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명시적 영어 음소 인식지도가 초등학생의 초기 문식성에 미치는 효과 = The Effects of Explicit English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on the Early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2654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of fourth grade elementary learners’ reading and writing literacy using English story book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53 fourth graders were inclu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of fourth grade elementary learners’ reading and writing literacy using English story books. To fulfi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53 fourth grader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tested twice a week for 15 weeks in their regular English class.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using English story books, and the control group was given standard reading instruction using the same English story books. To measure the effects, the analysis of learners’ English reading and writing literacy abilities were conducted. DIBELS(Dynamic Indicators of Basic Early Literacy Skills) and writing test were introduced for pre and post experiment, and the pre and post interview results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frequency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our types of DIBELS(ISF, PSF, LNF, NWF) te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between the results of the experimental class and the compared class. However, in the case of the LNF test, two groups’ pre test results were too high to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but it did prove to be more influential on the leaners’ reading ability positively. Phonemic awareness instruction was also effective in improving the learners’ writing literacy abilities than the standard reading instruc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 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우영, "초등학생의 영어 음소 인식성과 읽기 능력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김정렬, "초등교사가 알아야 할 영어학과 영어교육" 경문사 2011

      3 이주연, "음소 인식을 활용한 초등 영어 수업이 수준별 집단의 읽기·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이차숙, "유아 언어 교육의 이론적 탐구" 학지사 2004

      5 한국외국어평가원, "완·만·고 PELT jr. 3급" 씨앤티 2011

      6 심유미, "영어 음소지도가 수준별 능력에 따른 초등학생의 단어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우길주, "리터러시(Literacy) 시작 단계 아동의 영어 음소 인식 사례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49 (49): 217-238, 2007

      8 이정은, "균형적 읽기 교수를 통한 초등학교 영어 읽기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9 Ellis, G., "The storytelling handbook for primary teacher" Penguin Books 1991

      10 Wapole, C. L., "The relationship of phonological awareness to second language reading" Northwestern University 2001

      1 박우영, "초등학생의 영어 음소 인식성과 읽기 능력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 김정렬, "초등교사가 알아야 할 영어학과 영어교육" 경문사 2011

      3 이주연, "음소 인식을 활용한 초등 영어 수업이 수준별 집단의 읽기·쓰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4 이차숙, "유아 언어 교육의 이론적 탐구" 학지사 2004

      5 한국외국어평가원, "완·만·고 PELT jr. 3급" 씨앤티 2011

      6 심유미, "영어 음소지도가 수준별 능력에 따른 초등학생의 단어쓰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7 우길주, "리터러시(Literacy) 시작 단계 아동의 영어 음소 인식 사례 연구" 새한영어영문학회 49 (49): 217-238, 2007

      8 이정은, "균형적 읽기 교수를 통한 초등학교 영어 읽기 지도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2

      9 Ellis, G., "The storytelling handbook for primary teacher" Penguin Books 1991

      10 Wapole, C. L., "The relationship of phonological awareness to second language reading" Northwestern University 2001

      11 National Research Council, "Preventing reading difficulties in young children" National Academy Press 1998

      12 Vellutino, F. R., "Phonological coding, phonological awareness, and reading ability: Evidence from a longitudinal and experimental study, In Chilidren’s reading and the development of phonological awareness" Wayne State University Press 77-119, 1988

      13 Griffith, P. L., "Phonemic awareness helps beginning readers break the code" 45 (45): 516-523, 1992

      14 Mann, V., "Phonemic awareness and further reading ability" 26 (26): 259-269, 1993

      15 Good, R. H., "Official DIBELS home page"

      16 Boweman, V. V., "Literacy achievement for English language learners: Best practices" University of Virginia 2007

      17 Guccione, L. M., "Integrating literacy and inquiry for English learners" 64 (64): 567-577, 2011

      18 CIERA, "Improving the reading achievement of America’s children: 10 research-based principles"

      19 Ball, E. W., "Does phoneme awareness trainning in kindergarten make a difference in early word recognition and developmental spelling" 26 : 49-66, 1991

      20 Henterly, A. M., "Developmental spelling and phonemic awareness in kindergarten" Western Washington University 2000

      21 Treiman, R., "Children’s use of phoneme-grapheme correspondences in spelling: Roles of position and stress" 85 : 1-12, 1993

      22 Adams, M, J., "Beginning to read: Thinking and learning about print(2nd ed.)" MIT Press 1994

      23 Adams, M. J., "Beginning to read: Thinking and learning about print" MIT Press 1990

      24 Anderson, R. C., "Becoming a nation of readers: The report of the commission on reading" National Academy of Education 1985

      25 Lopez, M. E., "A comparative study on the role of phonological awareness on Spanish and English reading acquisition for Spanish speaking first-graders" University of Oregon 2000

      26 교육인적자원부, "2008 개정 교육과정 외국어과 교육과정 해설(Ⅰ)" 대한교과서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03-10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Associa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 The Korea Association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2 0.72 0.8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4 0.92 1.442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