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전통 조각보와 한글을 모티브로 한 티셔츠 텍스타일 디자인 개발 = Development of T-shirt Textile Design by motifs of traditional Jogakbo and Hange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11046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shirts are popular fashion items for all ages and seasons as jeans and street style. T-shirts are also used not only as a simple garment, but also for promotion, unity and homogeneity among members, it is also used for 'persuasive' roles in which an individual or group's claims are understood externally.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Korean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xtile design using the motif of Jogakbo and Hunminjeongeum, and to develop a T-shirt design. Research methods consist of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 development. After developing a textile design using an illustration (Adobe Illustrator CS 6.0) program and an Adobe Photoshop (Adobe Photoshop CS 6.0) program, based on the images of Hangeul and Jogakbo, the design of T-shirts was presented using a Photoshop program for simulation mapp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Design 1 was designed by placing a textile design using rectangular type Jogakbo image and four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not currently in use at the bottom and sleeves of the T-shirt. Design 2 was designed the T-shirts of cute images by using the triangle-type Jogakbo image and ㅇ, ㅎ which is curved Hangul characters. Design 3 was designed T-shirts by placing a textile design using radial type Jogakbo image and the principle of adding strokes to a character of Hunminjeongeum. Design 4 was designed T-shirts by placing a textile design using the cintamani type Jogakbo image and bagic vowels at the time of the invention of Hunminjeongeum. Design 5 was designed T-shirts by placing a textile design using free type Jogakbo image and the basic consonants which are shaped of the vocal organs. Colors are used by extracting colors from traditional Jogakbo using illustration (Adobe Illustrator CS 6.0) programs. It is thought that a design using the images of Jogakbo and Hangul i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images because of the harmony between the formative beauty of Hangeul and the beauty of color scheme of Jogakbo. I hope that diverse attempts will be made to find beautiful expressions and use them in the design, in addition to the design development of Hangeul, and to inherit the creativity and design philosophy of Hunminjeongeum.
      번역하기

      T-shirts are popular fashion items for all ages and seasons as jeans and street style. T-shirts are also used not only as a simple garment, but also for promotion, unity and homogeneity among members, it is also used for 'persuasive' roles in which an...

      T-shirts are popular fashion items for all ages and seasons as jeans and street style. T-shirts are also used not only as a simple garment, but also for promotion, unity and homogeneity among members, it is also used for 'persuasive' roles in which an individual or group's claims are understood externally. For the design development of Korean imag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xtile design using the motif of Jogakbo and Hunminjeongeum, and to develop a T-shirt design. Research methods consist of literature research and design development. After developing a textile design using an illustration (Adobe Illustrator CS 6.0) program and an Adobe Photoshop (Adobe Photoshop CS 6.0) program, based on the images of Hangeul and Jogakbo, the design of T-shirts was presented using a Photoshop program for simulation mapping.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Design 1 was designed by placing a textile design using rectangular type Jogakbo image and four consonants and vowels that are not currently in use at the bottom and sleeves of the T-shirt. Design 2 was designed the T-shirts of cute images by using the triangle-type Jogakbo image and ㅇ, ㅎ which is curved Hangul characters. Design 3 was designed T-shirts by placing a textile design using radial type Jogakbo image and the principle of adding strokes to a character of Hunminjeongeum. Design 4 was designed T-shirts by placing a textile design using the cintamani type Jogakbo image and bagic vowels at the time of the invention of Hunminjeongeum. Design 5 was designed T-shirts by placing a textile design using free type Jogakbo image and the basic consonants which are shaped of the vocal organs. Colors are used by extracting colors from traditional Jogakbo using illustration (Adobe Illustrator CS 6.0) programs. It is thought that a design using the images of Jogakbo and Hangul is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images because of the harmony between the formative beauty of Hangeul and the beauty of color scheme of Jogakbo. I hope that diverse attempts will be made to find beautiful expressions and use them in the design, in addition to the design development of Hangeul, and to inherit the creativity and design philosophy of Hunminjeonge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티셔츠는 청바지와 스트리트 스타일로서 모든 연령과 계절에 걸쳐 인기 있는 패션 아이템이다. 티셔츠는 단순한 의복뿐만 아니라 회원들 간의 홍보, 단결, 동질성에도 사용되며, 개인이나 집단의 주장이 외부적으로 이해되는 '관용적' 역할에도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이미지의 디자인 개발을 위해 조각보와 훈민정음을 모티브로 한 섬유디자인을 개발하고, 티셔츠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디자인 개발로 이루어진다. 일러스트(Adobe Illustrator CS 6.0) 프로그램과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 CS 6.0) 프로그램을 이용한 섬유 디자인을 개발한 후, 시뮬레이션 맵핑을 위한 포토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티셔츠 디자인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디자인 1은 티셔츠의 밑단과 소매에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는 네 개의 자음과 모음과 직사각형 형태의 조각보 이미지를 사용한 직물 디자인을 배치해 디자인하였다. 디자인2는 삼각형 조각보 이미지와 곡선 한글 문자인 ㅇ를 활용해 귀여운 이미지의 티셔츠를 디자인하였다. 디자인 3은 방사형 조각보 이미지와 훈민정음 문자에 스트로크를 추가하는 원리를 이용해 직물 디자인을 배치해 티셔츠를 디자인하였다. 디자인4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신타마니형 조각보 이미지와 가곡모음을 사용한 직물 디자인을 배치해 티셔츠를 디자인히였다. 디자인5는 자유형 조각보 이미지와 성기 모양을 한 기본 자음을 사용한 직물 디자인을 배치해 티셔츠를 디자인히였다. 색상은 일러스트레이션(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CS 6.0) 프로그램을 이용해 전통적인 조각보에서 색상을 추출하여 사용한다. 한글의 조형미와 조각보의 색채의 아름다움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조각보와 한글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이 한국 이미지 개발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한글의 디자인 발전 외에도 아름다운 표현을 찾아 디자인에 활용하고, 훈민정음의 창의성과 디자인 철학을 계승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번역하기

