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계승자, 백남룡,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02
						
					 
				
			
		
	
		
			
				
								
					
						
						
						2. “영원한품.”, 김하늘,   조선문학. 년 3호, , 2012
						
					 
				
			
		
	
		
			
				
								
					
						
						
						3. 후계자론, 김유민,   출판지 불명: 新文化社, , 1984
						
					 
				
			
		
	
		
			
				
								
					
						
						
						4. 북한의 선군외교, 서훈,   명인문화사, 서울: 명인문화사, , 2008
						
					 
				
			
		
	
		
			
				
								
					
						
						
						5. “광장의 교향곡.”, 최성진,   조선문학. 년 2호, , 1998
						
					 
				
			
		
	
		
			
				
								
					
						
						
						6. 수령형상문학, 윤기덕,   평양: 문예출판사, , 1991
						
					 
				
			
		
	
		
			
				
								
					
						
						
						7. 『김정일동지략전』, 조선로동당출판사 편집부,   조선로동당출판사,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 1999
						
					 
				
			
		
	
		
			
				
								
					
						
						
						8. 극장국가 북한, 정병호, 권헌익,   경기: 창비, , 2013
						
					 
				
			
		
	
		
			
				
								
					
						
							
																					
		                    			                    	
  							
  							
	  							
	  							
	  								9. 문화연구와 담론분석, 박해광,   한국문화사회학회, 문화와 사회. 2권, 년 4월, pp.83-116, , 2007	
	  							  							
  							 
						
						
					 
				
			
		
	
		
			
				
								
					
						
						
						10. (총서 불멸의 향도), 오성산,   평양: 문학예술출판사, , 2012
						
					 
				
			
		
	
		
			
				
								
					
						
						
						11. “北韓의 政治文化.”, 김영수,   한국정치학회보. 제26권 2호, , pp.139-157, , 1993
						
					 
				
			
		
	
		
			
				
								
					
						
						
						12. 『곁에서 본 김정일』, 정창현,   김영사, 서울:김영사, , 2000
						
					 
				
			
		
	
		
			
				
								
					
						
						
						13. 북한의 대중문화, 전영선,   서울: 글누림, , 2007
						
					 
				
			
		
	
		
			
				
								
					
						
						
						14. 북한의 후계자론, 이교덕,   서울: 통일연구원, , 2003
						
					 
				
			
		
	
		
			
				
								
					
						
						
						15. 불멸의 주체사상, 김창하,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1985
						
					 
				
			
		
	
		
			
				
								
					
						
						
						16. 세계 선전선동사, 목철수, 유일상,   서울: 이웃, , 1989
						
					 
				
			
		
	
		
			
				
								
					
						
						
						17. “김일성 동지 탄생 100돐이 되는 해에는 기어이 강성대국의 대문을 열어야 하며 주체혁명위업의 종국적 승리를 위한 투쟁에서 위대한 수령님의 전사, 제자로서의 본분을 다해나가야 합니다: 전국 지식인대회 보고.”, 최태복,   로동신문. 년 12월 1일, , 2007
						
					 
				
			
		
	
		
			
				
								
					
						
						
						18. 김정일 리더십 연구, 정영철,   서울: 선인, , 2005
						
					 
				
			
		
	
		
			
				
								
					
						
							
																					
		                    			                    	
  							
  							
	  							
	  							
	  								19. 북한의 시장화와 젠더정치, 조영주 ( Young Ju Cho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8권 2호, , pp. 95-122, , 2014	
	  							  							
  							 
						
						
					 
				
			
		
	
		
			
				
								
					
						
							
																					
		                    			                    	
  							
  							
	  							
	  							
	  								20. “북한 주민의 사적 욕망.”, 노귀남, 최완규,   북한대학원대학교, 현대북한연구. 11권 2호, , pp. 42-106, , 2008	
	  							  							
  							 
						
						
					 
				
			
		
	
		
			
				
								
					
						
