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내에는 다양한 유해화학물질과 새로운 물질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문가가 아닌 학생들이 이러한 화학물질을 다루기 때문에 각 종 안전사고 및 화재, 폭발 등의 발생확률이 높다. 또한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741951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방재안전공학협동과정 , 2018. 2
2018
한국어
서울
Development of capacity model for capability of university emergency management
vi, 67 p. : 삽화 ; 30 cm
지도교수: 윤홍식
참고문헌 : p. 64-6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대학 내에는 다양한 유해화학물질과 새로운 물질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문가가 아닌 학생들이 이러한 화학물질을 다루기 때문에 각 종 안전사고 및 화재, 폭발 등의 발생확률이 높다. 또한 ...
대학 내에는 다양한 유해화학물질과 새로운 물질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문가가 아닌 학생들이 이러한 화학물질을 다루기 때문에 각 종 안전사고 및 화재, 폭발 등의 발생확률이 높다. 또한 대학시설은 비교적 출입이 자유로워 테러 등 사회재난의 잠재적 위험에도 항상 노출되어 있다. 화재, 폭발, 테러 등 재난 발생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음에도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역량 관리가 미흡하며, 국내외의 대학교 대상의 재난관리 역량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 관리를 위하여 선행적으로 대학교 재난안전관리 역량모델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역량모델 개발을 위하여 성균관대학교를 대상으로 법령, 조직, 매뉴얼, 재난자원에 대한 분석을 시행하여 대학교의 총체적인 재난안전관리 현황을 파악하였고, 업무중심 직무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재난단계별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업무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업무분류를 기준으로 기존의 재난관리 역량 모델을 적용하여 대학교의 재난안전관리 11개 역량을 도출하였고, 11개의 각 역량에 대한 정의, 핵심활동, 임무로 구성된 역량기술서를 개발하였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재난관리 이해
숭실대학교 정종수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재난관리 리더십과 재난대응 협업 (Disaster Management Leadership and Collaboration for Disaster Response)
K-MOOC 국가민방위재난안전교육원 NDTI International Cooperation Team글로컬재난위기관리론
부산가톨릭대학교 정용준역량개발과 역량평가의 이해와 활용
경기대학교 임진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