 3법 통과되면 폐원”…학부모·지인까지 ‘광화문 총동원’"

      2 현영희, "한국 유아교육 재정에 관한 분석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3 최순희, "학교예산회계제도에 대한 인식조사 연구 : 공립유치원 교사를 중심으로" 경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4 법제처,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5 최일선, "유치원정보공시에 대한 유치원교사의 인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91-111, 2016

      6 김병주, "유치원재무회계규칙 제정의 쟁점과 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 (20): 25-43, 2011

      7 배정호, "유치원의 공공성에 대한 논의: 홀리스틱 교육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2 (22): 105-130, 2018

      8 안현주, "유치원 교사의 행정 업무 부담 및 적합성에 관한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9 송기창, "유아교육재정의 쟁점과 과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43-59, 2011

      10 천세영, "유아교육의 공적부조 확대 필요성 및 지원방안" 한국교육행정학회 28 (28): 205-224, 2010

      11 송기창, "유아교육법 시행의 교육재정적 과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9 (9): 219-238, 2004

      12 정정희, "유아교육기관 정보공시에 대한 인식과 활용실태 -재무회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3 (33): 161-176, 2015

      13 박갑원, "유아교육과 영유아보육의 통합 정책 형성과정 분석 : 정책옹호연합모형(ACF)적용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14 박흠경, "유아교육·보육정책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원장의 경험과 기대"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8

      15 이일주, "유아교육 재정 배분 방식 전환에 따른 지방 유아교육 예산 변화"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293-315, 2009

      16 류영철, "영․유아 현장전문가 인식차이 분석을 통한 유보통합 방안 연구" 교육과학연구소 20 (20): 21-50, 2018

      17 한겨레, "어린이집 보육교사 처우개선비, ‘누리과정’ 갈등 다시 부르나"

      18 곽기영, "소셜 네트워크분석" 도서출판 청랑 2017

      19 서정아,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대구의 관광지 이미지 분석 : 온라인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20 서정아,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대구의 관광지 이미지 분석 : 온라인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7 (17): 443-454, 2017

      21 김용학, "사회 연결망 분석" 박영사 2016

      22 손동원, "사회 네트워크 분석" 경문사 2002

      23 이학춘, "사학기관 재무⋅회계규칙 개정안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법학연구소 (36) : 289-313, 2017

      24 이대균, "사립유치원의 예산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51-66, 2006

      25 김정호, "사립유치원비리문제에대한새로운시각" 한국규제학회 26 (26): 97-119, 2017

      26 노승부, "사립유치원 재정운영에 관한 관리자들의 인식유형" 경남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27 우명숙, "사립유치원 재정운영 현황분석을 통한재무․회계 규칙 제정 기준 탐색" 한국유아교육학회 33 (33): 5-30, 2013

      28 신하영, "사립유치원 재무회계규칙의 갈등 쟁점과 대안 분석" 한국교육정치학회 23 (23): 90-112, 2016

      29 선봉주, "사립유치원 운영자의 재무회계에 관한 인식"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30 이강훈,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창의인성교육에 대한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121-144, 2018

      31 황해익, "빅데이터를 통해 살펴본 유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8 (38): 213-235, 2018

      32 최현주, "빅데이터를 통해 바라본 유아 창의인성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17): 601-627, 2016

      33 Textom, "빅데이터 분석 솔루션 텍스톰(Textom)" The IMC

      34 오경숙, "보육시설 재정의 운영 실태 및 공평성 분석" 원광대학교 대학원 2011

      35 김성섭, "델파이 기법에 의한 개인설립 유치원 적정 회계 항목 개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1 (21): 99-134, 2016

      36 이정욱, "단계별 유보통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221-240, 2015

      37 송기창, "누리과정 재정지원체계에 비추어 본 유보통합 재정지원체계의 설계 방향"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6 (26): 27-44, 2017

      38 남미자, "누리과정 재정지원에 따른 지방교육재정 현황 분석 -경기도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정치학회 24 (24): 51-75, 2017

      39 박은혜, "누리과정 재정 구조를 통해서 본 유아교육 공교육제체 분석과 미래방향" 한국교육개발원 39 (39): 55-78, 2012

      40 서화정, "누리과정 시행에 따른 시·도별 지방교육재정 세출 경향 및 격차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6 (26): 271-297, 2017

      41 황해익,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어머니의 행복 개념 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 25 (25): 45-66, 2018

      42 이수상,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 논형 2013

      43 조남두, "교육행정론" 원미사 2006

      44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하우동설 2011

      45 김성섭, "개인설립 유치원의 회계 투명성 제고를 위한 회계 모형개발 및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71-107, 2016

      46 Bodard, K., "The persistence of early childhood maturity : International evidence of long-run age effects" 121 (121): 1437-1472, 2006

      47 Heckman, J. J., "Structural equations, treatment effects, and econometric policy evaluation 1" 73 (73): 669-738, 2005

      48 OECD, "Starting stro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2001

      49 OECD, "Starting strong Ⅱ: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2006

      50 Scott, J., "Social network analysis" Sage Publications 2017

      51 Myers, R. G., "Finan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33 (33): 75-94, 2000

      52 Cleveland, G., "Financ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services in OECD countries" 2003

      53 Bennett, J., "Encyclopedia on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entre of Excellence fo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1-5, 2011

      54 Children in Scotl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Developing a fully integrated early years system" Children in Scotland 2011

      55 Freeman, L. C,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1 (1): 215-239, 1979

      56 Borgatti, S. P., "Analyzing social networks" Sage Publications 2013

      57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