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기관 내 세대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관계지향문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Effects of Generation Conflict in Public Institutions on Job Burnout : Mediating effect of Job Stress & Moderating effect of Clan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73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generational conflict within public organizations on job burnout.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whether job stres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conflict and job burnout and whether clan culture had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ll measurement variable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 organi- zations, generational conflict, job burnout, job stress, and the concept and relationship of clan culture. Further- mor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by collecting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600 workers in 42 public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generation conflict, including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burn- out of workers in public institutions. Second, job stress of workers in public institution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burnout and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burnout. Third, the clan culture of public institution workers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 tional conflict and job burnout bu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conflict and job stres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generational conflict positively affected job burnout and stress, showing that job stress could be alleviated through the regulation of clan culture, which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conflict and job stress. Furthermore, job burnout could be indirectly al- leviated by lowering job stress which had a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rough the support of a system that manages the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of individual workers such as conflict, stress, and burnout in the organiz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a communicative and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ill prevent the loss of hu- man resources due to generational conflict, job stress, and job burnout.
      번역하기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generational conflict within public organizations on job burnout.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whether job stres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conflict and job burnout and wheth...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generational conflict within public organizations on job burnout. In addition, this study verified whether job stres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conflict and job burnout and whether clan culture had a moderating effect. Based o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ll measurement variable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institution organi- zations, generational conflict, job burnout, job stress, and the concept and relationship of clan culture. Further- more, this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by collecting data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600 workers in 42 public institutions. The results of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generation conflict, including task conflict and relationship conflic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job burn- out of workers in public institutions. Second, job stress of workers in public institutions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ask conflict and burnout and between relationship conflict and burnout. Third, the clan culture of public institution workers did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 tional conflict and job burnout but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conflict and job stres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generational conflict positively affected job burnout and stress, showing that job stress could be alleviated through the regulation of clan culture, which had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tional conflict and job stress. Furthermore, job burnout could be indirectly al- leviated by lowering job stress which had a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the improvement of the working environment through the support of a system that manages the negative psychological state of individual workers such as conflict, stress, and burnout in the organization and the introduction of a communicative and relationship-oriented organizational culture will prevent the loss of hu- man resources due to generational conflict, job stress, and job burnout.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세대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가 세대갈등과 직무소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발휘하는지, 관계지향문화가 조절효과를 발휘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공공기관 조직의 특성과 세대갈등, 직무소진, 직무스트레스, 관계지향문화에 대한 개념과 변수 간 영향관계 등 모든 측정변수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증연구를 위해서 총 42개 공공기관의 근로자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 번째, 세대갈등 유형인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높아질수록 직무소진도 높아졌다. 두 번째, 직무스트레스가과업갈등과 직무소진, 관계갈등과 직무소진 간의 영향관계를 매개하였다. 세 번째, 관계지향문화가 세대갈등과직무소진 간의 영향관계를 조절하지 않았지만, 세대갈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영향관계를 조절하였다.
      결론을 보면 세대갈등이 직무소진 및 직무스트레스를 높였다. 그리고 관계지향문화를 통해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직무스트레스는 낮출 수 있었는데, 이는 매개변수인 직무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간접적으로 직무소진도 낮출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조직적인 측면에서 갈등, 스트레스, 소진과 같은 근로자 개인의 부정적 심리상태를 관리해주는 제도를 지원해주며 소통적이고 관계지향의 조직문화로 변화하는 등 근무환경을 개선하면근로자의 세대갈등으로 인한 인적자원 손실을 막아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세대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가 세대갈등과 직무소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발휘하...

      본 연구에서는 공공기관의 조직 내에서 발생하는 세대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직무스트레스가 세대갈등과 직무소진의 영향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발휘하는지, 관계지향문화가 조절효과를 발휘하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에서 공공기관 조직의 특성과 세대갈등, 직무소진, 직무스트레스, 관계지향문화에 대한 개념과 변수 간 영향관계 등 모든 측정변수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실증연구를 위해서 총 42개 공공기관의 근로자 6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같다.
      첫 번째, 세대갈등 유형인 과업갈등과 관계갈등이 높아질수록 직무소진도 높아졌다. 두 번째, 직무스트레스가과업갈등과 직무소진, 관계갈등과 직무소진 간의 영향관계를 매개하였다. 세 번째, 관계지향문화가 세대갈등과직무소진 간의 영향관계를 조절하지 않았지만, 세대갈등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영향관계를 조절하였다.
      결론을 보면 세대갈등이 직무소진 및 직무스트레스를 높였다. 그리고 관계지향문화를 통해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직무스트레스는 낮출 수 있었는데, 이는 매개변수인 직무스트레스를 낮춤으로써 간접적으로 직무소진도 낮출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그러므로 조직적인 측면에서 갈등, 스트레스, 소진과 같은 근로자 개인의 부정적 심리상태를 관리해주는 제도를 지원해주며 소통적이고 관계지향의 조직문화로 변화하는 등 근무환경을 개선하면근로자의 세대갈등으로 인한 인적자원 손실을 막아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광택, "勞動法의 課題: 佳山金致善博士 古稀記念" 김치선박사 고희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4

      2 양종곤, "직장갑질로 극단적 선택 절반 공공기관" 서울경제 2021

      3 대한상공회의소, "직장 내 세대갈등과 기업문화 종합진단 보고서"

      4 최예린, "직장 갑질이 세대 차이 탓이라는 대전시"

      5 황문영 ; 김병직, "직무과부하가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갈등의 매개효과와 잡크래프팅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12 (12): 301-319, 2021

      6 강석민, "중소기업들의 통제메커니즘, 관계학습, 관계의 질의 관계에 대한 분석" 사회혁신기업연구원 6 (6): 31-44, 2021

      7 박세웅 ; 한형서 ; 김태우, "조직문화유형이 교직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리더십유형과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 충청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10 (10): 61-80, 2019

