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n exploratory study on bioactive constituents from the sponge Coscinoderma sp. = 해면동물 Coscinoderma sp.로부터 생리활성 성분의 탐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42994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해면동물 Coscinoderma. sp. 시료를 methylene chloride와 methanol로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얻었으며 이 조추출물을 용매 극성도에 따라 분획하여 4가지 용매분획층들인 n-hexane, 85% aqueous methanol (85% aq.MeOH), n-butanol (n-BuOH), water 분획층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조추출물과 용매분획층에 대한 항산화활성,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그리고 항염증활성을 검색하였다.
      항산화활성 검색은 DPPH radical, peroxynitrite (ONOO-), 그리고 세포내 ROS (reactive oxygen species)에 대한 소거효과와 ferric ion에 대한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전반적으로 85% aq.MeOH과 n-BuOH 분획층에서 유의한 항산화효과가 관측되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85% aq.MeOH과 n-BuOH 분획층이 유의적인 소거효과를 보여주었으나 n-BuOH 분획층이 좀 더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Peroxynitrite에 대해서도 85% aq.MeOH과 n-BuOH 분획층이 높은 소거효과를 보여 주었다 하지만 ferric ion에 대한 환원력 측정에 있어서는 85% aq.MeOH과 n-BuOH 분획층이 농도의존적인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나 효과가 뛰어나지는 못하였다. HT-1080 세포내에 생성된 ROS의 소거활성실험에서는 water층을 제외한 모든 용매분획층들이 높은 소거능을 보여주었으나 그 중에서 n-BuOH 분획층이 가장 좋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 뿐만 아니라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된 Raw 264.7 cells에서 생성되는 nitric oxide (NO․)에 대해서도 모든 용매분획들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중에서 n-BuOH 분획층이 가장 좋은 NO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염증매개인자들인 iNOS, COX-2, IL-1β, IL-6, TNF-α의 mRNA 발현측정에서 85% aq.MeOH과 n-BuOH 분획층이 좋은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체 암세포들에 대한 증식억제실험에서 모든 용매분획들이 모든 암세포들(HT-1080, AGS, HT-29 및 MCF-7)에 대해 농도의존적인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효과는 높지 않았으며 n-BuOH 분획층이 상대적으로 비교적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생리활성 스크리닝 결과가 가장 좋은 n-BuOH 분획층으로부터 sesterterpene 유도체인 Halisulfate 1 (1)과 3개의 nucleoside인 2’-Deoxyadenosine (7), 2’-Deoxyuridine (8), Thymidine (9)을 분리하였으며 85% aq.MeOH 분획층에서는 sesterterpene 유도체인 Halisulfate 2 (2)를 분리하였다. 또 n-hexane 분획층으로부터는 epidioxysteroide 유도체들인 (24S)-5,8-epidioxy-24-methylcholest- 6-en-3β-ol (3), 5α,8α-epidioxycholesta-6,22-dien-3β-o1 (4), 5α,8α- epidioxy- cholesta-6-en-3β-o1 (5)그리고 5α,8α-epidioxy-24- methylcholest -6,9(11)- dien-3β-ol (6)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1-9)에 대한 항산화, 항염증,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halisulfates 1 (1)과 2 (2)가 비교적 좋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항염증이나 암세포 증식억제에 있어서는 농도의존적인 억제효과는 관측되었지만 주목할만한 유의적인 활성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번역하기

      해면동물 Coscinoderma. sp. 시료를 methylene chloride와 methanol로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얻었으며 이 조추출물을 용매 극성도에 따라 분획하여 4가지 용매분획층들인 n-hexane, 85% aqueous methanol (85% aq.MeOH)...

      해면동물 Coscinoderma. sp. 시료를 methylene chloride와 methanol로 추출하여 조추출물을 얻었으며 이 조추출물을 용매 극성도에 따라 분획하여 4가지 용매분획층들인 n-hexane, 85% aqueous methanol (85% aq.MeOH), n-butanol (n-BuOH), water 분획층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조추출물과 용매분획층에 대한 항산화활성,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 그리고 항염증활성을 검색하였다.
