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기’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9864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위기’ 개념에 대한 한국어 은유 표현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사용자의 개념화 방식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위기의 개념화 방식을 존재론적 은유에 의한 개념화와 사건 구조은유에 의한 개념화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존재론적 은유에 의해 ‘위기’는 우리의 인지 공간에서 물건으로 간주되거나 사람이나 동물 같은 생명체로 간주되어 만지고 다룰 수 있고 생겨나 변화할 수 있는 속성을 지닌 것으로 표현된다. 또한 위기는 사건을 공간 관점에서 개념화하는 사건 구조 은유 속에서 특정한 장소나 장애물로 간주된다. 한국어 사용자는 위기 개념을 불, 폭탄, 거센 물결, 생명체, 구석, 절벽, 수렁, 나쁜 날씨, 질병 등을 통해 이해하는데, 이것들은 우리 삶에 큰 영향을 초래하고 통제하기 어려우며 그래서 위험하기도 하고 두렵기도 한 대상들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한국어 사용자가 위기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위기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표현하는지를 알 수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위기’ 개념에 대한 한국어 은유 표현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사용자의 개념화 방식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위기의 개념화 방식을 존재론적 은유에...

      이 연구는 ‘위기’ 개념에 대한 한국어 은유 표현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어 사용자의 개념화 방식을 살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위기의 개념화 방식을 존재론적 은유에 의한 개념화와 사건 구조은유에 의한 개념화로 나누어 살펴보고 있다. 존재론적 은유에 의해 ‘위기’는 우리의 인지 공간에서 물건으로 간주되거나 사람이나 동물 같은 생명체로 간주되어 만지고 다룰 수 있고 생겨나 변화할 수 있는 속성을 지닌 것으로 표현된다. 또한 위기는 사건을 공간 관점에서 개념화하는 사건 구조 은유 속에서 특정한 장소나 장애물로 간주된다. 한국어 사용자는 위기 개념을 불, 폭탄, 거센 물결, 생명체, 구석, 절벽, 수렁, 나쁜 날씨, 질병 등을 통해 이해하는데, 이것들은 우리 삶에 큰 영향을 초래하고 통제하기 어려우며 그래서 위험하기도 하고 두렵기도 한 대상들이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해 한국어 사용자가 위기 상황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위기 개념을 어떻게 이해하고 표현하는지를 알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taphorical expression about crises to examine how Korean speakers perceive the concept of crisis. The first way to conceptualize crises is to substantiate them in cognitive space as something that can be touched and moved. This conceptualization uses an ontological metaphor, which is a method of objectifying crises as objects or organisms, such as people or animals. Crises can also be conceptualized as places or obstacles in an event structure metaphor of [changes as movements]. This study found that Korean speakers understand the concept of crisis in terms of various things, such as fire, strong waves, organisms, corners, cliffs, bogs, bad weather, disease, and explosion, all of which have a great impact on people’s lives, are dangerous, and therefore are things that people fear. This study’s results show how Korean speakers understand crises and how they understand and express crisis concep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taphorical expression about crises to examine how Korean speakers perceive the concept of crisis. The first way to conceptualize crises is to substantiate them in cognitive space as something that can b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metaphorical expression about crises to examine how Korean speakers perceive the concept of crisis. The first way to conceptualize crises is to substantiate them in cognitive space as something that can be touched and moved. This conceptualization uses an ontological metaphor, which is a method of objectifying crises as objects or organisms, such as people or animals. Crises can also be conceptualized as places or obstacles in an event structure metaphor of [changes as movements]. This study found that Korean speakers understand the concept of crisis in terms of various things, such as fire, strong waves, organisms, corners, cliffs, bogs, bad weather, disease, and explosion, all of which have a great impact on people’s lives, are dangerous, and therefore are things that people fear. This study’s results show how Korean speakers understand crises and how they understand and express crisis concept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벼리〉
      • 1. 머리말
      • 2. 국내 은유 연구 현황
      • 3. 존재론적 은유를 통한 ‘위기’의 개념화
      • 4. 사건 구조 은유 속 ‘위기’의 개념화
      • 〈벼리〉
      • 1. 머리말
      • 2. 국내 은유 연구 현황
      • 3. 존재론적 은유를 통한 ‘위기’의 개념화
      • 4. 사건 구조 은유 속 ‘위기’의 개념화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권익수, "햇볕 정책, 그리고 개념적 은유" 담화·인지언어학회 22 (22): 19-37, 2015

      2 김원용, "핵폐기장 중심 원자력 관련 보도에 나타난매체별 갈등보도의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방송학회 19 (19): 168-213, 2005

      3 이유미, "한국어 은유의 근원영역 특징- ‘불’, ‘물’, ‘온도’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20 : 187-203, 2006

      4 유군, "한·중 개념적 은유 비교 연구 -‘비[雨]’가 근원영역인 언어 표현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68) : 59-92, 2017

      5 권연진, "프레임과 은유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 정치 분야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3) : 85-107, 2017

      6 이상률, "프레임 경쟁에 따른 언론의 보도 전략: 언론의 기사근거 제공과 익명 정보원 사용" 한국언론학회 58 (58): 378-407, 2014

      7 Lakoff, G,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와이즈베리 2015

      8 권익수, "책임, 공감, 진심, 그리고 새로운 미래: 안철수의 대선출마연설문에 나타난 정치 프레임 분석" 언어연구소 (57) : 1-26, 2012

      9 임양준, "집단적 갈등 이슈에 대한 방송뉴스 프레임 비교연구 : 용산참사에 대한 MBC, KBS, SBS 저녁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55-79, 2009