						
						21. “오늘을 추억하리(희곡).”, 김흥기, 서남준,   조선예술. 년 제11-12호, , 2011
						
					 
				
			
		
	
		
			
				
								
					
						
						
						22. 역사가 기억을 말하다, 전진성,   서울: 휴머니스트, , 2009
						
					 
				
			
		
	
		
			
				
								
					
						
						
						23. 소련의 勸力繼承과 定策決定, 브레슬라우어,   北韓 , pp. 203-225., , 1980
						
					 
				
			
		
	
		
			
				
								
					
						
						
						24. 김정일장군의 선군정치, 김철우,   평양: 평양출판사, , 2000
						
					 
				
			
		
	
		
			
				
								
					
						
							
																					
		                    			                    	
  							
  							
	  							
	  							
	  								25. “북한 권력승계 담론 연구.”, 김종수,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평화연구. 년 4월호, pp. 86-112, , 2009	
	  							  							
  							 
						
						
					 
				
			
		
	
		
			
				
								
					
						
							
																					
		                    			                    	
  							
  							
	  							
	  							
	  								26. 북한 2009년 화폐 개혁 3년 평가, 이용화,   현대경제연구원, 통일경제. 2013년 제1호, pp.75-86, , 2013	
	  							  							
  							 
						
						
					 
				
			
		
	
		
			
				
								
					
						
						
						27. 푸코(Michel Foucault), 이정우 옮김, 미셸,   지식의 고고학(서울: 민음사, , 2015
						
					 
				
			
		
	
		
			
				
								
					
						
						
						28.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 2000
						
					 
				
			
		
	
		
			
				
								
					
						
						
						29. “김정은시대 북한은 어디로.”, 김현경,   기독교사상, 년 8월호, pp. 30-43, , 2012
						
					 
				
			
		
	
		
			
				
								
					
						
						
						30. “북한의 경제발전 전략분석.”, 강호제,   북한연구학회보. 제19권 제1호, , pp. 249-276, , 2015
						
					 
				
			
		
	
		
			
				
								
					
						
							
								
									
									
										
										
									
								
							
							
  							
	  							
	  							
	  								31. “북한 권력승계에 관한 연구.”, 김광인,   건국대학교 대학원,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98	
	  							  							
  							 
						
						
					 
				
			
		
	
		
			
				
								
					
						
						
						32. 선군으로 위력떨치는 강국, 김봉호,   평양: 평양출판사, , 2005
						
					 
				
			
		
	
		
			
				
								
					
						
						
						33.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 황장엽,   서울: 한울, , 1999
						
					 
				
			
		
	
		
			
				
								
					
						
						
						34. “조선로동당의 선군정치 서술.”, 김진환,   정영철 외. 조선로동당의 역사학. 서울 : 선인, , 2008
						
					 
				
			
		
	
		
			
				
								
					
						
						
						35. 김정일장군의 선군정치리론, 김인옥,   평양: 평양출판사, , 2003
						
					 
				
			
		
	
		
			
				
								
					
						
						
						36. “극장국가 북한의 상징과 의례.”, 정병호,   통일문제연구. 22권 2호. , pp. 1-42, , 2011
						
					 
				
			
		
	
		
			
				
								
					
						
							
																					
		                    			                    	
  							
  							
	  							
	  							
	  								37. “김정은 후계구축 논리와 징후.”, 고유환,   평화문제연구소, 통일문제연구. 22권 1호, , pp. 93-122, , 2010	
	  							  							
  							 
						
						
					 
				
			
		
	
		
			
				
								
					
						
						
						38. “북한의 권력승계에 관한 연구.”, 설경화,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5
						
					 
				
			
		
	
		
			
				
								
					
						
						
						39. 계속혁명에 관한 주체적리해, 함치영,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1992
						
					 
				
			
		
	
		
			
				
								
					
						
						
						40. 주체의 령도방법의 계승발전, 김화종,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1984
						
					 
				
			
		
	
		
			
				
								
					