      항산화활성 검색은 DPPH radical, peroxynitrite (ONOO-), 그리고 세포내 ROS (reactive oxygen species)에 대한 소거효과와 ferric ion에 대한 환원력을 측정하였다. 전반적으로 85% aq.MeOH과 n-BuOH 분획층에서 유의한 항산화효과가 관측되었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85% aq.MeOH과 n-BuOH 분획층이 유의적인 소거효과를 보여주었으나 n-BuOH 분획층이 좀 더 높은 소거효과를 나타내었다. Peroxynitrite에 대해서도 85% aq.MeOH과 n-BuOH 분획층이 높은 소거효과를 보여 주었다 하지만 ferric ion에 대한 환원력 측정에 있어서는 85% aq.MeOH과 n-BuOH 분획층이 농도의존적인 환원력을 나타내었으나 효과가 뛰어나지는 못하였다. HT-1080 세포내에 생성된 ROS의 소거활성실험에서는 water층을 제외한 모든 용매분획층들이 높은 소거능을 보여주었으나 그 중에서 n-BuOH 분획층이 가장 좋은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이 뿐만 아니라 lipopolysaccharide (LPS)로 자극된 Raw 264.7 cells에서 생성되는 nitric oxide (NO․)에 대해서도 모든 용매분획들이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중에서 n-BuOH 분획층이 가장 좋은 NO 생성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염증매개인자들인 iNOS, COX-2, IL-1β, IL-6, TNF-α의 mRNA 발현측정에서 85% aq.MeOH과 n-BuOH 분획층이 좋은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인체 암세포들에 대한 증식억제실험에서 모든 용매분획들이 모든 암세포들(HT-1080, AGS, HT-29 및 MCF-7)에 대해 농도의존적인 증식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나 그 효과는 높지 않았으며 n-BuOH 분획층이 상대적으로 비교적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생리활성 스크리닝 결과가 가장 좋은 n-BuOH 분획층으로부터 sesterterpene 유도체인 Halisulfate 1 (1)과 3개의 nucleoside인 2’-Deoxyadenosine (7), 2’-Deoxyuridine (8), Thymidine (9)을 분리하였으며 85% aq.MeOH 분획층에서는 sesterterpene 유도체인 Halisulfate 2 (2)를 분리하였다. 또 n-hexane 분획층으로부터는 epidioxysteroide 유도체들인 (24S)-5,8-epidioxy-24-methylcholest- 6-en-3β-ol (3), 5α,8α-epidioxycholesta-6,22-dien-3β-o1 (4), 5α,8α- epidioxy- cholesta-6-en-3β-o1 (5)그리고 5α,8α-epidioxy-24- methylcholest -6,9(11)- dien-3β-ol (6)이 분리되었다.
      분리된 화합물들(1-9)에 대한 항산화, 항염증, 암세포 증식억제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halisulfates 1 (1)과 2 (2)가 비교적 좋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항염증이나 암세포 증식억제에 있어서는 농도의존적인 억제효과는 관측되었지만 주목할만한 유의적인 활성을 보여주지는 못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3
      • 2. Materials and Methods 7
      • 2.1. Materials 7
      • 2.2. General experimental procedures 8
      • 1. Introduction 3
      • 2. Materials and Methods 7
      • 2.1. Materials 7
      • 2.2. General experimental procedures 8
      • 2.3.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and isolation 9
      • 2.4. Antioxidant activity 16
      • 2.4.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16
      • 2.4.2.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19
      • 2.4.3.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 22
      • 2.4.4. Cell culture and measurement of cell viability by MTT assay 22
      • 2.4.5. Determination of intracellular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using DCFH-DA labelling 23
      • 2.5. Antiproliferative activity assay against human cancer cells 26
      • 2.5.1. Cell cultures and inhibit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26
      • 2.6. Anti-inflammatory activity assay 27
      • 2.6.1. Cell culture and determina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27
      • 2.6.2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29
      • 2.7. Statistical analysis 29
      • 3. Results and discussion 31
      • 3.1. Isolation and structure determination of compounds 31
      • 3.2. Antioxidant effects of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42
      • 3.2.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42
      • 3.2.2.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44
      • 3.2.3.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 46
      • 3.2.4. Intracellular ROS scavenging activity in HT-1080 cells 48
      • 3.2.4.1. Assessment of cell viability by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in HT-1080 cells 48
      • 3.2.4.2. Determination of intracellular formation of ROS using DCFH-DA labeling 49
      • 3.3.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on human cancer cells 52
      • 3.3.1. Antiproliferation effect against the growth of HT-1080 cells 52
      • 3.3.2. Antiproliferation effect against the growth of AGS cells 52
      • 3.3.3. Antiproliferation effect against the growth of HT-29 cells 52
      • 3.3.4. Antiproliferation effect against the growth of MCF-7 cells 53
      • 3.4. Anti-inframmatory effects of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56
      • 3.4.1. Measurement of cell viability by crude extract and its solvent fractions in Raw 264.7 cells 56
      • 3.4.2. Determina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58
      • 3.4.3.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60
      • 3.5. Antioxidant effects of compounds 1-9 63
      • 3.5.1.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63
      • 3.5.2.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65
      • 3.5.3.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 68
      • 3.5.4. Antioxidant effects of compounds 1-9 intracellular 70
      • 3.5.4.1. Measurement of cell viability by compounds 1-9 in HT-1080 cells 70
      • 3.5.4.2. Determination of intracellular formation of ROS using DCFH-DA labeling 72
      • 3.6. Antiproliferative effects of compounds 1-9 76
      • 3.6.1. Antiproliferative effect against the growth of HT-1080 cells 76
      • 3.6.2. Antiproliferative effect against the growth of AGS cells 76
      • 3.6.3. Antiproliferative effect against the growth of HT-29 cells 77
      • 3.6.4. Antiproliferative effect against the growth of MCF-7 cells 77
      • 3.7. Antiinframmatory effects of compounds 1-9 82
      • 3.7.1. Measurement of cell viability by compounds 1-9 in Raw 264.7 cells 82
      • 3.7.2. Determination of nitric oxide (NO) production 84
      • 4. Conclusion 86
      • Reference 88
      • Appendix 9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