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흥미와 몰입을 가져오는 맥락적 내러티브에 기초한 심미적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유치원 현장에 적용한 후 그 내용과 의미를 탐색하여 봄으로써, 지나치게 인지적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26101
2012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49-84(36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흥미와 몰입을 가져오는 맥락적 내러티브에 기초한 심미적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유치원 현장에 적용한 후 그 내용과 의미를 탐색하여 봄으로써, 지나치게 인지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흥미와 몰입을 가져오는 맥락적 내러티브에 기초한 심미적 수업을 설계하고 이를 유치원 현장에 적용한 후 그 내용과 의미를 탐색하여 봄으로써, 지나치게 인지적 합리적 가치에 치우친 유아교육과정에 심미적이며 존재론적인 가치를 부각하여 교육과정의 불균형을 개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써 약 6개월의 연구기간을 통하여 수집된 참여관찰 및 질적 자료들을 분석의 근거로 삼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탐색된 의미는 5가지로서 수업의 내적 동기와 흥미를 주는 내러티브, 심미적 언어와 상상력이 넘치는 수업,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역동적인 수업, 심미적 학습경험 그리고 놀이보다 더 재미있는 수업 등이다. 본 연구의 내용과 의미는 지식 개념화되어가는 유아교육과정에 주의를 환기하고 유아교육과정의 심미화에 많은 시사점을 제공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esthetic instruction based on contextual narrative geared toward boosting the interest and flow of preschoolers,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is instruction after providing it at kindergarten. It’s b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ign aesthetic instruction based on contextual narrative geared toward boosting the interest and flow of preschoolers,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is instruction after providing it at kindergarten. It’s basically meant to raise awareness f the value of aesthetics in early childhood curriculums, which gave excessive weight to cognition and rationality, in an effort to redress the imbalance of the curriculums. A qualitative case study was implemented during an approximately six-month period of time, and the colle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qualitative data were analyzed. There were five meanings in the aesthetic instruction provided for preschoolers : intriguing narrative that provided inner motivation, instruction overflowing with aesthetic language and imagination, dynamic instruction generated by both the teacher and the preschoolers, aesthetic learning experience, and instruction that was more playful than play itself. This study basically sought after child-centered, play-centered and experience-centered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findings of the study had great implications for the aesthetics of early childhood curriculums that were still conceptual and teacher-l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경원, "흥미로운 유아의 상상력 세계" 敎文社 2004
2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3 임부연,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과정의 미학적 탐색: 해체를 넘어 생성을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07-230, 2005
4 박민정,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69-93, 2007
5 Seidman, I,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6 강현석, "지식구조론 이후 Bruner의 교육과정이론 탐구" 16 (16): 105-128, 1998
7 Bruner, J. S, "이야기 만들기" 교육과학사 2010
8 임부연, "유아놀이에서 나타나는 언어유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19-240, 2008
9 임부연, "유아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의미와 실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35-158, 2010
10 유아심미교육연구회, "유아교원을 위한 교원직무연수 -유아미학교육-" 아이코리아 2012
1 전경원, "흥미로운 유아의 상상력 세계" 敎文社 2004
2 강현석, "합리주의적 교육과정 체제에서 배제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가능성과교과목 개발의 방향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83-115, 2005
3 임부연, "포스트모던 유아교육과정의 미학적 탐색: 해체를 넘어 생성을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207-230, 2005
4 박민정, "통합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세 초등교사의 이야기"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69-93, 2007
5 Seidman, I,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학지사 2009
6 강현석, "지식구조론 이후 Bruner의 교육과정이론 탐구" 16 (16): 105-128, 1998
7 Bruner, J. S, "이야기 만들기" 교육과학사 2010
8 임부연, "유아놀이에서 나타나는 언어유희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3 (13): 219-240, 2008
