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박용철 문학의 댄디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박용철은 미적 자율성 옹호로 순수시론 계보의 서두를 장식했으며, 문화 영역 전반을 아우르는 왕성한 활동력으로 193...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913274
서울 :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학위논문(석사) -- 경희대학교 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현대문학전공 , 2021. 8
2021
한국어
81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Dandyism in Park Yong-Chul’s Literature
iii, 92 p. ; 26 cm
경희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 박주택
참고문헌: p. 84-89
I804:11006-20000050318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박용철 문학의 댄디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박용철은 미적 자율성 옹호로 순수시론 계보의 서두를 장식했으며, 문화 영역 전반을 아우르는 왕성한 활동력으로 193...
본 연구는 박용철 문학의 댄디즘 양상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박용철은 미적 자율성 옹호로 순수시론 계보의 서두를 장식했으며, 문화 영역 전반을 아우르는 왕성한 활동력으로 1930년대 시단에 상당 부분 기여한 바 있다. 그러나 그동안 그에 관한 평가는 다분야로 향한 활동에 관해 하나의 분야에 집중하지 못한 집중도 결여의 문제로 인식하거나, 서구 문예사조의 낭만주의적 특징을 보인다는 이유로 지나치게 감상적이거나 비현실적인 것으로 간주하여 보다 명징한 의미로의 접근을 가로막아 온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박용철의 의식 구조 전반에 근대화의 과도기적 징후에 자신만의 독자적인 문학관으로 문화적 전복을 일으키고자 했던 댄디즘이 내재하고 있었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 분석으로 기존의 제한된 시각을 해제하고 새로운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박용철은 발표작 중 절반을 넘기는 시가 활동 초기에 한정되어 있으며, 점차 평론 활동에 중점을 기울이기 시작하여 자신만의 순수시론을 완성하기에 이른다. 문제는 시론이 보여준 완성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창작시를 원인으로 비판적 목소리가 제기되고 있다는 것이다. 즉, 문인이라는 포괄적 명명으로 접근했을 때 박용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당시 문단 내에서 주요 역할을 수행한 인물로 해석할 수 있지만, 시인이라는 한정된 명명 아래에서는 시론의 실천 여부로 인해 비판적 목소리가 제기될 수밖에 없는 셈이다. 그러나 시인으로의 활동보다 이론가로서의 활동에 중점을 기울일 수밖에 없었던 원인을 명확히 규명할 수 있다면, 그에 따른 평가 역시 그 방향을 달리할 것이다.
다음으로는 순수문학 혹은 낭만주의적 세계관에 관한 문제다. 그것은 시에 제기되는 비판의 근거가 될 뿐만 아니라 비교적 높은 완성도를 보인다고 평가받는 시론마저 현실인식의 부재를 원인으로 한계적 지점을 노출하게 만든다. 그러나 다수의 연구자에 의해 1920년대와 1930년대의 낭만성 사이에는 명확한 변별점이 존재한다는 사실이 지적되어왔음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왜곡된 이해를 기준으로 현실도피적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만 간주하는 태도는 본래의 문학적 가치 훼손 문제를 발생시킬 뿐이다. 일반적으로 낭만주의가 예술이 개별적 영역으로 존재할 수 있는 상태를 지시한다면, 그 기본 전제인 미적 자율성의 성격 규정에 따라 출현 양상 또한 달라짐을 의미한다. 주목할 것은 미적 자율성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관한 문제이다. 또한, 이때의 미적 자율성은 미적 주체가 향하는 방향성 모두를 포함하므로, 오직 예술만을 옹호하기 위한 논리적 순수성 순수성을 지닐 수도 있다. 그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비정치적이고 비현상학적이지만 미적 주체가 자신의 삶과 예술로의 동일성을 추구하는 것으로, 문화적 전복을 도모하고자 했던 댄디즘을 통해 박용철 문학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댄디즘에 대해 간략하게 언급하면, ‘무의식적으로 귀족계급을 따라 하는 일반 대중에 반(反)하여 발생한 정신적 귀족주의’로, 철저한 자기 통제를 통해 스스로 예술작품이 되고자 하는 미학적 주체의 태도를 의미한다. 주로 시대적 흐름이 가져온 과도기적 징후 속에서 출현하며, 반대와 저항이라는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오직 자아 숭배에만 그 목적을 둔다. 발생 배경부터 그러하지만, 그들은 모순적일 수밖에 없었는데, 이에 사회로부터 멀어져 정신적 귀족주의를 공고히 만든 이후 재진입하는 역설적 제스처를 취하기도 한다. 이처럼 모순적인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존재 자체가 과도기적 징후 자체를 표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본 연구의 체계는 다음과 같다. Ⅱ장에서는 창작시의 재검토를 통해 댄디즘으로의 가능성에 접근한다. 먼저, 1절에서는 자신이 주관하던 문예지를 통해 발표한 시편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도한다. 이 과정에서 동일한 매체 내에서 활동명을 다르게 두었다는 돌출된 특징에 주목하여 문인으로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이 존재했음을 유추하고, 이를 은폐하기 위하여 댄디즘의 미학적 행위의 이중구조가 시도되었음을 증명한다. 뒤이어 2절에서는 동일한 문학적 지향점을 공유하고 있는 타 매체 발표작을 대상으로 미적 자율성의 원리에 따르는 시의 점진적 발전 양상을 해석한다. 마지막으로 3절에서는 이후의 발표작을 대상으로 시인의 충격체험이 내면화 과정을 거쳐 작품의 질서를 따라 안정적으로 형상화될 수 있었음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Ⅲ장에서는 평론 활동을 위주로 댄디즘의 실천 양상을 분석한다. 먼저, 1절에서는 미적 근대성을 자각할 수 있었던 방식을 우선적으로 검토한 이후 그것이 문화적 전복을 일으킬 수 있는 독자적인 것이었는지에 대하여 분석한다. 다음으로 2절에서는 대중 매체를 활용한 연평 활동으로 자신의 영향력을 드러낸 방식에 대하여 구체적인 분석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3절에서는 시론을 분석하여 그동안 단편적으로 제시된 박용철의 댄디즘이 지니는 의미를 규명하고, 그것이 문학사적 의미망과 어떻게 연결되어 순수시론의 서두를 장식할 수 있었는가를 분석한다.