      10 박경숙, "집단 갈등 이슈의 방송 뉴스 프레임 분석의약 분업 뉴스 프레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310-340, 2002

      1 권익수, "햇볕 정책, 그리고 개념적 은유" 담화·인지언어학회 22 (22): 19-37, 2015

      2 김원용, "핵폐기장 중심 원자력 관련 보도에 나타난매체별 갈등보도의 프레임 비교 연구" 한국방송학회 19 (19): 168-213, 2005

      3 이유미, "한국어 은유의 근원영역 특징- ‘불’, ‘물’, ‘온도’를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20 : 187-203, 2006

      4 유군, "한·중 개념적 은유 비교 연구 -‘비[雨]’가 근원영역인 언어 표현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회 (68) : 59-92, 2017

      5 권연진, "프레임과 은유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연구 - 정치 분야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3) : 85-107, 2017

      6 이상률, "프레임 경쟁에 따른 언론의 보도 전략: 언론의 기사근거 제공과 익명 정보원 사용" 한국언론학회 58 (58): 378-407, 2014

      7 Lakoff, G,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 와이즈베리 2015

      8 권익수, "책임, 공감, 진심, 그리고 새로운 미래: 안철수의 대선출마연설문에 나타난 정치 프레임 분석" 언어연구소 (57) : 1-26, 2012

      9 임양준, "집단적 갈등 이슈에 대한 방송뉴스 프레임 비교연구 : 용산참사에 대한 MBC, KBS, SBS 저녁뉴스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55-79, 2009

      10 박경숙, "집단 갈등 이슈의 방송 뉴스 프레임 분석의약 분업 뉴스 프레임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46 (46): 310-340, 2002

      11 이창봉, "정치은유와 프레임형성: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정치 담화를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24 (24): 69-92, 2017

      12 최재영, "정치담론에서의 도덕적 은유에 대한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59 (59): 155-175, 2017

      13 권연진, "정치담론 상에 나타난 은유의 대조 분석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82) : 33-62, 2018

      14 이준형, "정책분석에 있어서 은유의 활용" 정책분석평가학회 5 (5): 39-54, 1995

      15 임혜원, "정책과 은유: 신문 기사문에 나타난 부동산시장 은유" 인문학연구원 (42) : 511-540, 2020

      16 나익주, "이기는 프레임 : 진보적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방법" 생각정원 2016

      17 최영주, "은유적 함의의 부분성: [삶은 야구] 은유를 중심으로" 현대문법학회 (103) : 107-130, 2019

      18 나익주, "은유의 신체적 근거" 담화인지언어학회 1 : 187-213, 1995

      19 권연진, "은유의 개념화 양상에 관한 연구" 인문과학연구소 (44) : 339-358, 2015

      20 김현효, "은유와 사고: 정치적 은유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 12 (12): 4348-4353, 2011

      21 김명미, "은유 이해력의 발달 경향 분석"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22 Kövecses, Z, "은유" 한국문화사 2003

      23 Kövecses, Z, "언어 · 마음 · 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도서출판 역락 2010

      24 김해연, "언론담화 선거기사의 비유적 표현의 은유 이론적 분석" 언어교육원 52 (52): 393-420, 2016

      25 최영주, "신문기사 제목에 나타난 은유와 프레임 전쟁: 삼성 이재용 부회장 구속영장청구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연구소 (80) : 147-166, 2018

      26 신선경, "설득의 수단으로서의 은유- 은유의 생성과 수용에 대한 일고찰 -" 한국어의미학회 20 : 139-159, 2006

      27 임혜원, "선거 기사문에 나타난 은유: [선거는 전쟁이다]" 담화인지언어학회 4 (4): 89-110, 1997

      28 나익주, "삶을 갉아먹는 은유들: ‘벌레’와 ‘폭탄’, ‘명품’ 개념의 은유적 활용을 중심으로" 139-147, 2016

      29 정수진, "비유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태학사 258-280, 2015

      30 유희정, "동물 부위 은유의 특징과 작용 원리" 한국어의미학회 68 : 25-48, 2020

      31 나익주, "도덕성 은유와 프레임 전쟁:적폐 청산을 중심으로" 담화·인지언어학회 26 (26): 1-25, 2019

      32 이동혁, "담화 은유 - ‘전봇대’의 은유적 사용을 중심으로 -" 한국어의미학회 31 : 143-162, 2010

      33 임혜원, "국어 사물 개념의 은유적 확장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19 : 125-155, 2006

      34 권연진, "경제담론 상에 나타난 은유표현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한국언어과학회 23 (23): 1-19, 2016

      35 제민경, "경제 현상의 언어화를 통해 본 은유의 담화 구성력" 한국어의미학회 43 : 1-31, 2014

      36 심지연, "경제 텍스트에 나타난 은유의 인지의미론적 연구" 한국어의미학회 51 : 111-136, 2016

      37 임지룡, "개념적 은유에 대하여" 한국어의미학회 20 : 29-60, 2006

      38 임혜원, "가상화폐의 은유적 개념화 양상" 한국어의미학회 62 : 1-26, 2018

      39 유영돈, "‘세종시 갈등’에 대한 뉴스 프레임 연구: 7개 전국 일간지 기사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9 (59): 29-59, 2015

      40 Lakoff, G, "Philosophy in the Flesh: The Embodied Mind and Its Challenge to Western Thought" Basic Books 1999

      41 Lakoff, G, "More than Cool Reason" Chicago University Press 1989

      42 Lakoff, G, "Metaphors We Live By" Chicago University Press 1980

      43 Lakoff, G, "Metaphor and Thought"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2-251,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4 0.84 0.7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7 0.83 1.332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