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반학교에 통합된 발달장애학생의 방과 후 활동 실태 및 지역 대학의 역할 : U대학 발달장애지원센터 장애학생 부모 면담을 중심으로 = Status of After-schoo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grated into Regular Schools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32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일반학교에 통합된 발달장애학생의 방과 후 참여 활동 실태와 학생 및 부모 지원을 위한 지역 대학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학생 어머니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얻는 자료는 근거이론의 개방코딩 과정을 통해 개념을 도출하고 그 개념들을 묶어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학생의 방과 후 참여 활동 실태로는 방과 후 활동 참여의 어려운 현실과 가족의 다양한 어려움을 알 수 있었고, 발달장애 자녀의 성장과 함께 나타나는 신체적, 교육적 어려움 그리고 방과 후 활동을 위한 교육기관 및 사회복지기관을 통한 지원의 한계 등을 알 수 있었다. 방과 후 발달장애학생 교육지원을 위한 대학의 역할로는 방과 후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을 위해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요구하였고,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을 위해 지역 대학의 다양한 교육지원을 원하고 있었으며, 발달장애 자녀의 교육을 위해 효율적인 대학의 역할과 지원을 요구하였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일반학교에 통합된 발달장애학생의 방과 후 참여 활동 실태와 학생 및 부모 지원을 위한 지역 대학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학생 어머니 5명을 연구 참여...

      이 연구는 일반학교에 통합된 발달장애학생의 방과 후 참여 활동 실태와 학생 및 부모 지원을 위한 지역 대학의 역할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학생 어머니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심층면담을 통해 얻는 자료는 근거이론의 개방코딩 과정을 통해 개념을 도출하고 그 개념들을 묶어 범주화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학생의 방과 후 참여 활동 실태로는 방과 후 활동 참여의 어려운 현실과 가족의 다양한 어려움을 알 수 있었고, 발달장애 자녀의 성장과 함께 나타나는 신체적, 교육적 어려움 그리고 방과 후 활동을 위한 교육기관 및 사회복지기관을 통한 지원의 한계 등을 알 수 있었다. 방과 후 발달장애학생 교육지원을 위한 대학의 역할로는 방과 후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을 위해 가족지원 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요구하였고,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을 위해 지역 대학의 다양한 교육지원을 원하고 있었으며, 발달장애 자녀의 교육을 위해 효율적인 대학의 역할과 지원을 요구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tatus of after-schoo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grated into regular schools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to support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moth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integrated into regular schools. Using the data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derived the concepts via an open coding process of the grounded theory, and the concepts were grouped and categorized. As a result, in the actual conditions of after-school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 found the difficult reality of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activities and the various difficulties of families. In addition, we also identified the physical and educational difficulties that occur along with the growth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support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r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role of universities to support after-schoo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udy participants requested the activation of family support programs for after-schoo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rthermore they wanted various educational support from local universities, and requested efficient roles and support from universitie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tatus of after-schoo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grated into regular schools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to support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status of after-schoo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grated into regular schools and the role of local universities to support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The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five mother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ho are integrated into regular schools. Using the data obtain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the study derived the concepts via an open coding process of the grounded theory, and the concepts were grouped and categorized. As a result, in the actual conditions of after-school activitie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 found the difficult reality of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activities and the various difficulties of families. In addition, we also identified the physical and educational difficulties that occur along with the growth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 limitations of support through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social welfare institutions for after-school activities. In the role of universities to support after-schoo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udy participants requested the activation of family support programs for after-school edu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urthermore they wanted various educational support from local universities, and requested efficient roles and support from universities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경란, "한국과 일본의 특수교육 지원에 대한 지역 실천 사례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09-130, 2015

      2 박경옥,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ㆍ평가 운영현황과 효율적 지원방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20, 2011

      3 강경숙,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19-45, 2009

      4 민천식,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과 해결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97-118, 2010

      5 최재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 방안 탐색:센터 전담교사와 학교현장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핵심집단면담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9 (9): 71-94, 2010

