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이 저소득가구 아동의 자기보호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인 인천, 서울, 경기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를 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이 저소득가구 아동의 자기보호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인 인천, 서울, 경기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를 무...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 이용이 저소득가구 아동의 자기보호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지역인 인천, 서울, 경기에 소재한 지역아동센터를 무작위표집하여, 13개 센터를 이용하고 있는 아동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수집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초등학교 1학년 5차년도(2014)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과 이용하지 않는 아동의 자기보호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t검증, 교차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여부에 대한 자기보호 및 학교적응 차이검증 결과, 지역아동센터 이용과 자기보호시간 감소는 크게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아동센터 이용여부(B=20.43, p<.001)가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할수록 학교적응 수준이 높게 나타난다는 것이 밝혀졌다. 셋째, 아동의 자기보호시간은 지역아동센터와 학교적응 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통제변수, 지역아동센터 이용여부, 자기보호시간을 독립변수에 투입하여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지역아동센터 이용여부(B=20.61, p<.001)는 학교적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모형은 약 60.6%의 설명력을 지니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p<.001)의 적합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아동센터가 아동의 학교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단순히 아동의 자기보호를 감소시키는 것과 동시에 지역아동센터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아동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를 이용하는 아동과 이용하지 않는 아동간의 자기보호 및 학교적응 수준을 규명함으로써 지역아동센터가 이용아동에게 어떠한 역할을 담당하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아동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역아동센터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 모색이 가능하고, 아동복지의 정책적, 실천적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함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on the self-care and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in Incheon, Seoul and Gyeonggi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on the self-care and school adjustment of low-income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s in Incheo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random sampling of 13 children was conducted. In addition, using data from the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KCYPS) of the first grade of 5th(2014) data of elementary school.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test, cross tabu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3.0 statistic.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use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and the reduction of self-care and school adjustment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Seco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B=20.43, p<.001) on school adjustment. In other words, the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 showed that the school adaptation level was higher. Third, children's self-care time showed no mediating effect between community child center and school adjustment. Finally, the participation in the community child center(B=20.61, p<.001) has a significant effects on school adjustment. Therefore, the community child center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and simply mean reducing the child's self-care, providing a variety of services provided by community child centers to the child positively. This study compared the level of self-care and school adjustment between children using the community child center and children not using it. Through this, it was able to confirm what kind of role the community child center plays in the child. In addition, there is implication of the study that it can provide basic data of child welfare policies and practical use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child center to improve the child's school adjustment.
목차 (Table of Contents)
아동복지론
백석문화대학교 박주현Child Poverty: Challenge and Aspiration: Outreach
Teachers TV Teachers TVChild Poverty: Challenge and Aspiration: Pathways to Prospects
Teachers TV Teachers TVChild Poverty: Challenge and Aspiration: Self Belief
Teachers TV Teachers TVChild Poverty: Challenge and Aspiration
Teachers TV Teachers 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