						
							
																					
		                    			                    	
  							
  							
	  							
	  							
	  								41. “북한의 생활총화 형성과정 연구.”, 이우영, 황규진,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2권 제1호, , pp.121-143, , 2008	
	  							  							
  							 
						
						
					 
				
			
		
	
		
			
				
								
					
						
						
						42. 김정일애국주의에 대한 이야기, 오현철, 최금룡,   평양: 평양출판사, , 2013
						
					 
				
			
		
	
		
			
				
								
					
						
						
						43. 고난의 행군을 락원의 행군으로, 윤현철,   평양: 평양출판사, , 2002
						
					 
				
			
		
	
		
			
				
								
					
						
						
						44. “마오쩌둥과 그의 실패한 후계자들.”, 김정계, 전영란,   중문, 대구: 중문출판사, , 2012
						
					 
				
			
		
	
		
			
				
								
					
						
						
						45. “역사의 호명과 집단기억의 재구성,”, 박영정,   남북문학예술연구회 엮음. 3대 세습과 청년지도자의 발걸음: 김정은 시대의 북한 문학예술. 서울: 경진, , 2014
						
					 
				
			
		
	
		
			
				
								
					
						
						
						46. “북한의 권력구조 진단과 변화 전망.”, 이기동,   통일연구. 제10권 2호, , pp. 51-70, , 2007
						
					 
				
			
		
	
		
			
				
								
					
						
							
																					
		                    			                    	
  							
  							
	  							
	  							
	  								47. “북한의 후계체제 구축 전망과 변수,”, 이기동,   한국개발연구원, 북한경제 리뷰. 년 9월호, pp. 3-25, , 2010	
	  							  							
  							 
						
						
					 
				
			
		
	
		
			
				
								
					
						
						
						48. ⌜북한문학의 김정일 ‘형상화’연구⌟,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편. 『통일연구원 연구총서』. 서울: 통일연구원, , 2001
						
					 
				
			
		
	
		
			
				
								
					
						
						
						49. 조국: 어느 북조선인민의 수기, 하, 김진계,   서울: 현장문학사, , 1990
						
					 
				
			
		
	
		
			
				
								
					
						
						
						50. 후계자문제의 이론과 실천. 출판지, 김재천,   출판사 불명, , 1989
						
					 
				
			
		
	
		
			
				
								
					
						
							
																					
		                    			                    	
  							
  							
	  							
	  							
	  								51. ?김정일 시대 통치스타일로서 '음악정치'?, 전영선,   북한대학원대학교, 현대북한연구. 제10권 1호, , pp.51-85, , 2007	
	  							  							
  							 
						
						
					 
				
			
		
	
		
			
				
								
					
						
						
						52. “북한의 천리마운동과 강성대국 전략.”, 김보근,   통일정책연구. 제18권 1호, 2009, pp. 89-117, , 2009
						
					 
				
			
		
	
		
			
				
								
					
						
						
						53. 북한 언론 현황과 기능에 관한 연구, 홍민, 고유환, 이주철,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 2012
						
					 
				
			
		
	
		
			
				
								
					
						
						
						54. 현지지도를 통해 본 김정일의 리더십, 이관세,   서울: 전략과 문화, , 2009
						
					 
				
			
		
	
		
			
				
								
					
						
						
						55. 1994-2000년 북한기근: 발생, 충격 그리고 특징, 이 석,   통일연구원, 서울: 통일연구원, , 2004
						
					 
				
			
		
	
		
			
				
								
					
						
						
						56. “김정일 권력승계 공식화 과정연구: -1986.”, 송정호,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1964
						
					 
				
			
		
	
		
			
				
								
					
						
						
						57. “김정일 시대 북한 과학기술 담론의 정치.”, 김도연,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2
						
					 
				
			
		
	
		
			
				
								
					
						
						
						58. “中國共産黨의 黨內權力鬪爭에 대한 硏究.”, 박명희,   中國, 제18권, pp. 35-68, , 1991
						
					 
				
