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관련 변인 탐색 =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Toddler's Father Involvem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666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oddler's father involvement and his social demographic element, temperament, martial quality, and parenting attitude, and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This research subjects were 81 fathers with children of the average age of 30 month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time they spend with their children on weekdays. Second, fathers’ involvement was prov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 father’s temperament, marital quality, and parenting attitude. Thir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were a bit different in each subordinate area. As for the explanation of a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it is found that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The results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all the variables affecting a toddler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oddler's father involvement and his social demographic element, temperament, martial quality, and parenting attitude, and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This resea...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oddler's father involvement and his social demographic element, temperament, martial quality, and parenting attitude, and to find out the relative influence of related variables. This research subjects were 81 fathers with children of the average age of 30 month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was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average monthly income, and the time they spend with their children on weekdays. Second, fathers’ involvement was prove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 father’s temperament, marital quality, and parenting attitude. Thir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were a bit different in each subordinate area. As for the explanation of a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it is found that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The results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all the variables affecting a toddler father’s involvement in childca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사회인구학적 특성, 기질, 부부 관계의 질, 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자녀의 평균 월령이 30개월인 아버지 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연령, 월평균 가구수입, 평일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부의 기질, 부부관계의 질, 양육태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각 하위영역별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나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애정적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사회인구학적 특성, 기질, 부부 관계의 질, 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자녀...

      본 연구는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사회인구학적 특성, 기질, 부부 관계의 질, 양육태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관련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자녀의 평균 월령이 30개월인 아버지 8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했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아버지의 연령, 월평균 가구수입, 평일 자녀와 함께 하는 시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아버지의 양육참여는 부의 기질, 부부관계의 질, 양육태도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각 하위영역별로 조금씩 다르게 나타났으나 아버지의 양육참여를 설명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애정적 양육태도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영아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현숙,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39 (39): 89-106, 2001

      2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 지성사 1999

      3 홍길회, "자녀양육 스트레스 및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 한국아동학회 27 (27): 301-317, 2006

      4 이정숙,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3 (3): 1-17, 2008

      5 이정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부관계, 부모성장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4 (24): 99-108, 2003

      6 라혜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246-262, 2012

      7 이영환,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 아버지 노릇 : 척도 개발연구" 37 (37): 79-89, 1999

      8 이은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양육 참여도 및 배우자의 지지" 대한가정학회 47 (47): 13-22, 2009

      9 김정주,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 어머니 결혼만족도가 아버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4) : 269-287, 2008

      10 조화선, "유아기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에 관련된 요인과 양육태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 정현숙, "한국형 결혼만족도 척도 개발을 위한 이론적 고찰" 39 (39): 89-106, 2001

      2 조혜정, "한국의 여성과 남성" 문학과 지성사 1999

      3 홍길회, "자녀양육 스트레스 및 아버지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요구도 -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대상으로 -" 한국아동학회 27 (27): 301-317, 2006

      4 이정숙, "유아의 적응적 기질과 아버지의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3 (3): 1-17, 2008

      5 이정순,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와 부부관계, 부모성장과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4 (24): 99-108, 2003

      6 라혜미,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참여 관련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4 (24): 246-262, 2012

      7 이영환,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생산적 아버지 노릇 : 척도 개발연구" 37 (37): 79-89, 1999

      8 이은실,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부모역할 만족도에 미치는 양육 참여도 및 배우자의 지지" 대한가정학회 47 (47): 13-22, 2009

      9 김정주,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일반적 특성, 어머니 결혼만족도가 아버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회 (54) : 269-287, 2008

      10 조화선, "유아기 아버지의 자녀 양육참여에 관련된 요인과 양육태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1 강기숙, "영아의 발달과 어머니의 양육지식 및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관한 연구" 2010 (2010): 293-293, 2010

      12 이지현, "영아기 자녀를 둔 초보 어머니들의 양육 관심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3 이원영, "어머니의 자녀교육관 및 양육태도와 유아 발달과의 관련성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3

      14 최현진, "어머니와 아동의 기질 유사성이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간발달학회 17 (17): 73-88, 2010

      15 김정, "어머니가 지각한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와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6 (26): 245-262, 2005

      16 이영환,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부모 공동양육의 관점에서-"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189-210, 2008

      17 신용주, "아버지의 자녀양육 역할 참여에 관한 문헌 고찰" 13 : 45-55, 2008

      18 이영미, "아버지의 유아 양육 참여에 대한 가족 사회인구학적 변인과 유아 기질의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 24 (24): 93-101, 2006

      19 손영빈, "아버지의 역할지각, 양육참여도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105-126, 2011