끝으로 Ⅳ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그동안 평가 절하된 박용철을 근대시사의 창조적 주체로 호명하여 새로운 의미지평을 마련토록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pects of dandyism in Park Yong Chul’s literature. Park Yong Chul marked the beginning of the tradition of pure poetry theory through advocating aesthetic autonomy an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spects of dandyism in Park Yong Chul’s literature. Park Yong Chul marked the beginning of the tradition of pure poetry theory through advocating aesthetic autonomy and made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the field of poetry in the 1930s with his vigorous activities encompassing the entire cultural scene. However, it is true that evaluations concerning Park Yong Chul pointed his multi-disciplined activities as a problem of lack of concentration, not being able to focus on one field, or blocked access to clearer meaning by considering Park’s work as overly sentimental or unrealistic because of its romantic characteristics of a western literary trend.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s that dandyism that wanted to cause the cultural upheaval with his own unique literary perspective along with the transitional signs of modernization was inherent in Park Yong Chul’s overall structure of consciousness.
More than half of Park Yong Chul’s released poetry is limited to the early stages of his career, and he gradually focuses on his critique activities, leading to the completion of his own pure poetical theory.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criticisms about creative poetry that have lower quality compared to the quality of poetical theory. In other words, Park Yong Chul could be interpreted as a person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writing scene while performing actively in various fields when approached by the comprehensive name of a writer, but it is inevitable to receive criticism under the limited name of a poet because of the fact that he participated in creating the poetical theory. However, if this paper could clarify the reason why he had to focus on his work as a theorist rather than as a poet, evaluation of him will change its direction.
The next problem concerns the pure literature or his worldview of romanticism. This problem becomes the evidence of criticism over the poetry and reveals the point of the limit with the reason of lack of awareness of reality even while the poetical theory is evaluated to have highly precise. However, even though the fact that romanticism found in the poetical field of the 1920s and 30s have clear distinguishing points is numerously pointed out, escapist attitude based on existing distorted understandings only creates the problem of damaging the value of literature. Generally, if romanticism indicates the state that art can exist as individual domains, the emerging patterns could differentiate based on the characterization of aesthetic autonomy, which is its basic premise. We should focus on how we should interpret aesthetical autonomy. Also, since aesthetical autonomy in Park’s time incorporates all the directions that aesthetic subjects are heading to, it may possess the logical purity to defend only art. Based on such awarenes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Park Yong Chul’s literature based on dandyism, which aimed to plan the cultural upheaval by aesthetic subject seeking the uniformity between its life and art even though it is non-political and non-phenomenological.
To briefly mention dandyism, it is a spiritual aristocracy created from opposing the general public that subconsciously imitating the nobles. It refers to the attitude of aesthetic subjects intending to become art pieces themselves through rigorous self-regulation. It usually emerges from the sign of transition brought by the trend of the era, and has characteristics of opposition and resistance, but aims only at worshiping oneself. Following the background of their origins, they were inevitable to be contradictory, so they made paradoxical gestures of isolating themselves from society and re-entering after solidifying their spiritual aristocracy. Even though it is a contradictory concept, it is noteworthy that their existence itself symbolizes the signs of transition.
The structur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Ⅱ approaches the possibility of dandyism through reviewing the creative poetry. First, section 1 attempts to analyze the poetries presented in literary magazine conducted by him. Focusing on the protruding characteristic that he had different pseudonyms within the same media, this paper infers that Park Yong Chul had a concern about his identity as a writer and proves that he attempted the dual structure of aesthetic action of dandyism to conceal his concern. Subsequently, section 2 interprets the development of poetry according to the aesthetic autonomy based on works sharing the same literary orientation but published in other media. Lastly, section 3 examines how the poet’s traumatic experience could stably be shaped following the order of artwork through the internalization process.
Chapter 3 analyzes the aspects of practicing dandyism, focusing on critiquing activities. First of all, section 1 examines the methods of recognizing the aesthetic modernity in advance, and then analyzes if this method was independent that could motivate the cultural upheaval. Next, section 2 attempts the detailed analysis of the method in which Park revealed his influence through activity utilizing mass media. Lastly, section 3 clarifies the meaning of Park Yong Cheol’s dandyism, presented in fragments over time, through analyzing the theory of poetry and examines how it connects to the context of literary history and how it was able to mark the beginning of the pure poetical theory.
Lastly, in chapter IV, I will summarize the mentioned discourse and provide a new field of meaning by designating Park Yong Chul, who has been denigrated, as the creative subject of modern poetic history.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