      티셔츠는 청바지와 스트리트 스타일로서 모든 연령과 계절에 걸쳐 인기 있는 패션 아이템이다. 티셔츠는 단순한 의복뿐만 아니라 회원들 간의 홍보, 단결, 동질성에도 사용되며, 개인이나 ...

      티셔츠는 청바지와 스트리트 스타일로서 모든 연령과 계절에 걸쳐 인기 있는 패션 아이템이다. 티셔츠는 단순한 의복뿐만 아니라 회원들 간의 홍보, 단결, 동질성에도 사용되며, 개인이나 집단의 주장이 외부적으로 이해되는 '관용적' 역할에도 사용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이미지의 디자인 개발을 위해 조각보와 훈민정음을 모티브로 한 섬유디자인을 개발하고, 티셔츠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 연구와 디자인 개발로 이루어진다. 일러스트(Adobe Illustrator CS 6.0) 프로그램과 어도비 포토샵(Adobe Photoshop CS 6.0) 프로그램을 이용한 섬유 디자인을 개발한 후, 시뮬레이션 맵핑을 위한 포토샵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티셔츠 디자인을 제시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디자인 1은 티셔츠의 밑단과 소매에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는 네 개의 자음과 모음과 직사각형 형태의 조각보 이미지를 사용한 직물 디자인을 배치해 디자인하였다. 디자인2는 삼각형 조각보 이미지와 곡선 한글 문자인 ㅇ를 활용해 귀여운 이미지의 티셔츠를 디자인하였다. 디자인 3은 방사형 조각보 이미지와 훈민정음 문자에 스트로크를 추가하는 원리를 이용해 직물 디자인을 배치해 티셔츠를 디자인하였다. 디자인4는 훈민정음 창제 당시 신타마니형 조각보 이미지와 가곡모음을 사용한 직물 디자인을 배치해 티셔츠를 디자인히였다. 디자인5는 자유형 조각보 이미지와 성기 모양을 한 기본 자음을 사용한 직물 디자인을 배치해 티셔츠를 디자인히였다. 색상은 일러스트레이션(어도비 일러스트레이터 CS 6.0) 프로그램을 이용해 전통적인 조각보에서 색상을 추출하여 사용한다. 한글의 조형미와 조각보의 색채의 아름다움이 조화를 이루고 있어 조각보와 한글의 이미지를 활용한 디자인이 한국 이미지 개발에 적합하다고 생각된다. 한글의 디자인 발전 외에도 아름다운 표현을 찾아 디자인에 활용하고, 훈민정음의 창의성과 디자인 철학을 계승하는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진, "훈민정음 한글본 타이포그래피를 응용한 현대 의상디자인 연구 : 믹스드미디어(mixed-media)를 활용한 DTP소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2 오혜선, "훈민정음 타이포그래피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슬래쉬퀼트(Slash Quilt)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3 오수형, "한글의 조형성을 활용한 패턴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이경민, "한글의 조형미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경민, "한글의 조형미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6 반재원,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도서출판한배달 21-, 1998

