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듀이 실험학교 역사성에 기반한 초등학교 통합 교육과정 운영의 시사점 탐색 = 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the Operation of the Integrat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ased on the Historicality of Dewey Laborato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493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Dewey‘s Laboratory School for the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The Laboratory School is the place where Dewey's experiential philosophy was experimented. And as a life, we can know ideas related to students' experiences, continuity of experiences, interaction and growth, and the gradual organization of experience and subject matter.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of the Laboratory School fo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were explored. As a result, first, the meaning of experience as life, second, internalization of experience as story, and third, possibility of transfer of story and expansion of life could be presented. It can be seen that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t school are settled in the minds of students in the form of a story, and narrative act as an important mechanism in the expansion of experiences in life.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Dewey‘s Laboratory School for the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The Laboratory School is the place where Dewey's experiential philo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lications of the Dewey‘s Laboratory School for the oper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integration. The Laboratory School is the place where Dewey's experiential philosophy was experimented. And as a life, we can know ideas related to students' experiences, continuity of experiences, interaction and growth, and the gradual organization of experience and subject matter. In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curriculum of the Laboratory School for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rom an integrated perspective were explored. As a result, first, the meaning of experience as life, second, internalization of experience as story, and third, possibility of transfer of story and expansion of life could be presented. It can be seen that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t school are settled in the minds of students in the form of a story, and narrative act as an important mechanism in the expansion of experiences in lif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실험학교는 Dewey 경험철학이 실험된 장으로서 학생들의 경험, 경험의 계속성과 상호작용 그리고 성장, 경험과 교과 사이의 점진적 조직과 관련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어떻게 실천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된다. 본 연구는 실험학교의 역사성에 기반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방법을 재검점 할 수 있는 중요한 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방식을 기반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철학적 탐구 중심의 논의 방식을 채택하여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반합의 원리로서 경험과 교과의 통합적 가능성 둘째, 이야기로서 교과 경험의 내면화와 삶으로 전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에서 학생들의 경험이 하나의 이야기 형태로 마음에 자리 잡고, 경험의 확장 및 삶의 전이에서 내러티브가 중요한 기제로 작동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실험학교는 Dewey 경험철학이 실험된 장으로서 학생들의 경험, 경험의 계속성과 상호작용 그리고 성장, 경험과 교과 사이의 점진적 조직과 관련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어떻게 실천되었는지 살...

      실험학교는 Dewey 경험철학이 실험된 장으로서 학생들의 경험, 경험의 계속성과 상호작용 그리고 성장, 경험과 교과 사이의 점진적 조직과 관련한 다양한 아이디어가 어떻게 실천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된다. 본 연구는 실험학교의 역사성에 기반하여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방법을 재검점 할 수 있는 중요한 논거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중요한 가치가 있다. 이러한 취지하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학교의 교육과정 운영 방식을 기반으로 통합적 관점에서 초등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주는 시사점을 철학적 탐구 중심의 논의 방식을 채택하여 탐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정반합의 원리로서 경험과 교과의 통합적 가능성 둘째, 이야기로서 교과 경험의 내면화와 삶으로 전이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학교에서 학생들의 경험이 하나의 이야기 형태로 마음에 자리 잡고, 경험의 확장 및 삶의 전이에서 내러티브가 중요한 기제로 작동한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ewey, J.,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교우사 2015

      2 함종규,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 : 조선조 말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교육과학사 2004

      3 소경희, "학문과 학교교과의 차이 : 교육과정개발에의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07-125, 2010

      4 Dewey, J., "학교와 사회" 교육과학사 2016

      5 Dewey, J., "하우 위 싱크: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교육" 학이시습 2011

      6 윤미원, "프로젝트 수업을 말하다 : 듀이, 킬패트릭 그리고 진보교육" 지식프레임 2019

      7 박채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6 (6): 195-213, 2012

      8 정광순, "초등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9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10 박철홍, "질성적 사고의 통합적 인식작용에 비추어 본 앎의 성격" 한국교육철학회 (70) : 37-65, 2019

      1 Dewey, J., "흥미와 노력 그 교육적 의의" 교우사 2015

      2 함종규, "한국교육과정변천사연구 : 조선조 말부터 제7차 교육과정까지" 교육과학사 2004

      3 소경희, "학문과 학교교과의 차이 : 교육과정개발에의 함의"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07-125, 2010

