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예비언어재활사가 장애인에 대해 갖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경기, 전남, 광주광역시의 예비언어재활사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406090
201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077-1086(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예비언어재활사가 장애인에 대해 갖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경기, 전남, 광주광역시의 예비언어재활사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
이 연구는 예비언어재활사가 장애인에 대해 갖고 있는 사회적 거리감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방법은 경기, 전남, 광주광역시의 예비언어재활사 11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사회적 거리감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는 만남, 관계, 학교생활로 구분하여 총 1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언어치료학과에 다니는 대학생들의 인구통계학적 요인에 따른 사회적 거리감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사회적 거리감의 하위 요소인 ‘만남’에서 음성 장애보다 지적 장애를 더 멀게 느꼈고(p<.05), 청각 장애보다 뇌성마비를 더 멀게 느꼈다(p<.05). ‘학교생활’과 ‘관계유지’에서는 장애 유형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거리감의 총점수에서 청각 장애를 가장 가깝게 느끼고(p<.05) 있으며 반면 뇌성마비를 가장 멀게(p<.05)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예비언어재활사를 대상으로 장애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및 행동의 변화를 유도할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사료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distance that preliminary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The method of research was studied through a questionnaire to 119 preliminary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in Gyeonggi, Jeonnam, and Gw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ocial distance that preliminary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The method of research was studied through a questionnaire to 119 preliminary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in Gyeonggi, Jeonnam, and Gwangju. In order to find out the social distance, a total of 10 questions were organized into meetings, relationships, and school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mographic factor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in the social distance of university students attending language therapy department. Second, in ‘meeting’ where social distances are subtype, they felt more distant from intellectual disabilities than from voice disorders (p<.05), and more distant from cerebral palsy than hearing impairment (p<.05). It was confirmed that at the total point of social distance it was closest to hearing impairment and that it was felt furthest from cerebral palsy (p<.05).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necessary to educate the preliminary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to positively chang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disabled. This will require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s to induce changes in positive attitudes and behavior toward the disabled for preliminary Speech and Language Therapists.
참고문헌 (Reference)
1 최국환, "한국 재활기관 직원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연구" 10 (10): 81-91, 2000
2 최경애,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통합풍물 연계프로그램이 비장애 고등학생의 장애 고등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 (20): 279-314, 2004
3 김보람,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 조사" 9 (9): 1-9, 2011
4 전병진,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재활의료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5 고은,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사회적 거리감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27-151, 2013
6 김미옥,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14) : 99-126, 2002
7 송수영, "장애인과의 접촉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8 배형일, "장애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장애 인식 연구" 11 (11): 83-104, 2009
9 성정희, "자원봉사활동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10 박순길, "일반 중학교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장애 태도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13-130, 2007
1 최국환, "한국 재활기관 직원들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연구" 10 (10): 81-91, 2000
2 최경애, "특수학교와 일반학교의 통합풍물 연계프로그램이 비장애 고등학생의 장애 고등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20 (20): 279-314, 2004
3 김보람,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장애아동에 대한 인식 조사" 9 (9): 1-9, 2011
4 전병진, "장애인의 신체적 특성이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재활의료 전문가 집단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3
5 고은, "장애인에 대한 일반인의 사회적 거리감 분석"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2 (52): 127-151, 2013
6 김미옥,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연구"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14) : 99-126, 2002
7 송수영, "장애인과의 접촉이 장애인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1
8 배형일, "장애 유형에 따른 대학생의 장애 인식 연구" 11 (11): 83-104, 2009
9 성정희, "자원봉사활동이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10 박순길, "일반 중학교 지체부자유학생에 대한 또래학생들의 장애 태도 연구" 한국특수아동학회 9 (9): 113-130, 2007
11 이남순, "완전통합교육환경에 있는 대학생들의 태도・사회적 거리감 및 환경인식에 관한 연구" 2 (2): 61-79, 2006
12 정혜영, "예비유아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분석" 한국특수아동학회 14 (14): 117-145, 2012
13 송관재, "사회적 오점보유자들에 대한 편견과 차별 및 자존감에 관한연구 : 지체장애인 및 윤락녀를 중심으로" 7 (7): 119-136, 2001
14 윤인성, "다문화가정자녀에 대한 일반 아동의 사회적 거리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6 (6): 191-202, 2016
15 고창환, "개인·사회적 상황에서 청각장애인에 대한 대학생의 장애인식 연구" 대구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16 이소영, "간호대학생의 정신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과 태도" 정신간호학회 25 (25): 356-366, 2016
17 Yuker, H. E., "Variables that influence attitudes toward people with disabilities : Conclusions form the data" 9 (9): 3-22, 1994
18 Tringo, J. L., "The Hierarchy of preference toward disability groups" 4 (4): 295-306, 1970
19 Laumann, E. O., "Subjective Social Distance and Urban Occupational Stratification" 71 : 26-36, 1965
20 Schnpflug, W., "Psychologie" Psychologie Verlags Union 1982
중소병원 종사자들의 의료정보 보호에 관한 지식, 인식 및 실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