			
		
	
		
			
				
								
					
						
						
						59. “선전선동 사례연구 나치독일, 중국, 북한.”, 양무진,   현대북한연구. 14권 3호, 년, pp. 7-42, , 2011
						
					 
				
			
		
	
		
			
				
								
					
						
						
						60. “주체영화의 여성성 재현에서의 변화 연구.”, 이명자,   영화연구. 제23호, , pp. 276-278, , 2004
						
					 
				
			
		
	
		
			
				
								
					
						
						
						61. “김일성 김정일 문헌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 류길재,   경남대학교 북한대학원 편. 북한연구방법론. 파주: 한울, , 2003
						
					 
				
			
		
	
		
			
				
								
					
						
						
						62. (Don Oberdorfer). 뉴스위크 옮김. 『두개의 코리아』, 오버도퍼,   서울: 중앙일보사, , 1998
						
					 
				
			
		
	
		
			
				
								
					
						
						
						63. 『주체사상의 형성과 변화에 관한 새로운 분석』, 서재진,   서울: 통일연구원, , 2001
						
					 
				
			
		
	
		
			
				
								
					
						
						
						64. “담론 이론과 담론분석 문예학의 입장과 전략.”, 남운,   문화이론연구회 편. 담론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문학과 지성, , 2002
						
					 
				
			
		
	
		
			
				
								
					
						
						
						65. “인민의 자기통치를 위한 기억과 재현의 정치.”, 오창은,   남북문학예술연구회 지음. 3대 세습과 청년지도자의 발걸음: 김정은 시대의 북한 문학예술. 서울: 경진, , 2014
						
					 
				
			
		
	
		
			
				
								
					
						
						
						66. 우리 당의 주체사상과 사회주의적 애국주의, 최성욱,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 1966
						
					 
				
			
		
	
		
			
				
								
					
						
							
																					
		                    			                    	
  							
  							
	  							
	  							
	  								67. “스탈린 모택동, 후계 뒤집혀...쿠바, 형제승계.”, 장용석,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 제27권 7호, pp. 22-24, , 2009	
	  							  							
  							 
						
						
					 
				
			
		
	
		
			
				
								
					
						
						
						68. 푸코(Michel Foucault). 이정우 해설. 담론의 질서, 미셸,   서울:중원문화, , 2014
						
					 
				
			
		
	
		
			
				
								
					
						
						
						69. 국제관계학 비판: 국제관계의 민주화와 평화, 구갑우,   서울: 후마니타스, , 2008
						
					 
				
			
		
	
		
			
				
								
					
						
							
																					
		                    			                    	
  							
  							
	  							
	  							
	  								70. “북한의 통치이념 ‘김일성-김정일주의’ 분석.”, 김창희,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한국정정치연구. 제22집 제3호, , pp. 187-211, , 2013	
	  							  							
  							 
						
						
					 
				
			
		
	
		
			
				
								
					
						
							
																					
		                    			                    	
  							
  							
	  							
	  							
	  								71. “주체사상의 재인식: 형성과 확립, 그리고 쇠퇴,”, 현인애, 최대석,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1권 2호, , pp. 255-278, , 2007	
	  							  							
  							 
						
						
					 
				
			
		
	
		
			
				
								
					
						
						
						72. “북한의 인공위성 발사 동향과 한국의 대응방안.”, 홍현익,   세종연구소. 정세와 정책. , pp. 5-8, , 2012
						
					 
				
			
		
	
		
			
				
								
					
						
							
																					
		                    			                    	
  							
  							
	  							
	  							
	  								73. 「북한 초기 청년동맹의 성격과 역할에 관한 연구」, 김종수(Kim Jong Su),   고려대학교 평화연구소, 평화연구. 제15권 1호, , pp.23-57, , 2007	
	  							  							
  							 
						
						
					 
				
			
		
	
		
			
				
								
					
						
