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고등학생의 자원봉사와 안녕감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Work and Wellbe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502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work and well be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n 642 students in Pohang, Gyeong Ju, Yeong Cheon South Korea. The researchers asked questions to measure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happiness, resilience and volunteer work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otiva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had the highest degree of impact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happiness.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work and well being demonstrate,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volunteer work not only directly has an effect on well being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ir well being through mediation of resilience.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work and well be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n 642 students in Pohang, Gyeong J...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ary work and well being of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 this end, the researchers conducted a survey on 642 students in Pohang, Gyeong Ju, Yeong Cheon South Korea. The researchers asked questions to measure the levels o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happiness, resilience and volunteer work related variables. The results were analyzed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motivation, inter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had the highest degree of impact on the satisfaction with life and happiness. the results of verification of mediation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olunteer work and well being demonstrate, resilience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is, volunteer work not only directly has an effect on well being but also has an indirect effect on their well being through mediation of resilience. The researchers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자원봉사와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포항, 경주, 영천에 소재한 남녀 중고등 학생 642명(중학생: 267명, 고등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 척도, 행복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대인 및 사회 책임성 척도와 자원봉사활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각 척도의 신뢰도 분석,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자원봉사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삶의 만족도와 행복을 종속변인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기, 대인 및 사회책임성에 관련된 변인이 삶의 만족도와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와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부분 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즉 자원봉사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자원봉사와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포항, 경주, 영천에 소재한 남녀 중고등 학생 642명(중학생: 267명, 고등학생: 375명)을 대상...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자원봉사와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다. 포항, 경주, 영천에 소재한 남녀 중고등 학생 642명(중학생: 267명, 고등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 척도, 행복척도, 회복탄력성 척도, 대인 및 사회 책임성 척도와 자원봉사활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각 척도의 신뢰도 분석, 주요 변인간의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자원봉사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삶의 만족도와 행복을 종속변인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기, 대인 및 사회책임성에 관련된 변인이 삶의 만족도와 행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원봉사와 안녕감과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부분 매개모형이 지지되었다. 즉 자원봉사는 안녕감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며, 회복탄력성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이창호, "해외자원봉사활동의 임파워먼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43-272, 2012

      3 한국방정환재단, "한국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 국제 비교 연구조사 결과 보고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5

      4 강명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가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3 (13): 157-180, 2016

      5 오지현, "초기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과 문제행동 간 관계: 성별에 따른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225-249, 2015

      6 윤명숙,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안녕감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55-78, 2011

      7 문성호,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공모사업 만족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85-111, 2009

      8 김윤나, "청소년활동의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자아존중감, 직업성숙도, 학업성취, 생활만족도, 스트레스, 비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79-99, 2009

      9 도종수,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21-45, 2011

      10 유승엽, "청소년자원봉사자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10 : 409-423, 2004

      1 신우열, "회복탄력성 검사 지수의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 (20): 105-131, 2009

      2 이창호, "해외자원봉사활동의 임파워먼트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243-272, 2012

      3 한국방정환재단, "한국 어린이, 청소년 행복지수 : 국제 비교 연구조사 결과 보고서" 연세대학교 사회발전연구소 2015

      4 강명희,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스트레스가 통합적 관점의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3 (13): 157-180, 2016

      5 오지현, "초기 청소년의 부정적 정서표현에 대한 어머니 반응과 문제행동 간 관계: 성별에 따른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225-249, 2015

      6 윤명숙, "초기 청소년의 부모애착과 안녕감 간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55-78, 2011

      7 문성호, "청소년활동프로그램 공모사업 만족도 및 효과에 관한 연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6 (6): 85-111, 2009

      8 김윤나, "청소년활동의 효과에 관한 비교분석 -자아존중감, 직업성숙도, 학업성취, 생활만족도, 스트레스, 비행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1 (11): 79-99, 2009

      9 도종수,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이 주관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3 (13): 21-45, 2011

      10 유승엽, "청소년자원봉사자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 10 : 409-423, 2004

      11 추병완, "청소년의 회복탄력성(resilience) 증진을 위한 도덕과 지도 방법" 한국윤리교육학회 (34) : 83-112, 2014

      12 성은모,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과 환경특성 간의 관계 분석"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77-202, 2013

      13 임미향, "청소년의 행복과 관련 변인에 대한 연구 - 초등학생과 중학생을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2 : 159-179, 2006

