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를 가진 형제를 둔 비장애학생의 회복탄력성과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 대처방식과의 관계 =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lience,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in Non-Disabled Students with Sibling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948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silience,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on-disabled stud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ased on gender and school grade, as well a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9 non-disabled stud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from 8 privat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in Gwangju, Jeonnam, and Jeonbuk.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for non-disabled students with siblings with disabilities; however, stress levels were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Second, as school grade increased, resilience also increased, while stress coping strategies decreased.
      Third, resili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coping strategi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support programs are needed to enhance the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on-disabled stud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both the disabled siblings and the non-disabled students.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silience,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on-disabled stud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ased on gender and school grade, as well as the corr...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resilience, stress,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on-disabled stud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based on gender and school grade, as well as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variable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89 non-disabled stud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from 8 private developmental rehabilitation centers in Gwangju, Jeonnam, and Jeonbuk.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for non-disabled students with siblings with disabilities; however, stress levels were higher among female students compared to male students. Second, as school grade increased, resilience also increased, while stress coping strategies decreased.
      Third, resili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tress an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tress coping strategies.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support programs are needed to enhance the 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f non-disabled students who have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both the disabled siblings and the non-disabled studen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우열 ; 김민규 ;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3 유신복 ; 손원숙,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정서조절 및 공격성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205-224, 2014

      4 안종혁 ; 유미현,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업소진 비교 및 관계 분석" 한국영재학회 24 (24): 169-189, 2014

      5 정미숙, "척수장애인 가족의 스트레스와 적응에 관한 연구 : 가족적응유연성 요인의 상호작용적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6 강영일, "지체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자매들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질적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4

      7 안윤아,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20 : 141-165, 2012

      8 최흔희, "중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양식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현인순, "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대학원 2018

      10 김선옥,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들간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의 차이 : 국공립 통합 보육시설 어머니를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 신우열 ; 김민규 ; 김주환,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김주환, "회복탄력성 : 시련을 행운으로 바꾸는 유쾌한비밀" 위즈덤하우스 2011

      3 유신복 ; 손원숙, "초등학생이 지각한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기본심리욕구, 정서조절 및 공격성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교육심리학회 28 (28): 205-224, 2014

      4 안종혁 ; 유미현, "초등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방식, 학업소진 비교 및 관계 분석" 한국영재학회 24 (24): 169-189, 2014

      5 정미숙, "척수장애인 가족의 스트레스와 적응에 관한 연구 : 가족적응유연성 요인의 상호작용적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6 강영일, "지체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자매들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질적 연구" 건양대학교 대학원 2014

      7 안윤아, "중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및 스트레스대처방식의 관계=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20 : 141-165, 2012

      8 최흔희, "중학생의 스트레스 수준과 대처양식에 관한 연구" 금오공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9 현인순, "장애자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검증" 성결대학교 대학원 2018

      10 김선옥, "장애유아 어머니와 비장애유아 어머니들간 양육스트레스 및 대처행동의 차이 : 국공립 통합 보육시설 어머니를 대상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11 이윤화, "장애아동형제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8 (8): 59-85, 2002

      12 이샛별, "장애아동의 비장애형제 지원에 대한 부모의요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13 이혜연, "장애아동의 부모양육태도가 비장애형제의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12 (12): 17-37, 2015

      14 정영숙, "장애아동 부모의 자아분화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재활심리학회 26 (26): 19-30, 2019

      15 장은정, "장애아동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논문 고찰 : 2000년대 논문을 중심으로" 5 (5): 123-137, 2007

      16 남미옥, "장애아 형제자매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청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17 이영미, "장애 형제자매가 있는 청소년의 스트레스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모와의 의사소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특수교육학회 50 (50): 327-346, 2016

      18 박단아 ; 최진혁, "자폐성장애 아동의 문제행동이 부모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중심으로" 한국자폐학회 22 (22): 93-114, 2022

      19 오현숙 ; 백영숙, "유아교사의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과 교수창의성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31-53, 2015

      20 이연숙, "어머니의 양육태도,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 매개효과"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16

      21 김영한 ; 김하영,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중도장애아동 부모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9 (59): 141-169, 2020

      22 김하영, "신체활동 중심의 심리운동 프로그램이 중도및 중복장애아 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에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0

      23 조영실 ; 양소남, "성인 지적장애인을 부양하는 비장애남자 형제의 돌봄경험에 대한 연구"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62) : 5-38, 2018

      24 윤해림 ; 박지연, "사회·정서학습 프로그램이 장애형제를 둔 초등학생의 자아개념, 사회적 행동, 부모와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8 (28): 5-33, 2017

      25 육영화, "비장애형제를 위한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장애형제를 대하는 태도와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26 전경희, "비장애 형제자매의 생활 스트레스 특성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4

      27 신혜용, "발달장애인 형제를 가진 비장애 청소년의 문제 행동 및 형제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28 장미희, "모애착, 거부민감성, 정서조절능력이 아동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9 김수연 ; 탁진국, "뚜렛장애 자녀 부모의 심리적 스트레스 및 대처에 관한 질적 분석" 한국건강심리학회 25 (25): 153-185, 2020

      30 문혁준, "가족관계" 창지사 2012

      31 권수현, "Rasch 모형을 통한 유치원 교사의 회복탄력성 척도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