						
						74. 김정은 시대의 북한정치 2012~2014: 사상·정체성·구조, 백학순,   세종연구소, 경기: 세종연구소, , 2015
						
					 
				
			
		
	
		
			
				
								
					
						
						
						75. 조선로동당의 역사학: 조선로동당사 비교연구, 정영철,   서울: 선인, , 2008
						
					 
				
			
		
	
		
			
				
								
					
						
						
						76. “북한 최고인민회의 제13기 제3차 회의 결과 평가.”, 김석진,   통일연구원. Online Series. 15-08, 년 4월 17일, , 2015
						
					 
				
			
		
	
		
			
				
								
					
						
						
						77. “<노동신문>, 25세 강조하며 3남 정운 권력승계 시사.”, 진희관,   통일한국. 제27권 3호, , pp.32-35, , 2009
						
					 
				
			
		
	
		
			
				
								
					
						
						
						78. 주체사상의 사회력사원리. 위대한주체사상 총서2, 박일범,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 1985
						
					 
				
			
		
	
		
			
				
								
					
						
						
						79. “김일성과 김정일 ‘말씀’의 사회통합적 기능: -2000.”, 조은성,   북한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8, , 1990
						
					 
				
			
		
	
		
			
				
								
					
						
						
						80. “북한 유일체제의 배경: ‘사회주의공업화’의 전개.”, 김연철,   역사비평. 23호, , pp. 279-295, , 1993
						
					 
				
			
		
	
		
			
				
								
					
						
							
																					
		                    			                    	
  							
  							
	  							
	  							
	  								81. “그람시의 헤게모니 장치-현대 정치와 문화의 시공간.”, 곽노완,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마르크스주의 연구. 경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제4권 2호, , pp. 26-42, , 2007	
	  							  							
  							 
						
						
					 
				
			
		
	
		
			
				
								
					
						
						
						82. “북한의 ‘전국 당세포비서 대회’ 개최 배경과 전망.”, 정영태,   통일연구원,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편집. 통일정세분석 -11. 서울: 통일연구원, 2007, , 2007
						
					 
				
			
		
	
		
			
				
								
					
						
							
																					
		                    			                    	
  							
  							
	  							
	  							
	  								83. “기억의 호명과 전유: 김사량과 북한문학의 기억 정치.”, 유임하,   한국어문학연구학회, 동양어문학. 53호, 년 4월, pp. 365-388, , 2009	
	  							  							
  							 
						
						
					 
				
			
		
	
		
			
				
								
					
						
						
						84. “北韓 ‘首領制’ 정치체제의 構造와 特性에 관한 연구.”, 김광용,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1995
						
					 
				
			
		
	
		
			
				
								
					
						
							
																					
		                    			                    	
  							
  							
	  							
	  							
	  								85. “선군정치와 과학기술중시 정책: 경제발전 전략의 핵심.”, 강호제,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통일과 평화. 3집 1호, , pp. 174-218, , 2011	
	  							  							
  							 
						
						
					 
				
			
		
	
		
			
				
								
					
						
							
																					
		                    			                    	
  							
  							
	  							
	  							
	  								86. “중국 엘리트 정치에 있어서 충원의 제도화와 권력이동.”, 김정계,   한국동북아학회, 한국동북아논총. 제47집, , pp.153-181, , 2008	
	  							  							
  							 
						
						
					 
				
			
		
	
		
			
				
								
					
						
							
																					
		                    			                    	
  							
  							
	  							
	  							
	  								87. 김정은 시대의 경제-핵무력 병진노선의 특징과 지속 가능성, 이영훈 ( Young Hoon Lee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9권 1호, , pp. 1-26, , 2015	
	  							  							
  							 
						
						
					 
				
			
		
	
		
			
				
								
					
						
							
																					
		                    			                    	
  							
  							
	  							
	  							
	  								88. 북한의 12년 학제 개편을 통한 김정은 정권의 교육정책 분석, 이관형 ( Kwan Hyung Lee ), 한만길 ( Mann Gil Han ),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8권 제2호, , pp. 233-254, , 2014	
	  							  							