      14 강명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65-293, 2013

      15 최현주, "청소년의 차별경험과 주관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역할"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7 (17): 81-105, 2015

      16 이명화,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지속 요인"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3

      17 이현숙, "청소년의 자원봉사활동 경험이 이타성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0

      18 정준교, "청소년의 자원봉사와 아르바이트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여가생활만족도, 삶의 만족도와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2005

      19 박소연, "청소년의 위험요인과 비행의 관계에서 희망의 조절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0 이은주, "청소년의 사회적 관계망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21 김현욱, "청소년의 SNS 이용실태 및 사회성·심리적 열등감·SNS 열등감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31 (31): 127-147, 2015

      22 권세원, "청소년 행복감에 관한 연구 : 청소년탄력성모델(Adolescent Resilience Model)의 적용"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3 (23): 39-72, 2012

      23 문영희, "청소년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사회복지교육의 이론적 함의에 관한 연구" 28 (28): 123-144, 2003

      24 윤기종, "청소년 자원봉사활동론" 한국학술정보 2009

      25 정유진,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자원봉사동기에 관한 연구"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6

      26 김성종, "청소년 자원봉사활동 지속성 영향요인 연구" 11 : 59-95, 2002

      27 김재엽, "청소년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자원봉사활동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99-126, 2013

      28 권이종, "청소년 세계의 이해 : 미국과 덴마크 청소년 비교" 교보문고 1991

      29 국가청소년위원회, "청소년 백서" 여성가족부 2007

      30 노고은, "중학생의 내현적 자기애와 인터넷 과다사용의 관계: 자기개념 명료성과 사회불안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13 (13): 205-225, 2016

      31 남경인, "중년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32 이윤정, "조손가정 내 조부모의 여가활동이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노년학회 34 (34): 299-313, 2014

      33 강경림, "자원봉사활동이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4

      34 문재우, "자원봉사활동이 건강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사회학회 (34) : 87-107, 2013

      35 이지안, "자원봉사활동과 영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9

      36 이성록, "자원봉사행동에 대한 다차원적 동인의 영향력"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37 李聖錄, "자원봉사자의 활동실태와 효율적 활용체계" 大邱大學校 社會開發大學院 1993

      38 김영호, "자원복지이론과 실제" 홍익제 1992

      39 이현정, "일반계 고등학생의 긍정적 정서, 몰입, 삶의 의미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40 이정화,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후기 남녀 아동의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 22 (22): 77-93, 2013

      41 최미경, "아동과 어머니의 조화적합성 및 어머니의 공감능력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31 (31): 151-165, 2010

      42 조혜정,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4 (24): 157-184, 2013

      43 박용희, "대학생의 진지한 여가와 일상적 여가 구분에 따른 다차원의 여가관여, 여가태도의 구조적 영향관계 차이연구" 한국관광연구학회 26 (26): 41-56, 2012

      44 이옥형,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청소년학회 19 (19): 29-57, 2012

      45 김나미, "대학생 생활 스트레스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회복 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상담학회 14 (14): 1125-1144, 2013

      46 권석만, "긍정 심리학 : 행복의 과학적 탐구" 학지사 2008

      47 Diener, E. 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49 (49): 71-75, 1985

      48 Hills, P.,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33 (33): 1073-1082, 2002

      49 Hamilton, S. F., "The impact of volunteer experience on adolescent social development : Evidence of program effects" 3 (3): 65-80, 1988

      50 Crosman, M., "The effects of required community service on the development of self-esteem, personal and social responsi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in a friends school" Lancaster Theological Seminary 1981

      51 Rutter, M., "Resilience in the face of adversity : Protective factors and resistance to psychiatric disorder" 147 (147): 598-611, 1985

      52 Argyle, M., "Recent advances in social psychology: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Elsevier Science 189-203, 1989

      53 Conrad, D., "Instruments and scoring guide of the experiential education evaluation project" Center for Youth Development and Research, University of Minnesota 1981

      54 Conrad, D., "High school community service: A review of research and programs" National Center on Effective Secondary Schools 1989

      55 Scales, P. C., "Contribution of developmental assets to the prediction of thriving among adolescents" 4 (4): 27-46, 2000

      56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1년 아동, 청소년 정신건강증진 지원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3-22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 The Korean Society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KCI등재
      2018-01-0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44 1.44 1.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4 1.42 1.763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