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큐슈에 자리한 다자이후(太宰府)에서는 11세기부터 16세기에 걸친 고려와 조선의 陶磁가 다량 출토되어 대일 교역의 실체를 밝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중 ‘府의 寺’...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 큐슈에 자리한 다자이후(太宰府)에서는 11세기부터 16세기에 걸친 고려와 조선의 陶磁가 다량 출토되어 대일 교역의 실체를 밝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중 ‘府의 寺’...
일본 큐슈에 자리한 다자이후(太宰府)에서는 11세기부터 16세기에 걸친 고려와 조선의 陶磁가 다량 출토되어 대일 교역의 실체를 밝히는 중요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이중 ‘府의 寺’라고 불린 다자이후 칸제온지(觀世音寺址)에서는 주요 건물지를 중심으로 14세기 중엽부터 16세기 층위에서 주목할 만한 수량의 출토품이 확인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렇게 일정 시기, 특정 지역에 집중된 여말선초 도자의 소비와 유통 배경을 밝히고자 유구와 유물을 분석하고 관련 문헌을 고찰하고자 한다. 먼저, 다자이후에서는 칸제온지 사역지구를 중심으로 여말선초 도자의 출토가 집중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이렇게 출토된 여말선초 도자를 기종에 따라 양식적 특징을 분석한 뒤, 편년 유물과 비교 고찰하여 제작 연대를 상정해 보았다. 이를 통해 여말선초 도자는 대접과 접시를 중심으로 14세기 3/4분기 이후 다량으로 유통되다가 15세기 중반 이후 급속히 소멸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 같이 한정된 소비연대의 유통 배경을 밝히기 위해 왜구의 침략과 외교 교섭에 관한 문헌자료를 검토해보았다. 그 결과, 왜구의 주체로 판단되는 쓰시마가 다자이후 쇼니의 지배권 아래 있었다는 기록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다자이후 도자 유통에 있어 쇼니의 영향력을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14세기 후반 이후, 麗日 간의 사신왕래와 공식적인 접촉 기록이 다수 확인되고 있어 외교 교섭을 통한 도자유통 가능성도 살펴볼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ryeo and Joseon ceramics from the 11th to the 16th century have been excavated in quantity from Dazaifu(大宰府), Kyushu(九州), Japan, which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confirming trades with Japan. Amongst the stratums deduced by the 14th t...
Goryeo and Joseon ceramics from the 11th to the 16th century have been excavated in quantity from Dazaifu(大宰府), Kyushu(九州), Japan, which provide significant information confirming trades with Japan. Amongst the stratums deduced by the 14th to the 16th century, a noteworthy quantity of ceramics have been discovered at Kanjeon-ji site(観世音寺址), Dazaifu, which is called ‘the temple of the prefecture(府ノ寺)’ in the Middle Ages. This paper analyzes remains with relics, and reviews literature in order to consider the background of circulation and consumption of ceramics in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are concentrated in this specific period and region. Firstly, it is confirmed that the ceramics of the late Goryeo and the early Joseon are intensively excavated at sites around Kanjeon-ji, Dazaifu. Those ceramics are analyzed by shape and design based on the each types, then the produce age is deduced by comparison with chronological data. Through this, it is confirmed that the ceramics, mainly bowls and plates, were distributed in large quantities since the third quarter of 14th century, and then the circulation rapidly shrank after the mid-15th century. Secondly, the study reviews literature of Japanese pirates’ invasions and official diplomatic negotiations in order to determine the circulation’s background of the limited era of consumption. In consequence, it is deduced that the ceramic trade in Dazaifu is strongly influenced by Dazai Shouni(大宰少弐), from the literature record which is related with Shouni(少弐) estimated as a leader of Japanese pirates. In addition, a great number of diplomatic contacts between Goryeo and Japan have been found in the record since the late 14th century. This also confirms the possibility of ceramic circulation through diplomatic channel.