  							 
						
						
					 
				
			
		
	
		
			
				
								
					
						
						
						89. 북한의 국가전략과 파워엘리트: 간부정책을 중심으로, 현성일,   서울: 선인, , 2007
						
					 
				
			
		
	
		
			
				
								
					
						
						
						90. “김정은 시대의 애도와 구원의 코드: 김정일 추모문학론.”, 이지순,   남북문학예술연구회 지음. 3대 세습과 청년지도자의 발걸음: 김정은 시대의 북한 문학예술. 서울: 경진, , pp. 49-76, , 2014
						
					 
				
			
		
	
		
			
				
								
					
						
						
						91. “김정일 조선로동당총비서의 후계문제: 현황과 향후전망.”, 정성장,   세종연구소, 세종연구소 엮음. 정책보고서 -05. 통권 제52호, 2004, , 2004
						
					 
				
			
		
	
		
			
				
								
					
						
						
						92. 現代 共産主義 硏究: 歷史的 狀況 이데올로기 體制變動, 안병영,   서울: 한길사, , 1982
						
					 
				
			
		
	
		
			
				
								
					
						
							
																					
		                    			                    	
  							
  							
	  							
	  							
	  								93. “‘사회주의대가정’에서 ‘선군대가정’이 된 북한사회.”, 전미영,   평화문제연구소, 통일한국. 년 6월호, pp. 30-33, , 2007	
	  							  							
  							 
						
						
					 
				
			
		
	
		
			
				
								
					
						
							
																					
		                    			                    	
  							
  							
	  							
	  							
	  								94. “김정일 정권의 위기극복을 위한 정치담론과 담론의 정치.”, 배성인,   통일연구원, 통일정책연구. 12권 2호, , pp. 185-216, , 2003	
	  							  							
  							 
						
						
					 
				
			
		
	
		
			
				
								
					
						
						
						95. 김정일 정권의 정세인식: ‘선군’담론분석을 중심으로, 전미영,   서울: 통일연구원, , 2006
						
					 
				
			
		
	
		
			
				
								
					
						
						
						96. 북한사회의 상징체계 연구: 혁명구호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우영,   서울: 통일연구원, , 2002
						
					 
				
			
		
	
		
			
				
								
					
						
							
																					
		                    			                    	
  							
  							
	  							
	  							
	  								97. “북한의 ‘후계자’론과 현실: 이론의 형해화와 현실의 계승,”, 정영철,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3권 제1호, , pp. 278-299, , 2009	
	  							  							
  							 
						
						
					 
				
			
		
	
		
			
				
								
					
						
						
						98. 스탈린. 윤시인 옮김. 레닌주의의 기초, 레닌주의의 제문제, 요제프,   서울: 두레, , 1990
						
					 
				
			
		
	
		
			
				
								
					
						
							
																					
		                    			                    	
  							
  							
	  							
	  							
	  								99. “북한영화에서 재현되는 ‘여자다움’과 그 의미에 대한 연구.”, 변혜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여성학논집. 제16집, , pp. 169-201, , 1999	
	  							  							
  							 
						
						
					 
				
			
		
	
		
			
				
								
					
						
						
						100. 1998-2007년 로동신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의 ‘선군정치’ 논리, 정성임,   통일문제연구. 제21권 2호, pp.245-290, , 2009
						
					 
				
			
		
	
		
			
				
								
					
						
						
						101. 김정일의 ‘경제지도’에 관한 연구: 북한의 공식 문헌을 중심으로, 서동만,   통일경제. 35호 , pp. 31-50, , 1997
						
					 
				
			
		
	
		
			
				
								
					
						
						
						102. 社會主義國家勸力承繼事例硏究 (사회주의국가권력승계연구), 김덕배,   
						
					 
				
			
		
	
		
			
				
								
					
						
							
																					
		                    			                    	
  							
  							
