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이공계 유학생을 위한 대학 한국어 예비 과정의 일반화학 수업 모형 설계 = Designing a Preliminary General Chemistry Model for International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4026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sign a general chemistry class model for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o this end, we review the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and synthesize them to design a class model that delivers language and content together in accordance with content-driven teaching methods. As a result of combining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students studying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are having a hard time with the concept and vocabulary of their major knowledge, and there are many demands for classes that easily solve them. Therefore, through the general chemistry class model applied with the designed content-oriented teaching method, learn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major knowledg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y will be able to successfully study generalization, which is a basic science, and furthermore, they will be able to actively study various major subjects. We apply the class model of this study to the actual training site and discuss the directions to be newly studied in the future.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to design a general chemistry class model for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o this end, we review the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and synthesize them to design a class model that deliv...

      This study aims to design a general chemistry class model for foreign students majoring in science and engineering at domestic universities. To this end, we review the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and synthesize them to design a class model that delivers language and content together in accordance with content-driven teaching methods. As a result of combining literature and prior research, students studying science and engineering majors are having a hard time with the concept and vocabulary of their major knowledge, and there are many demands for classes that easily solve them. Therefore, through the general chemistry class model applied with the designed content-oriented teaching method, learners will be able to improve their Korean language skills and major knowledge. It is also expected that they will be able to successfully study generalization, which is a basic science, and furthermore, they will be able to actively study various major subjects. We apply the class model of this study to the actual training site and discuss the directions to be newly studied in the fu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정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기반 언어 교육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2016

      2 스티븐 줌달(Steven S. Zumdahl), "줌달의 일반화학"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8

      3 남지현, "정보처리 이론에 기반한 절충식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모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4 안옥선,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관계 : 통섭이론과 그 대안적 관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송명선, "자연과학계열 유학생을 위한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 선정 연구" 배재대학교대학원 2018

      6 임소연, "이공계 유학생을 위한 대학 한국어 예비과정의 일반화학 교수요목 설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7 조소연, "이공계 예비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수요목 설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8 김수철, "이공계 대학의 유학생을 위한 물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16, 2019

      9 데이비드 옥스토비(David W.Oxtoby), "옥스토비의 일반화학" 사이플러스 2018

      10 이보경,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341-361, 2018

      1 안정호,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내용 기반 언어 교육 연구" 한양대학교대학원 2016

      2 스티븐 줌달(Steven S. Zumdahl), "줌달의 일반화학" 센게이지러닝코리아 2018

      3 남지현, "정보처리 이론에 기반한 절충식 한국어 말하기 교수·학습 모형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4 안옥선,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관계 : 통섭이론과 그 대안적 관점"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5 송명선, "자연과학계열 유학생을 위한 선행 한국어 학습어휘 선정 연구" 배재대학교대학원 2018

      6 임소연, "이공계 유학생을 위한 대학 한국어 예비과정의 일반화학 교수요목 설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0

      7 조소연, "이공계 예비 유학생을 위한 한국어 쓰기 교수요목 설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5

      8 김수철, "이공계 대학의 유학생을 위한 물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9 (9): 1-16, 2019

      9 데이비드 옥스토비(David W.Oxtoby), "옥스토비의 일반화학" 사이플러스 2018

      10 이보경, "대학 일반화학 교과과정 변화의 쟁점과 함의"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341-361, 2018

      11 정미혜, "공학계열 내용기반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연구 : 대학 입학 전 학습자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2

      12 서영은, "고등학교 화학교과와 대학교 일반화학의 연계성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3 묘예나, "理⼯系 學問 ⽬的 學習者 韓國語 語彙 選定 및 敎育 ⽅案"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1

      14 Krashen, S. D., "The input hypothesis : Issues and implications" Longman 1985

      15 Krashen, S. 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Pergamon Press 1981

      16 Krashen, S. D., "Principles and practices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Pergamon Press 1982

      17 Swain, M., "Input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ewbury House 235-253, 1985

      18 Snow, M. A., "Content-based and immersion models for second and foreign languageteaching" 30 : 3-318, 2001

      19 Brinton, M., "Content-based Second Language Instruction" Newbury House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