9 임부연, "유아교육에서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의미와 실제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135-158, 2010
10 유아심미교육연구회, "유아교원을 위한 교원직무연수 -유아미학교육-" 아이코리아 2012
11 유용신, "유아교실에서 이야기나누기 시간의 심미적 접근"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임부연, "유아교실에서 교수자료의 의미와 활용에 관한 교사의 인식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03-226, 2010
13 김성숙, "유아교사의 발화에 나타난 상상과 은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8
14 권윤지, "유아 미술교육에서의 물감활동 실태 및 교사의 인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5 이윤좌, "유아 동시 활동의 특징과 시적 표현의 의미 연구 : K유치원 열매반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16 Paley, V. G, "윌리의 이야기" 학지사 2002
17 구순란, "우리나라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사의 발문분석"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8 김향미, "예술을 통한 교육" 학지사 2007
19 이선미, "영상 매체를 활용한 시 교수-학습 방안 연구" 17 : 75-89, 2007
20 서민경, "역사수업에서의 내러티브의 활용과 학습방안"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21 Dewey, J, "아동과 교육과정 / 경험과 교육" 문음사 2010
22 Steiner, R, "수업방법론과 교수법" 물병자리 2005
23 양은주, "수업미적 경험과 초등교육: 듀이 예술철학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교육학회 17 (17): 109-126, 2004
24 임부연, "비구조적인 자유놀이 시간에 유아들이 보여주는‘진짜 재미있는 놀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85-209, 2008
25 성은영, "반성적 사고 중심의 발문 개선교육 과정에 나타난 교사의 발문 변화"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6
26 이은주, "몰입과 학습동기 및 인지전략과의 관계" 15 (15): 199-216, 2001
27 안인희, "루소의 교육론 : 에밀" 양서원 1990
28 Chukovsky, K, "두 살에서 다섯 살까지" 양철북 2006
29 이은교, "내러티브를 활용한 통합적 유아 조형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30 안정애, "내러티브를 활용한 역사 수업 방안" 9 : 89-122, 2003
31 박민정, "내러티브 교육과정의 이론과 실제" 학이당 2007
32 Nyberg, D, "교육의 잠식" 양서원 1996
33 한명희, "교육의 미적 탐구" 집문당 2002
34 WhiteHead, A. N, "교육의 목적" 처음 2009
35 Debess, M, "교육의 단계" 배영사 1994
36 박승배, "교육비평-엘리어트 아이즈너의 질적연구방법론-" 교육과학사 2006
37 유혜령, "교수매체 환경과 유아의 경험양식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18 (18): 131-152, 1998
38 Macdonald, J. B, "The Person in the Curriculum, In Precedents and Promise in the Curriculum Field" Teachers College Press 38-52, 1966
39 Eisner, E. W, "The Educational Imagination, In On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School Programs" Macmilan 1979
40 Egan, K., "Teaching as story telling"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6
41 양혜련, "Schiller와 Dewey 미학이론의 유아교육적 함의"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327-347, 2011
42 임부연, "Schiller와 Dewey 미학이론에 기초한 유아교육의 이념과 실천의 의미" 한국비교교육학회 19 (19): 149-173, 2009
43 나정, "OECD 유아교육과정 유형에 비추어본 우리나라 유치원교육과정의 특성" 교육연구소 10 (10): 169-193, 2009
44 Bruner, J. S, "Narrative and Paradigmatic Models of Thought, In Learning and Teaching the Ways of Knowing" NSSE. Chicago: Univ. of Chicago Press 1985
45 나성식, "John Dewey의 교육적 경험론에 나타난 통합적 유아교육과정의 의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0 (10): 413-442, 2005
46 Egan, K, "Imagination in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middle school year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47 Egan, K, "Imagination and education" Teachers College Press 1988
48 Doll, R. C, "Curriculum Improvement,: Decision making and process" Allyn and Bacon Inc 1986
49 Werner, H, "Comparative psychology of mental development" Science Edition 1948
50 Merriam, S. B, "Case Study Research in Education: A qualitative approach" Jossy-Bass Publishers 1988
51 강현석, "Bruner의 교육과정 이론에서 지식의 재해석 : 지식의 구조와 내러티브의 관계" 한국교육철학회 (38) : 1-34, 2009
52 Dewey, J, "Art as experience" Perigee Books 1934
53 Greene, M, "Aesthetic Literacy in General Education, In Philosophy and Education" Univ. of Chicago Press 121-141, 1981
54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2012
가정통신망을 활용한 놀이프로그램이 유아가 지각하는 부모-자녀관계에 미치는 영향
교사들이 인식한 유치원 R-러닝 수업활동의 가능성과 한계
'무지개 물고기' 시리즈에 나타난 상호적 친구관계 형성에서의 유아 교육적 함의 고찰
사진을 활용한 환경교육활동이 유아의 환경 친화적 태도 및 환경 보전 지식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4-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 | 1.6 | 1.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1.85 | 2.25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