	  							
	  							
	  								103. “마음의 사회학을 이론화하기: 기초개념들과 설명논리를 중심으로.”, 김홍중,   한국사회학회, 한국사회학. 제48권 제4호, 년, pp. 179-213, , 2014	
	  							  							
  							 
						
						
					 
				
			
		
	
		
			
				
								
					
						
						
						104. “북한 헌법과 김정일 후계체제의 포석: ‘수령’의 승계와 관련하여.”, 장명봉,   통일한국. 12권 11호, pp.48-52, , 1994
						
					 
				
			
		
	
		
			
				
								
					
						
							
																					
		                    			                    	
  							
  							
	  							
	  							
	  								105. “김정은 체제의 출범과 과제: 인격적 리더십의 구축과 인민생활 향상.”, 정영철,   북한연구학회, 북한연구학회보. 제16권 제1호, , pp. 1-24, , 2012	
	  							  							
  							 
						
						
					 
				
			
		
	
		
			
				
								
					
						
						
						106. “북한 ‘수령체제’의 변화와 ‘수령승계방식’의 한계에 관한 연구.”, 이승열,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9
						
					 
				
			
		
	
		
			
				
								
					
						
						
						107. “북한의 ‘선군정치’(先軍政治)와 체제 군사화(軍事化)에 관한 연구.”, 김용현,   통일부. 신진연구자 북한 및 통일관련 논문집. 2001, pp.61-104, , 2001
						
					 
				
			
		
	
		
			
				
								
					
						
						
						108. “3大 革命小組運動의 政治的 機能에 관한 硏究 : 正權承繼를 중심으로.”, 강성윤,   안보연구. 제9권, , pp. 55-69, , 1979
						
					 
				
			
		
	
		
			
				
								
					
						
						
						109. “고난의 행군의 시대적현실에대한 깊이있는 체험과 성격형상의 진실성.”, 박일찬,   조선예술. 년 12호, , 2011
						
					 
				
			
		
	
		
			
				
								
					
						
						
						110. 김정일과 김정은의 권력승계 비교: 제도와 리더십의 동학을 중심으로, 오경섭,   성남: 세종연구소, , 2012
						
					 
				
			
		
	
		
			
				
								
					
						
						
						111. “김정은원수님께서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년 3월전원회의에서 하신 보고.”, 김정은,   로동신문. 2013년 4월 2일, , 2013
						
					 
				
			
		
	
		
			
				
								
					
						
						
						112. “조선인민군의 정치적 역할과 한계: 김정일 시대의 당 군 관계를 중심으로.”, 이대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7
						
					 
				
			
		
	
		
			
				
								
					
						
						
						113. “《불멸의 향도》에 나타난 ‘고난의 행군’ 묘사방식과 <적기가>수용방식.”, 김은정,   세계문학비교연구, 제15권, , pp. 43-68, , 2006
						
					 
				
			
		
	
		
			
				
								
					
						
						
						114. 리성길 리희순. 경애하는 김정은원수님 혁명활동교수참고서(고급중학교), 지봉철,   평양: 교육도서출판사, , 2014
						
					 
				
			
		
	
		
			
				
								
					
						
							
																					
		                    			                    	
  							
  							
	  							
	  							
	  								115. “김정일 체제의 역량과 생존전략: 김정일 정권의 위기관리 방식-대내적측면.”, 이종석,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엮음. 북한연구시리즈. 19권, , pp. 71-110, , 2000	
	  							  							
  							 
						
						
					 
				
			
		
	
		
			
				
								
					
						
						
						116. “북한 정치담론의 의사소통 구조와 전략: 정치언어에 대한 문화정치적 접근.”, 전효관,   현대북한연구. 제1호, , pp. 219-250, , 1998
						
					 
				
			
		
	
		
			
				
								
					
						
						
						117. 프로이트(Sigmund Freud). 윤희기 옮김. 정신분석학의 근본개념: 프로이트 전집 11, 지그문트,   파주: 열린책들, , 2003
						
