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영유아를 위한 통합적 지원사업 대상 가정의 주 양육자들이 정부에 대하여 원하고 있는 정책이 무엇인지, 그리고 원하는 육아지원정책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살펴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223670
2009
Korean
372
학술저널
87-116(30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영유아를 위한 통합적 지원사업 대상 가정의 주 양육자들이 정부에 대하여 원하고 있는 정책이 무엇인지, 그리고 원하는 육아지원정책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살펴보...
본 연구에서는 저소득층 영유아를 위한 통합적 지원사업 대상 가정의 주 양육자들이 정부에 대하여 원하고 있는 정책이 무엇인지, 그리고 원하는 육아지원정책이 무엇인지에 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408가구의 저소득층 가정의 주양육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동지원사업의 대상인 저소득층 가정의 주양육자들은 미래의 자녀 교육비 지원이나 기초생활비 지원확대 등과 같은 비용지원 정책을 많이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저소득층 가정에 가장 필요한 육아정책으로는 자녀의 학습지 또는 학원비 지원과 같은 자녀 교육과 관련된 요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저소득층 아동지원사업의 확대 및 프로그램 확대도 많이 요구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at polices beneficiaries of comprehensive support projects for children of low-income households wanted.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as 408 parents of low-income families. The parents of low-income famili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what polices beneficiaries of comprehensive support projects for children of low-income households wanted. The participants of the survey was 408 parents of low-income families. The parents of low-income families wanted financial support the most related to their children's education and basic living expenses. In addition, their children's education was one of their major concerns such as supporting the fee of private academies or children's workbook as child-rearing police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봉주, "한국의 주요 아동지표"
2 김미숙, "한국의 아동빈곤실태와 빈곤아동지원방안"
3 김향숙, "포괄적 보육프로그램 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부산대학교대학원 2001
4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포괄적 보육서비스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다음세대 2006
5 김명순, "포괄적 보육서비스 아동교육 프로그램" 다음세대 2005
6 김희진, "포괄적 보육서비스 부모지원 프로그램" 다음세대 2005
7 서문희, "취약보육 대안 마련을 위한 저소득가정 영유아보육 실태조사 보고"
8 중앙일보, "조손가정 6만 가구 육박……10년 새 65% 증가"
9 김해영, "저소득층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10 김명순,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2001
1 이봉주, "한국의 주요 아동지표"
2 김미숙, "한국의 아동빈곤실태와 빈곤아동지원방안"
3 김향숙, "포괄적 보육프로그램 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부산대학교대학원 2001
4 삼성아동교육문화센터, "포괄적 보육서비스 지역사회연계 프로그램" 다음세대 2006
5 김명순, "포괄적 보육서비스 아동교육 프로그램" 다음세대 2005
6 김희진, "포괄적 보육서비스 부모지원 프로그램" 다음세대 2005
7 서문희, "취약보육 대안 마련을 위한 저소득가정 영유아보육 실태조사 보고"
8 중앙일보, "조손가정 6만 가구 육박……10년 새 65% 증가"
9 김해영, "저소득층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양육행동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4
10 김명순, "저소득층 아동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2001
11 변화순, "저소득지역 부모교육 프로그램개발" 보육시설에서의 포괄적 보육서비스 51-71, 2001
12 김선자, "저소득 취업모가정의 보육욕구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1999
13 김명순, "저소득 가정의 영유아를 위한 교육, 복지, 보건의 통합적 조기 개입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을 위한 비교 고찰" 한국아동권리학회 12 (12): 161-187, 2008
14 김윤경, "저소득 가정의 보육서비스 이용 실태 및 욕구" 한남대학교 사회문화과학대학원 2004
15 나정, "유아교육 투자 우선지역 선정연구"
16 신화식, "영유아교육프로그램" 교문사 2004
17 백선희, "영국의 국가아동보육전략 연구를 통한 우리나라 보육정책의 발전 방안 모색:Sure Start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정책학회 27 (27): 79-114, 2006
18 안산시 We Start 초지마을 사업보고회, "안산시 We Start 초지마을 사업보고회"
19 군포시, "아이들이 행복한 세상 만들기 군포 We Start 마을"
20 정원식, "아동의 창의성 요인과 가정의 심리적 과정환경 변인간의 관계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1991
21 조은경, "세계육아정책동향시리즈5: 미국의 육아정책"
22 이민정, "생애초기 종단연구의 장단기 효과" 77-110, 2008
23 이은해, "삼성어린이집 포괄적 보육서비스에 대한 종단적 효과 연구-제 3차년도 결과 보고서-" 삼성복지재단 2008
24 이은해, "삼성어린이집 포괄적 보육서비스에 대한 종단적 효과 연구-제 2차년도 결과 보고서-" 삼성복지재단 2007
25 이은해, "삼성어린이집 포괄적 보육서비스에 대한 종단적 효과 연구 -제 1차년도 결과 보고서-" 삼성복지재단 2006
26 유희정, "빈민지역 보육프로그램의 실효성 검토 및 모형개발"
27 김선숙, "빈곤아동 심리정서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We Start 대상아동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8
28 허인영, "빈곤결손가정 아동의 부적응 행동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1999
29 민경화, "빈곤가족아동의 심리사회적 특성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2000
30 주경민, "부모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정서 불안정 간의 관계" 연세대학교대학원 2000
31 김용미, "미국 헤드 스타트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 관리에 대한 고찰과 시사점" 한국아동교육학회 16 (16): 17-30, 2007
32 나정,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의 영유아 교육과 보육실태 및 요구"
33 교육인적자원부,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의 의의와 추진방향"
34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을 위한 연구 지원사업 결과보고서" 한국교육개발원 2006
35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운영 모델 개발 연구"
36 장명림,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영․유아 교육복지 통합서비스 제공 방안 연구"
37 김정원,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만족도와 성과분석"
38 임재택,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의 영유아 교육보육 실태 및 요구조사"
39 이혜영, "교육복지 투자우선지역 선정지원을 위한연구"
40 이봉주, "경기도 We Start 마을 만들기 사업 효과성․효율성 평가 연구 최종보고서"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7
41 이봉주, "경기도 We Start 마을 만들기 사업 추진 길잡이 최종보고서"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6
42 교육과학기술부, "’08년 교육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추진계획"
43 "http://www.westart.joins.com"
44 "http://www.surestart.gov.uk"
45 "http://www.mw.go.kr"
46 "http://www.chest.or.kr"
47 "http://www.acf.hhs.gov"
48 "http://welfare.samsungfoundation.org"
49 김명순, "We Start 유아용 기관방문 교육중재프로그램"
50 김명순, "We Start 영아용 가정방문 교육중재프로그램을 위한 기관방문교사 매뉴얼"
51 김명순, "We Start 영아용 가정방문 교육중재프로그램"
52 이옥, "OECD 영유아 교육․보육정책Ⅱ" 육아정책개발센터 2008
53 Roopnarine, J. L, "Approaches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Pearson Education 2005
54 보건복지부, "2008년 희망스타트 시범사업안내. 보건복지가족부 보도자료. 아동의 공평한 출발기회를 위한 통합복지 프로젝트 2008년 “드림스타트”로 새롭게 태어납니다"
55 김명순, "2007 구리시 위스타트 영․유아 보육 프로그램 최종 보고서" 위스타트 2007
56 김정원, "2006년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 지원사업 평가보고서" 한국교육개발 2007
57 이봉주, "2006 안산시 위스타트 초지마을 사업보고서 아이들이 행복한 도시 안산"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4 | 1.64 | 1.7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1 | 1.61 | 1.952 | 0.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