      20 허선자, "아버지의 역할지각 및 양육참여 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31 (31): 131-152, 1993

      21 金玉葉, "아버지의 역할과 자녀의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1982

      22 설경옥, "아버지의 양육참여도 및 심리적 자세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대한가정학회 44 (44): 1-9, 2006

      23 박운영, "아버지의 양육 참여행동과 자녀의 사회적 능력 및 자아 존중감과의 관계" 한남대학교 사회문화대학원 2005

      24 이지희,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 및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5 장석경, "아버지의 부모효능감과 양육참여도에 따른 유아기 자녀의 자기능력에 대한 지각"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73-89, 2008

      26 이영환, "아버지와 어머니의 자녀양육 참여시간 비교" 한국아동권리학회 16 (16): 471-495, 2012

      27 김희주, "아버지 자녀양육 참여도 및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28 장영애, "아동의 스트레스에 대한 어머니, 아버지의양육행동 및 양육참여도 영향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19 (19): 87-99, 2008

      29 천희영, "아동의 기질과 맥락적응의 관계Ⅰ : 아동의 기질과 어머니의 기질 및 기질의 적합성과의 관계" 4 : 12-26, 1995

      30 허순영, "아동과 어머니의 기질 부조화에 따른어머니의 양육방식 및 아동의 문제행동"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9 (9): 1-17, 2005

      31 위영희, "아동 양육에서의 아버지 역할과 아버지에 대한 아동의 지각" 延世大學校 大學院 1979

      32 전현진, "부모의 아동기 경험, 인성 및 결혼만족도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7

      33 이정순, "가족역할 및 직업역할이 유아 아버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9 (9): 43-58, 2005

      34 Komarovsky, M., "The unemployed man and his family : The effect of unemployment upon the status of the man in fifty-nine families" Altamira press 2004

      35 Maccoby, E. E., "The two sexes : growing up apart, coming together." Belknap press 1998

      36 Gaunt, R., "The role of value priorities in paternal and maternal involvement in child care" 67 : 643-655, 2005

      37 Eisenberg, N., "The relations of parenting, effortful control and ego control to children's emotional expressivity" 74 : 875-895, 2003

      38 Schindler, H. S., "The importance of parenting and financial contribution in promoting fathers' psychological health" 72 : 318-332, 2010

      39 Lamb, M. E., "The history of research on father involvement : An overview" 29 : 23-42, 2000

      40 Belsky, J., "The determinants of parenting : A process model" 55 : 83-96, 1984

      41 Buss, A, H., "Temperament : Early developing personality traits" Erlbaum 1984

      42 Dumas, J. E., "Mother-child relationship as source of support or stress : A comparison of competent, average, aggressive, and anxious dyads" 64 : 1732-1754, 1993

      43 Dollarhite, D. C., "Fatherwork: A conceptual ethic of fathering as generative work, In Generative fathering: Beyond deficit perspectives" Sage publication 17-35, 1997

      44 Fagan, J., "Fathers and early childhood programs" Dalmar Learning 2002

      45 Lamb, M. E., "Fathers : Forgotten contributors to child development" 18 (18): 245-266, 1975

      46 Prutt, K. D., "Fatherneed: Why father care is as essential as mother care for your child" Free 2000

      47 Flouri, E., "Fathering & Child Outcomes" John Wiley & Sons 2005

      48 Brown, G., "Father involvement, paternal sensitivity and father-child attachment security in the first 3 years" 1-9, 2012

      49 Coley L., "Does early paternal parenting promote low-income children's long-term cognitive skills?" 32 (32): 1522-1544, 2011

      50 Vondra, J., "Developmental origins of parenting: Personality and relationship factors, In Parent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Erlbaum 1-33, 1993

      51 Barnett, R. C., "Determinants of father's participation in family work" 49 : 29-40, 1987

      52 Nugent, J. K., "Cultural and psychological influences on the father's role in infant development" 53 : 475-485, 1991

      53 Feldman, S. S., "Antecedents of fathering" 54 : 1628-1636, 1983

      54 Schaefer, E. S., "A circumplex model for maternal behavior" 59 : 226-235, 1959

      55 Lamb, M. E., "A biosocial perspective on paternal behavior and involvement, In Parenting across the lifespan: Biosocial Dimentions" Wiley & Sons 111-142, 1987

      56 통계청, "2012년 사회조사결과" 2012

      57 박성연, "2-3세 유아에 대한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관련된 변인들 : 부모에 대한 애착표성 및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21 (21): 59-72, 200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3-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유아교육학회 ->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영문명 : Chung-Ang Society Of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Teacher Educ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42 2.42 2.5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7 2.56 2.707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