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독립 보행을 보조해 주기 위하여, 시각장애인의 공용 언어로 소통 가능한 촉각 상징문자인 택타일그램을 활용한 촉각지도 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독립 보행을 보조해 주기 위하여, 시각장애인의 공용 언어로 소통 가능한 촉각 상징문자인 택타일그램을 활용한 촉각지도 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의 독립 보행을 보조해 주기 위하여, 시각장애인의 공용 언어로 소통 가능한 촉각 상징문자인 택타일그램을 활용한 촉각지도 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시각장애인들의 보행과 공간인지특성 및 촉각지도에 관한 선행연구, 촉각지도용 돌기의 특성 규정 및 촉각 상징문자 개발, 선호도 조사를 통해 추출된 상징문자를 활용한 촉각지도 개발 및 타당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현재의 촉각지도는 시각적 감각기관에 기초한 안내지도를 시각장애인이 함께 사용할 수 있게 점자와 돌출이미지를 만들어 주는 단편적 접근의 결과로, 시각장애인의 촉지각 특성이 반영되지 않아서 촉각으로 인지하여 정확한 정보를 습득하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의 촉지각 특성을 반영한 택타일그램을 개발하였는데 이것은 불특정 다수의 시각장애인들이 빠르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나타낸 촉각 중심의 상징문자이다. 택타일그램이 적용된 촉각지도는 기존 촉각지도가 공간적 관점에서 표현한 것과 달리 유도블록을 기준으로 시각장애인들의 보행 특성을 반영하여 선형적 이동경로를 표현하며, 주변 보행환경에 대한 정보는 택타일그램과 점자를 활용하여 촉각 정보를 제공한다. 촉각지도에서 정보 표현을 위한 조형요소로 점자에서 사용하는 여섯 개의 돌기를 기본 단위로 활용하였는데, 이것은 시각장애인들이 점자 돌기를 통한 정보 습득에 익숙하고 이들의 촉지각 특성을 잘 반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효용성 평가 결과, 택타일그램은 점자와 같이 약속된 기호 개념이기 때문에 표현하는 대상물의 형태적 상징성보다는 학습 용이성이 더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참여자들은 익숙한 점자 돌기를 활용한 촉각지도의 개념을 잘 이해하였고 개발될 경우 효용성에 대해서도 공감하였다. 하지만 택타일그램으로 표현해야 할 환경요소 선정과 ‘현재위치’ 정보를 빠르게 제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촉각 상징문자인 택타일그램의 활용과 돌기들의 상하운동에 의한 촉각정보 제공을 특징을 가진 연구결과가, 시각장애인들의 보행보조를 위한 보다 합리적인 촉각지도 개발의 기초개념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미용, "형태인지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 - 연상에 의한 윤곽선 인지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4 (4): 370-381, 2003
2 임숙희, "촉각지도 학습과 지팡이 사용이 시작장애 아동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2
3 강수진, "촉각 픽토그램의 촉지각적 표현방법과 인지 성향에 관한 고찰- 중도실명장애인을 대상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9) : 285-294, 2008
4 이해균, "점자의 물리적 특성과 정보매체에 대한 고찰" 17 : 15-31, 2001
5 이은영, "올림픽 픽토그램 변천 과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6 한국표준협회, "엘리베이터용 점자표시 (KS B 6895)"
7 송지원, "시각장애인의 지팡이를 이용한 실내 보행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331-340, 2010
8 양승호, "시각장애인들의 길찾기 행위에 대한 연구"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8 (8): 55-69, 2009
9 강수진, "시각장애인 사용자의 픽토그램 현황 및 용이도 분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2) : 205-214, 2009
1 이미용, "형태인지능력 측정에 관한 연구 - 연상에 의한 윤곽선 인지를 중심으로 -" 한국기초조형학회 4 (4): 370-381, 2003
2 임숙희, "촉각지도 학습과 지팡이 사용이 시작장애 아동의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大邱大學校 大學院 1992
3 강수진, "촉각 픽토그램의 촉지각적 표현방법과 인지 성향에 관한 고찰- 중도실명장애인을 대상으로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19) : 285-294, 2008
4 이해균, "점자의 물리적 특성과 정보매체에 대한 고찰" 17 : 15-31, 2001
5 이은영, "올림픽 픽토그램 변천 과정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6 한국표준협회, "엘리베이터용 점자표시 (KS B 6895)"
7 송지원, "시각장애인의 지팡이를 이용한 실내 보행에 대한 연구"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331-340, 2010
8 양승호, "시각장애인들의 길찾기 행위에 대한 연구"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8 (8): 55-69, 2009
9 강수진, "시각장애인 사용자의 픽토그램 현황 및 용이도 분석"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2) : 205-214, 2009
10 韓成熙, "盲人의 觸知覺에 관한 基礎 연구" 檀國大學校 大學院 1991
11 "http://research.shu.ac.uk/lab4living/tactile-map"
12 "http://en.wikipedia.org/wiki/Tactile_graphic"
13 Lowenfeld, B., "The visually Handicapped Child in school" John Day 1973
14 A. M. Kidwell, "The environmental Perceptions of blind persons and their haptic representations" 66 : 256-276, 1972
15 B. L. Bentzen, "Orientation map for visually handicapped person" 71 : 193-196, 1977
16 B. L. Bentzen, "Orientation Aids, In Foundations of Orientation and Mobility" American Foundation for the Blind 299-, 1981
17 "Braille Authority of North America"
18 F. D. Meglione, "An Experimental study of the use tactual map an orientation and mobility aids for adult blind subjects" University of Illinois 1969
인쇄광고에서 바탕영역과 목표영역간 유추의 전이효과 분석 - 2000~2010년도 공익광고의 작품을 중심으로 -
문화적 평가지표를 활용한 공공디자인 개념 연구 - 전라도 진안군 시범도시 조성사업을 중심으로 -
고령화 사회의 신 노년층을 위한 도심형 실버타운의 서비스디자인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8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4-12-29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미등록 -> Korea Digital Design Societ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9 | 0.48 | 0.814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