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국립중앙박물관, "천하제일 비색청자" 2013
2 박경수, "전근대 일본유통사와 정치권력-선사ㆍ고대ㆍ중세편" 논형 2012
3 연민수, "일본역사" 보고사 1998
4 박석순, "일본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5
5 김인규, "일본 출토 고려청자의 제작시기에 대한 연구 - 카마쿠라(鎌倉) 및 큐슈(九州) 지역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9) : 139-164, 2012
6 이영, "왜구와 고려ㆍ일본 관계사" 혜안 2011
7 김윤정, "고려말·조선초 명문청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고려대학교박물관, "고려대학교박물관 창설 55주년기념-도자기명품도록" 1989
9 한성욱, "고려 후기 청자의 성격 : 기형과 태토 분석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1
10 국립진주박물관, "경상남도 도요지 지표조사 보고서Ⅰ" 2007
1 국립중앙박물관, "천하제일 비색청자" 2013
2 박경수, "전근대 일본유통사와 정치권력-선사ㆍ고대ㆍ중세편" 논형 2012
3 연민수, "일본역사" 보고사 1998
4 박석순, "일본사"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5
5 김인규, "일본 출토 고려청자의 제작시기에 대한 연구 - 카마쿠라(鎌倉) 및 큐슈(九州) 지역을 중심으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9) : 139-164, 2012
6 이영, "왜구와 고려ㆍ일본 관계사" 혜안 2011
7 김윤정, "고려말·조선초 명문청자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8 고려대학교박물관, "고려대학교박물관 창설 55주년기념-도자기명품도록" 1989
9 한성욱, "고려 후기 청자의 성격 : 기형과 태토 분석을 중심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1
10 국립진주박물관, "경상남도 도요지 지표조사 보고서Ⅰ" 2007
11 경기도자박물관, "경기도박물관 특별전-경기보물" 2015
12 계명대학교박물관, "개교50주년기념 신축박물관 개관전시도록-계명대학교박물관" 2004
13 국립중앙박물관, "강진용운리청자요지 발굴조사보고서" 1997
14 국립중앙박물관, "강진 사당리 도요지 발굴조사 보고서" 2015
15 국립중앙박물관, "高麗靑磁名品特別展" 1989
16 국립중앙박물관, "高麗陶磁銘文" 1992
17 김윤정, "高麗末 干支銘靑瓷의 제작 배경과 수취 체제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275276 (275276): 37-60, 2012
18 "高麗史節要"
19 武田幸男, "高麗史日本伝―朝鮮正史日本伝2(下)" 岩波書店 2005
20 "高麗史"
21 降矢哲男, "韓半島産陶磁器の流通-高麗時代の靑磁を中心に-" 日本貿易陶磁硏究會 (22) : 138-167, 2002
22 동서문물연구원, "陜川 將臺里陶窯地" 2012
23 宮崎貴夫, "長崎縣地域の貿易陶磁の樣相-肥前西部ㆍ壹岐ㆍ對馬-" 日本貿易陶磁硏究會 (18) : 45-57, 1998
24 降矢哲男, "遺蹟出土の高麗靑磁" 沖縄考古學会 (19) : 63-84, 2000
25 九州歴史資料館, "観世音寺 -伽藍編" 2006
26 高倉洋彰, "筑紫観世音寺の調査とその成果(2)-子院跡に関する新たな知見を中心に-" 仏教芸術学会 (146) : 101-113, 1983
27 "海行摠載"
28 今井 敦, "海を渡った高麗青磁-日本出土の舶載陶磁<特集>" 東京國立博物館 (503) : 25-33, 1993
29 "朝鮮王朝實錄"
30 "日本行錄"
31 山本信夫, "日本における初期高麗靑磁について-太宰府出土品を中心として-" 日本貿易陶磁硏究會 (5) : 1-19, 1985
32 한성욱, "日本 京都 出土 高麗靑瓷의 現況과 性格" 한국중세사학회 (25) : 441-475, 2008
33 해강도자미술관, "康津靑磁窯址 地表調査報告書 第1卷-강진의 청자요지" 해강도자미술관ㆍ전라남도강진군 1992
34 민족문화유산연구원, "康津 沙堂里 43號 高麗 靑磁窯址 發掘調査 報告書" 2016
35 김보한, "少貳冬資와 倭寇의 일고찰" 日本歷史硏究會 13 : 57-77, 2001
36 太宰府市史編集委員会, "太宰府市史-考古資料編" 太宰府市 1992
37 筑紫野市教育委員, "大宰府条坊跡第85次発掘調査-筑紫野市文化財調査報告書" 1991
38 筑紫野市教育委員, "大宰府条坊跡第139次発掘調査-筑紫野市文化財調査報告書" 1994
39 筑紫野市教育委員, "大宰府条坊跡第114次発掘調査-筑紫野市文化財調査報告書" 1992
40 筑紫野市教育委員, "大宰府条坊跡第112次発掘調査-筑紫野市文化財調査報告書" 1992
41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ⅩⅨ-太宰府市の文化財" 2002