					 
				
			
		
	
		
			
				
								
					
						
						
						118. 김정일의 지도력과 정책전망: 구호나무 ‘발견’과 그 교양사업의 전개를 중심으로, 스즈키 마사유키(鐸木昌之),   안보연구. 제23권, , pp. 75-97, , 1993
						
					 
				
			
		
	
		
			
				
								
					
						
						
						119. 1990년대 북한의 체제정당화 담론: ‘우리식 사회주의’와 ‘붉은기철학’을 중심으로, 김근식,   통일정책연구. 제8권 제2호, pp. 9-38, , 2000
						
					 
				
			
		
	
		
			
				
								
					
						
						
						120. “조선노동당 당세포와 세포비서의 기능과 역할의 변화: 세포비서대회를 중심으로.”, 최승현,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5
						
					 
				
			
		
	
		
			
				
								
					
						
						
						121. “탈북여성들과의 심층면접을 통해서 본 경제난 이후 북한여성들의 지위변화 전망.”, 이미경,   가족과 문화. 제18집 제1호, , pp, 33-55, , 2006
						
					 
				
			
		
	
		
			
				
								
					
						
							
																					
		                    			                    	
  							
  							
	  							
	  							
	  								122. 2013년 북한의 전략적 선택과 동아시아 국제정치: 병진노선과 신형대국관계를 중심으로, 김성배,   고려대학교 평화와민주주의연구소, 평화연구. 21권 2호 . pp. 189-216, , 2013	
	  							  							
  							 
						
						
					 
				
			
		
	
		
			
				
								
					
						
						
						123. “북한의 통치다론 작동 메커니즘에 관한 연구: ‘강성대국건설’ 담론을 중심으로.”, 한승호,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2
						
					 
				
			
		
	
		
			
				
								
					
						
						
						124. “北韓의 産業化 過程과 工場管理의 政治-70): '수령제' 政治體制의 社會經濟的 起原 .”, 김연철,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1953
						
					 
				
			
		
	
		
			
				
								
					
						
						
						125. 북한 군부는 왜 쿠데타를 하지 않나: 김정일 시대 선군정치와 군부의 정치적 역할, 이대근,   파주: 한울, , 2003
						
					 
				
			
		
	
		
			
				
								
					
						
						
						126. “북한 정책결정과정의 조직행태와 관료정치: 경제개혁 확대 및 후퇴를 중심으로 -09).”, 한기범,   경남대학교대학원 정치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2000
						
					 
				
			
		
	
		
			
				
								
					
						
						
						127. “제2차 북미 핵갈등의 담론적 기원: 년 10월 3일-11월 26일, 말의 공방과 담론의 생태계.”, 구갑우,   한국과 국제정치. 제30권 제4호, 통권 87호, 2014, pp. 195-233, , 2002
						
					 
				
			
		
	
		
			
				
								
					
						
						
						128. 김정일 시대 북한의 정치체제: 통치이데올로기, 권력엘리트, 권력구조의 지속성과 변화, 정창현, 이교덕, 이기동, 박형중,   서울: 통일연구원, , 2004
						
					 
				
			
		
	
		
			
				
								
					
						
						
						129. 엮음. “자료 61. 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제6기 제1차전원회의에 관한 공보년 10월 14일).” 북한연구자료집, 김준엽,   서울: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0, , 1980
						
					 
				
			
		
	
		
			
				
								
					
						
						
						130. “北韓勞動黨의 組織構造와 事會統制體系에 關한 硏究: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10대 원칙’을 中心으로.”, 현성일,   한국외국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9
						
					 
				
			
		
	
		
			
				
								
					
						
						
						131. “김정일 체제의 ‘외연성장(Extensive-Growth)식’ 대중운동과 7차 당대회를 향한 정치: 제2의 천리마 대진군 운동을 중심으로.”, 이정철,   국제문화학회. 역사와 사회. 제23권, , pp.121-167, ,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