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과학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도구에 대한 조사 연구 =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Test Tools in Science-related Affective Domai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0388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students` achievement in affective domains by analyzing test tools that assess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extracted 116 research articles on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fr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an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ublished for the past 10 years, from June 2006 to May 2016. Six experts majoring science education categorized and analyzed these research articles in light of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related self-concept, emotion, and career aspi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previous studies used 11 test tools measuring science-related attitude with 18∼70 test items, 12 test tools measur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ith 35 ∼78 test items, 4 test tools measuring science-related self-concept with 25∼36 test items, 8 test tools measuring science emotions with 24∼36 test items, and 2 test tools measuring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and science & engineering career motivation with 4∼32 test item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the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of affective achievement assessments, and ways to develop affective achievement test tools that reflect the scope of affective achievement and the range of test items for the appropriate school levels.
      번역하기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students` achievement in affective domains by analyzing test tools that assess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extracted 116 research articl...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students` achievement in affective domains by analyzing test tools that assess students` affective achievement in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e extracted 116 research articles on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fro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and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published for the past 10 years, from June 2006 to May 2016. Six experts majoring science education categorized and analyzed these research articles in light of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learning motivation, science-related self-concept, emotion, and career aspi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previous studies used 11 test tools measuring science-related attitude with 18∼70 test items, 12 test tools measuring science learning motivation with 35 ∼78 test items, 4 test tools measuring science-related self-concept with 25∼36 test items, 8 test tools measuring science emotions with 24∼36 test items, and 2 test tools measuring science-related career aspiration and science & engineering career motivation with 4∼32 test items. Discussed in the conclusion are the necessity of standardization of affective achievement assessments, and ways to develop affective achievement test tools that reflect the scope of affective achievement and the range of test items for the appropriate school level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민성, "학습상황에서 정서의 존재: 학습정서의 원천과 역할" 교육연구소 10 (10): 73-98, 2009

      2 최성연, "학생과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72-284, 2007

      3 곽영순,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27 (27): 260-268, 2006

      4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초중등 과학 교육혁신 방안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5

      5 이수영, "초등학생의 과학-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2 (22): 99-117, 2011

      6 임희준,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과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초등교육연구원 25 (25): 227-238, 2014

      7 김동현, "초등학생 과학 학습정서 검사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1367-1384, 2013

      8 김정환,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진단 척도의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16 (16): 1-17, 2003

      9 김정선, "초등과학에서 그리기 중점의 사고지도를 활용한 수업 전략의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54-64, 2016

      10 김영신,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256-1271, 2004

      1 김민성, "학습상황에서 정서의 존재: 학습정서의 원천과 역할" 교육연구소 10 (10): 73-98, 2009

      2 최성연, "학생과 부모의 과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272-284, 2007

      3 곽영순, "초중등 학생들의 과학 흥미도 조사" 27 (27): 260-268, 2006

      4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초중등 과학 교육혁신 방안 연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5

      5 이수영, "초등학생의 과학-수학 교과에 대한 인식과 경험이 과학기술분야 진로 선택에 미치는 영향 분석" 초등교육연구원 22 (22): 99-117, 2011

      6 임희준, "초등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대한 인식과 과학 진로에 대한 인식과의 관계" 초등교육연구원 25 (25): 227-238, 2014

      7 김동현, "초등학생 과학 학습정서 검사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33 (33): 1367-1384, 2013

      8 김정환, "초등학교 고학년용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진단 척도의 타당화" 한국교육평가학회 16 (16): 1-17, 2003

      9 김정선, "초등과학에서 그리기 중점의 사고지도를 활용한 수업 전략의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5 (35): 54-64, 2016

      10 김영신,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256-1271, 2004

      11 김효남, "초, 중, 고 학생들의 과학 정의적 특성 추이 분석을 위한 종단적 연구" 19 (19): 194-203, 1999

      12 임성민, "중학생의 과학학습에 대한 흥미의 다차원성 분석" 20 (20): 491-504, 2000

      13 이경희, "중학교 과학학습 부진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421-436, 2014

      14 이재천, "중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불안도 측정 도구 개발 및 과학 불안 경향성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2

      15 이유나, "중등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수학교과에 대한 정의적 특성과의 관계"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16 양명희, "자기조절학습의 프로그램 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17 정미선, "자기조절 학습프로그램이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 과학적 태도 및 탐구동기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7

      18 문용린, "인성 교육을 위한 정서 지능 개발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59 : 31-98, 1999

      19 김은숙, "이공계와 의약계 진로 희망 초등학생의 진로 선택 이유, 과학과목과 수학과목 선호도, 과학에 대한 흥미, 과학적 포부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 34 (34): 779-786, 2014

      20 김은진, "우리나라 학생들이 경험하는 학업상황의 정서 연구" 한국교육심리학회 25 (25): 501-521, 2011

      21 백윤수, "우리나라 STEAM 교육의 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1 (11): 149-171, 2011

      22 서정임, "영화치료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 고정관념에 미치는 영향" 6 (6): 105-121, 2007

      23 정택희, "수업외 학습시간 투입의 동기요인과 효과분석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1987

      24 최정선, "선행학습형태(자기주도적, 타의주도적)가 과학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7 (27): 547-558, 2007

      25 정시화, "반응속도 실험 수업에서 자기조절 학습 전략이 과학탐구 능력, 과학적 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681-692, 2010

      26 임성민,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파동 개념 이해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1