      6 김기룡,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기관 간 협력 경험" 국립특수교육원 20 (20): 109-133, 2013

      7 정미애, "초등학생의 정서 및 행동장애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서비스 사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가족지원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8 유나래, "창조적 연결성 척도 개발 및 소마중심 표현예술치료를 활용한 PTSD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기제 연구" 서울불교대학교 대학원 2016

      9 윤순이,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0

      10 최혜원, "지적장애아 부모의 가족기능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4

      1 박경란, "한국과 일본의 특수교육 지원에 대한 지역 실천 사례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6 (16): 109-130, 2015

      2 박경옥,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진단ㆍ평가 운영현황과 효율적 지원방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1-20, 2011

      3 강경숙,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운영 실태 및 개선방안"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2 (52): 19-45, 2009

      4 민천식,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과 해결과제"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 12 (12): 97-118, 2010

      5 최재완, "특수교육지원센터의 발전 방안 탐색:센터 전담교사와 학교현장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한 핵심집단면담 연구" 특수교육연구소 9 (9): 71-94, 2010

      6 김기룡, "특수교육지원센터에 근무하는 특수교사의 기관 간 협력 경험" 국립특수교육원 20 (20): 109-133, 2013

      7 정미애, "초등학생의 정서 및 행동장애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서비스 사업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및 가족지원 요구"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2

      8 유나래, "창조적 연결성 척도 개발 및 소마중심 표현예술치료를 활용한 PTSD 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기제 연구" 서울불교대학교 대학원 2016

      9 윤순이, "지체장애인의 자립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0

      10 최혜원, "지적장애아 부모의 가족기능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14

      11 이미아, "정서행동장애아동을 위한 대학과 지역사회 협력을 통한 긍정적 행동지원 수행: Kansas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7 (27): 197-221, 2011

      12 이상훈, "정서·행동장애학생의 교육지원과 특수교육지원센터의 역할"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9 (29): 1-21, 2013

      13 이상훈, "정서·행동장애학생과 가족을 위한 지원 방안 탐색 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8 (28): 1-24, 2012

      14 정영주, "장애학생의 방과 후 활동 현황 조사"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7

      15 한주경, "장애유아와 일반유아 부모의 양육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4 (54): 235-257, 2011

      16 박재국, "장애아동 어머니의 행복에 대한 인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4 (14): 199-223, 2013

      17 이미선, "장애 영유아 가족지원 방안 연구" 국립특수교육원 2000

      18 박영근, "예비특수교사의 지적장애 특수학교 사전실습 프로그램 참여 경험" 특수교육연구소 16 (16): 143-167, 2017

      19 "사회서비스 전자바우처"

      20 김정득, "발달장애인 부모와 비장애형제의 가족적응성 : 대처전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0

      21 신인수,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행복증진 부모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5

      22 김민경, "발달장애 청소년 어머니의 자녀 직업준비경험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6 (26): 111-129, 2021

      23 "대구대학교 K-PACE센터"

      24 박미정, "농중증ㆍ중복장애아동과 가족 지원을 위한 요구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12 (12): 91-113, 2011

      25 吉岡 恒生, "特別支援教育における関係機関との連携 -質問紙調査を用いて-" 62 : 19-27, 2013

      26 Dennis, R., "The vermont state I-team then and now: twenty-five years of technical assistance and training" 21 (21): 20-39, 2001

      27 최귀순, "Strauss와 Glaser의 근거이론방법론 비교" 14 (14): 82-90, 2005

      28 Weinberg, R. A., "Minnesota's children, youth, and family consortium : a university-community collaboration" 6 (6): 37-53, 1996

      29 Ebata, A. T., "Making university-community collaboration work : challenges for institutions and individuals" 6 (6): 71-79, 1996

      30 Colaizzi, P. F., "Existential-phenomenological alternative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48-71, 1978

      31 Agosta, J., "Emerging issues in family support" The American Association on Mental 99-150, 199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tudy of Education for Hearing-Language Impairments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9 0.736 0.0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