      8 송승섭, "정신적 스트레스도 산재" 아시아경제 2022

      9 임창희, "인적자원관리" 비앤엠북스 2013

      10 미래문화제도정책연구원, "우리나라의 공공기관"

      1 이광택, "勞動法의 課題: 佳山金致善博士 古稀記念" 김치선박사 고희기념논문집 간행위원회 1994

      2 양종곤, "직장갑질로 극단적 선택 절반 공공기관" 서울경제 2021

      3 대한상공회의소, "직장 내 세대갈등과 기업문화 종합진단 보고서"

      4 최예린, "직장 갑질이 세대 차이 탓이라는 대전시"

      5 황문영 ; 김병직, "직무과부하가 번아웃에 미치는 영향 : 일-가정갈등의 매개효과와 잡크래프팅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12 (12): 301-319, 2021

      6 강석민, "중소기업들의 통제메커니즘, 관계학습, 관계의 질의 관계에 대한 분석" 사회혁신기업연구원 6 (6): 31-44, 2021

      7 박세웅 ; 한형서 ; 김태우, "조직문화유형이 교직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리더십유형과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 충청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KNU 기업경영연구소 10 (10): 61-80, 2019

      8 송승섭, "정신적 스트레스도 산재" 아시아경제 2022

      9 임창희, "인적자원관리" 비앤엠북스 2013

      10 미래문화제도정책연구원, "우리나라의 공공기관"

      11 신건호, "신노사관계론 : 개별적 근로관계와 집단적 노사관계의 통합" 박영사 2004

      12 이동한, "세대 갈등 인식과 전망"

      13 Jason, A. C., "성과향상을 위한 조직행동론(Organizational Behavior)" 한경사 2015

      14 고재연, "산업화세대→베이비부머→X세대→밀레니얼세대→Z세대"

      15 김유경, "사회복지사의 세대갈등이 소진(burnout)에 미치는 영향 : 조직문화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21

      16 김용하 ; 임성은, "베이비붐 세대의 규모, 노동시장 충격, 세대간 이전에 대한 고찰" 한국보건사회연구원 31 (31): 36-59, 2011

      17 신정재, "리더의 감성역량과 구성원의 직무소진 관계에서 구성원 갈등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한국경제연구원, "대학생 10명 중 6~7명(65.3%) 사실상 구직 단념"

      19 임성호, "대기업도 공직도 미련 없이 떠나는 2030"

      20 채지연, "대기업 사무직 밀레니얼세대와 기성세대 간 일의 의미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계"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2019

      21 양대현, "대기업 사무직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직무소진, 이직의도, 자기효능감 및 사회적 지지의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22 김란 ; 박계홍, "긍정심리자본과 혁신행동 및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 K기업경영연구원 6 (6): 39-61, 2022

      23 행정안전부, "공직사회 조직문화 혁신 본격적으로 가동"

      24 김영곤, "공공조직 내 세대 간 갈등 유발요인 분석 : 소방조직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6

      25 정재하, "공공부문의 범위와 고용변화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5

      26 이종욱, "공공기관의 현재와 미래: 혁신 그리고 포용성장" 레인보우북스 2019

      27 박새롬, "공공기관서 부하직원에 커피심부름, 폭언"

      28 인사혁신처, "공공기관도 공직문화 혁신 동참"

      29 박재춘, "고용노사관계론" 한경사 2022

      30 이상욱, "감정노동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KEPCO 콜센터 상담원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8

      31 전국경제인연합회, "갈등지수 OECD 글로벌 비교"

      32 최종태, "現代勞使關係論 : Modern Labor Relations" 경문사 2003

      33 Eisenberger, R., "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discretionary treatment and job satisfaction" 82 (82): 812-820, 1997

      34 Ivancevich, J. M., "ccupational stress, Type A behavior, and physical well bein" 25 (25): 373-391, 1982

      35 Harrison, R., "Understanding your Organization’s Character" 50 : 119-128, 1972

      36 Mannheim, K., "The problem of generations" Guilford Publications Inc 57 (57): 378-405, 1970

      37 Demerouti, E., "The job demands-resources model of burnout" 86 (86): 499-512, 2001

      38 Freudenberger, H. J., "Staffburnout" 30 (30): 159-165, 1974

      39 Rizzo, J. R.,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15 : 150-163, 1970

      40 Beaumont, P. B., "Public sector industrial relations" Routledge 1992

      41 Smith, H. H., "People like us: The influence of personal deprivation and group membership salience on justice evaluations" 30 : 7-299, 1994

      42 Kahn, R. L., "Organizati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John Wiley 1964

      43 Pettigrew, A. M., "On studying organizational cultures" 24 (24): 570-581, 1979

      44 Quinn, R. E., "Managing Organizational Transitions" 295-313, 1984

      45 송한나, "MZ세대를 통해 바라본 한국 사회의 세대 구분"

      46 Maslach, C., "MBI: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research edi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1986

      47 Jayaratne, S.,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A national survey" 29 (29): 448-453, 1984

      48 LePine, J. A., "Exploring the work and non-work interface" Emerald Group Publishing Limited 2007

      49 Duffy, B., "Culture wars around the world: how countries perceive divisions" The Policy Institute, King’s College London 2021

      50 Pines, A. M., "Burnout: From Tedium to Personal Growth" Free 1981

      51 Leiter, M. P., "Banishing burnout: Six strategies for improving your relationship with work" Jossey-Bass 2005

      52 Guetzkow, H., "An analysis of conflict in decision-making groups" 7 (7): 367-382, 1954

      53 Jehn, K. A., "A multi method examination of the benefits and detriments of intragroup conflict" 40 (40): 256-282,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