      7 한재준, "한글의 디자인 철학과 원리" 14 (14): 242-, 2001

      8 이봉식, "한글의 공간적 조형성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0

      9 홍유리, "한글을 활용한 도시 브랜드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0 홍유리, "한글을 활용한 도시 브랜드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 이연진, "훈민정음 한글본 타이포그래피를 응용한 현대 의상디자인 연구 : 믹스드미디어(mixed-media)를 활용한 DTP소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8

      2 오혜선, "훈민정음 타이포그래피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 슬래쉬퀼트(Slash Quilt) 기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5

      3 오수형, "한글의 조형성을 활용한 패턴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 이경민, "한글의 조형미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5 이경민, "한글의 조형미를 응용한 패션디자인 개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7

      6 반재원, "한글의 세계화 이대로 좋은가" 도서출판한배달 21-, 1998

      7 한재준, "한글의 디자인 철학과 원리" 14 (14): 242-, 2001

      8 이봉식, "한글의 공간적 조형성에 관한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10

      9 홍유리, "한글을 활용한 도시 브랜드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0 홍유리, "한글을 활용한 도시 브랜드화 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4

      11 안상수, "한글디자인" 안그라픽스 28-, 1999

      12 "한글 벨트"

      13 "한글 넥타이"

      14 이세희, "한국전통 조각보를 응용한 침구디자인 연구 : 색채 이미지 표현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2003

      15 문윤경, "한국전통 魚紋樣을 응용한 티셔츠디자인 -CAD프로그램 프리마비전을 활용하여-" 한복문화학회 13 (13): 23-35, 2010

      16 김동소, "한국어 변천사" 형설출판사 1998

      17 李천천, "한국 전통 조각보를 응용한 의상 디자인 개발"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1

      18 이연순, "한국 전통 조각보 소재에 따른 배색 연구"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1 (11): 23-32, 2009

      19 최정화, "티셔츠 디자인의 미적 특성" 한국의류산업학회 9 (9): 363-372, 2007

      20 오석란, "조각보와 한글을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연구-침장 작품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21 양숙향, "조각보와 매듭을 활용한 전통 배자 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 16 (16): 189-203, 2014

      22 조유정, "조각보를 응용한 두루마기형 의상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1

      23 김희정, "조각보 기법을 이용한 아동복 디자인 연구" 淑明女子大學校 디자인大學院 1999

      24 정용순, "전통조각보를 응용한 문화상품 디자인 개발 - 스카프, 넥타이디자인 -"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19 (19): 9-28, 2016

      25 최이란, "전통문화를 접목한 모듈형 주얼리 디자인 개발 - 훈민정음과 전통매듭을 중심으로 -"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6 : 433-445, 2016

      26 조해정, "전통 조각보를응용한 현대 의상 디자인 연구" 34 : 7-18, 2000

      27 최승연, "전통 조각보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44 (44): 91-100, 2006

      28 장민정, "전통 조각보를 응용한 패션문화상품 개발 Ⅰ - 앞치마를 중심으로 -" 한복문화학회 13 (13): 169-181, 2010

      29 이숙현, "전통 조각보를 응용한 의상디자인 작품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2014

      30 양지나, "전통 조각보 기법에 나타난 조형성 및 여성복 디자인 개발을 위한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22) : 239-263, 2013

      31 최유정, "장식봉제기법을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 한국 전통조각보의 패턴을 응용하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2012

      32 허동화, "이렇게 예쁜 보자기" 현암사 24-, 2004

      33 허동화, "우리가 정말 알아야 할 우리규방문화" 현암사 289-, 199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CI등재후보
      2019-04-25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society for culture of HAN-BOK ->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4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 0.67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