      4 Dewey, J., "학교와 사회" 교육과학사 2016

      5 Dewey, J., "하우 위 싱크: 과학적 사고의 방법과교육" 학이시습 2011

      6 윤미원, "프로젝트 수업을 말하다 : 듀이, 킬패트릭 그리고 진보교육" 지식프레임 2019

      7 박채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과정의 변천"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6 (6): 195-213, 2012

      8 정광순, "초등교육과정 담론에 대한 현상학적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9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10 박철홍, "질성적 사고의 통합적 인식작용에 비추어 본 앎의 성격" 한국교육철학회 (70) : 37-65, 2019

      11 강현석, "지식구조론의 재구성을 통한 교육과정 설계 원리의 구성"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55-85, 2004

      12 윤지현, "죤 듀이의 관점에서 본 노작교육의 성격 및 방법: 실과교과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시사점"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6 (26): 1-15, 2020

      13 노진규, "존 듀이의 실험학교 교육과정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2019

      14 송도선, "존 듀이의 경험 중심 교육사상" 학지사 2021

      15 이돈희, "존 듀이와 함께한 질성적 사고와 교육적 경험" 학지사 2020

      16 이상민, "존 듀이 교육사상에 대한 일 고찰 : 실험학교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7 Dewey, J., "아동과 교육과정/경험과 교육" 문음사 2002

      18 김상현, "실험공간으로서의 학교: 듀이의 삶과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철학학회 43 (43): 55-79, 2021

      19 Dewey, J., "민주주의와 교육" 교육과학사 2016

      20 오천석, "민주주의 교육의 건설" 광명출판사 1975

      21 최휘경 ; 김상현, "민주적 학교공동체에 관한 연구 : 듀이 철학과 실험학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28 (28): 31-54, 2022

      22 이승은, "듀이 실험학교의 과학적 기초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3 (23): 307-330, 2010

      23 예철해, "듀이 교육사상이 한국 교육과정에 끼친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5

      24 이승은, "듀이 경험 이론과 교과 심리화의 세 수준" 과학교육연구소 56 (56): 155-169, 2017

      25 안경인, "듀이 ‘실험학교’의 실제와 교육이론을 통해 제시된 대안적 교사상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6 강현석, "내러티브와 교육 : 삶, 앎, 그리고 가르침" 경북대학교출판부 2023

      27 장사형, "내러티브 탐구와 인간 경험의 이해"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 (2): 5-22, 2014

      28 노진규 ; 강현석, "교과 내면화 기제로서 내러티브 가능성 탐구" 한국교육철학회 (80) : 85-109, 2021

      29 한승희, "과학적 사고와 서사적 사고의 교육적 의미: 과학적 사고와 서사적 사고에서 추론과 정서"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39-64, 2005

      30 International Baccalaureate Organization(IBO), "What is an IB education?"

      31 Wiggins, G., "Understanding by design"

      32 Bruner, J. S., "The process of education" Harvard Univ. Press 1960

      33 Blenkin, G. M., "The primary curriculum" Harper & Row Publishers 1981

      34 Bruner, J. S., "The culture of education" Harvard Univ. Press 1996

      35 Mayhew, K., "The Dewey School: The Laboratory School of the University of Chicago, 1896-1903" Appleton-Century 1936

      36 Egan, "Teaching as story telling"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9

      37 Diekelmann, N., "Schooling learning teaching toward narrative pedagogy" iUniverse 2009

      38 Clandinin, D. J.,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Jossey Bass 2000

      39 朴榮滿, "John Dewey 實驗學校의 敎育理論과 實際에 관한 연구"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1993

      40 Lauritzen, C., "Integrating learning through story: the narrative curriculum" Delmar Publishers 1997

      41 Short, E., "Forms of Curriculum Inquiry" SUNY Press 1991

      42 양은주, "Dewey 실험학교와 예술가로서의 교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8 (8): 25-50, 2005

      43 Erickson, H. L., "Concept bas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for the thinking classroom" Corwn 2017

      44 정광순, "2015 개정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육론" 학지사 2019

      45 소경희,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개정안이 남긴 과제 : 각론 개발의 쟁점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33 (33): 195-214, 201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