42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ⅩⅦ(鉾ノ浦遺跡』 大宰府条坊跡第47次調査)-太宰府市の文化財" 2001
43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ⅩⅥ(分析編)-太宰府市の文化財" 2002
44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ⅩⅥ(‘鉾ノ浦’周辺の調査)-大宰府市の文化財" 2001
45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ⅩⅤ(陶磁器分類編)-太宰府市の文化財" 2000
46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Ⅲ-太宰府市の文化財" 1984
47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Ⅱ-太宰府市の文化財" 1983
48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35-太宰府市の文化財" 2007
49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34-太宰府市の文化財" 2007
50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30-太宰府市の文化財" 2006
51 太宰府市教育委員会, "大宰府条坊跡26-太宰府市の文化財" 2004
52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史跡 -昭和63年度発掘調査概報" 1989
53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史跡 -昭和62年度発掘調査概報" 1988
54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史跡 -昭和56年度発掘調査概報" 1982
55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史跡 -昭和55年度発掘調査概報" 1981
56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史跡 -昭和52年度発掘調査概報" 1978
57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史跡 -昭和47年度発掘調査略報" 1973
58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史跡 -昭和46年度発掘調査略報" 1972
59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史跡 -平成元年度発掘調査概報" 1990
60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史跡 -平成4年度発掘調査概報" 1993
61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史跡 -平成2年度発掘調査概報" 1991
62 九州歴史資料館, "大宰府ヘくにが動き,もの動く" 2008
63 마노 토모에, "大宰府における鄭夢周の詩 - 観世音寺の栄枯盛衰をめぐって-" 포은학회 13 : 47-85, 2014
64 九州歷史資料館, "外文涉と九州の繁榮" 九州歷史資料館 1989
65 森本朝子, "博多出土の高麗ㆍ朝鮮当時の分類試案-生産地編年を視座として-" 博多硏究会 (8) : 44-75, 2000
66 국립해양유물전시관, "務安 道里浦 海底 遺蹟" 2003
67 한성욱, "務安 道里浦 海底 遺蹟" 국립해양유물전시관 225-226, 2003
68 川添昭二, "九州中世史の硏究" 吉川弘文館 65-113, 1983
69 西谷正, "九州ㆍ沖縄出土の朝鮮産陶磁器に関する予察" 九州大學九州文化史硏究所 (28) : 137-177, 1983
70 大庭康時, "中世都市.博多を掘る" 海鳥社 2008
71 田中健夫, "中世海外交涉史硏究" 東京大學校出版社 197-220, 1959
72 민족문화추진회, "『국역 사행록 해행총재』1" 한국학술정보(주) 2008
73 박정민, "14세기전반 상감청자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74 김기섭, "14세기 倭寇의 동향과 고려의 대응"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9 : 106-109, 1997
75 山本信夫, "11ㆍ12世紀の貿易陶磁-1980年代編年硏究を中心として-" 日本貿易陶磁硏究會 (10) : 11-34, 1990
76 太宰府市文化ふれあい館, "(太宰府市市制施行30周年記念) まるごと太宰府歴史展図録" 文化ふれあい館 2012
12세기 고려청자에 보이는 宋ㆍ金代 定窯 자기의 영향과 의미
청주 오송지구 고려시대 화장묘 유적에서 나온 사람 뼈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4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 -> (사)한국문화유산협회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 Korea Cultural Heritage Association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4-12-1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 (사)한국매장문화재협회영문명 : Korea cultural properties investigation and research institute associ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Archaeological Heritage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7 | 0.67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8 | 0.45 | 1.229 | 0.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