      27 김효남, "국가수준의 과학에 관련된 정의적 특성의 평가체제 개발" 18 (18): 357-369, 1998

      28 임성만, "과학학습 행동억제체계 및 행동 활성화 체계에 대한 척도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0

      29 송영욱, "과학적 태도 요소 선정 및 학교, 가정, 사회 상황을 고려한 과학적 태도 측정 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375-388, 2010

      30 이미경,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399-407, 2004

      31 이재천, "과학교사에 의해 조성되는 심리적 학습 환경이 학생들의 정의적 인식 및 인지적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6

      32 정완호, "과학과 수업모형" 교육과학사 1997

      33 여상인, "과학 연극이 초등학생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7 (27): 328-340, 2008

      34 신세인, "고등학생들을 위한 이공계 진로동기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한국과학교육학회 36 (36): 75-86, 2016

      35 최보가, "‘자아존중감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1)" 31 (31): 41-55, 1993

      36 McMillan, J. H., "What theories of motivation say about why learners learn" 45 : 39-46, 1991

      37 Sherer, M.,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51 (51): 663-671, 1982

      38 Song, S. H., "The effects of motivationally adaptiv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developed through the ARCS model" Florida State University 1998

      39 Haney, R. E.,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attitudes" 31 (31): 33-35, 1964

      40 Tuan, H., "The development of a questionnaire to measure students' motivation towards science learning" 27 (27): 639-654, 2005

      41 Fraser, B. J., "TOSRA: Test of Science-Related Attitudes Handbook" The Australian Council for Educational Research 1981

      42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Revised edition" Wesleyan University Press 1989

      43 Rosenberg, M.,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44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s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45 Schibeci, R. A., "Selecting appropriate attitudinal objectives for school science" 67 (67): 95-603, 1983

      46 Downing, J. E., "Science process skills and attitud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11 (11): 57-64, 1999

      47 Glynn, S. M.,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Ⅱ: Validation with science majors and nonscience majors" 48 (48): 1159-1176, 2011

      48 Glynn, S. M.,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Construct validation with nonscience majors" 46 (46): 127-146, 2009

      49 하민수, "Science Motivation Questionnaire Ⅱ(SMQⅡ) 번역본의 문항 반응, 일반화, 및 구조 타당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3 (13): 1-18, 2013

      50 이자영, "Rosenberg의 자아존중감 척도: 문항수준 타당도분석" 한국상담심리학회 21 (21): 173-189, 2009

      51 Meyer, D. K., "Re-conceptualizing emotion and motivation to learn in classroom contexts" 18 (18): 377-390, 2006

      52 Murayama, K., "Predicting long-term growth in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The unique contributions of motivation and cognitive strategies" 84 (84): 1475-1490, 2013

      53 Frenzel, A. C., "Perceived learning environment and students' emotional experiences: A multi-level analysis of mathematics classrooms" 17 (17): 478-493, 2007

      54 Midgley, C., "Patterns of Adaptive Learning Survey"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1993

      55 김경희, "PISA와 TIMSS 상위국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 및 성취 특성 비교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9

      56 최승현,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3

      57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58 Pekrun, R., "Measuring emotions in students’ learning and performance: The achievement emotions questionnaire (AEQ)" 36 (36): 36-48, 2011

      59 Jaber, L. Z., "Learning to feel like a scientist" 100 (100): 189-220, 2016

      60 Keller, J. M., "IMMS: Instructional Material Motivation Survey" Florida State University 1993

      61 Bloom, B. S.,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McGraw-Hill 1976

      62 Norris, S. P.,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of scientific literacy" 87 (87): 224-240, 2003

      63 Dewitt, J., "High aspirations but low progression: The science aspirations-careers paradox amongst minority ethnic students" 9 (9): 243-271, 2010

      64 Mayer, J. D., "Emotion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Implications for Educators" Basic Books 3-31, 1997

      65 Rosemary, E. S., "Emotion in Education. Educational Psychology Series" Elsevier Academic Press 259-274, 2007

      66 InSchutz, P. A., "Emotion in Education" Academic Press 2007

      67 Boekaerts, M., "Emotion in Education" Academic Press 37-56, 2007

      68 Linnenbrink, E. A., "Emotion in Education" Elsevier Inc 107-124, 2007

      69 Schutz, P. A., "Emotion in Education" Academic Press 2007

      70 Parker, V., "Effects of a science intervention program on middle-grade student achievement and attitudes" 100 (100): 236-242, 2000

      71 Zimmerman, B. J., "Development of a structured interview for assessing student use of self-regulated learning strategies" 23 (23): 614-628, 1986

      72 Keller, J. M., "Course Interest Survey" Florida State University 1993

      73 Chen, A., "An examination of situational interest and its sources" 71 (71): 383-400, 2001

      74 Acee, T. W., "Academic boredom in under- and over-challenging situations" 35 (35): 17-27, 2010

      75 Naylor, F. D, "A state-trait curiosity inventory" 16 (16): 172-183, 1981

      76 한국교육개발원, "21 세기 창의 인재 양성 전략 제5 차 전문가 종합 포럼: 21 세기 창의적 인재 양성 전략" 2011

      77 교육부,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78 최섭, "'신기한 스쿨버스’만화영화 도입이 식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초등학생의 개념 이해와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32 (32): 379-392,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02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n Society of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12-03-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생물교육학회지 -> 생물교육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0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 THE KOREAN JOURNAL OF BIOLOGY EDUCATION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6 0.96 0.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2 0.93 1.199 0.5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