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 빠른 변화를 겪고 있으며 우리 사회 전반에서 다문화, 다인종을 만나는 것이 흔해졌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각이나 삶의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 상황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526544
2021
-
375
KCI등재
학술저널
5-26(22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 빠른 변화를 겪고 있으며 우리 사회 전반에서 다문화, 다인종을 만나는 것이 흔해졌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각이나 삶의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 상황에 ...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 빠른 변화를 겪고 있으며 우리 사회 전반에서 다문화, 다인종을 만나는 것이 흔해졌을 뿐만 아니라 우리의 생각이나 삶의 방식에도 영향을 미치는 다문화 상황에 놓여있다.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는 다문화 가정 자녀에 대한 교육 실행의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으며 유아교사양성기관은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보다 교육 실천력이 높은 다문화교육을 실시할 필요성이 긴급해졌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사로서 함양해야 할 역량으로서 다문화 감수성을 선정하였으며 기존의 전공 교과목과의 통합을 통해 그 교육적 효과를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다문화 통합교육 프로그램 구성의 가능성을 예술교육에서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예술교육의 방향으로 예술교육과 다문화 감수성 교육의 목표 간 적절한 균형 달성, 예술교육과 다문화 감수성 통합을 위한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화, 예술적 상상력지향의 예술교육 방법 모색, 다중감각을 활용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구성, 협력과 의사소통의 강화 등 이상 5개 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 역량 함양을 위한 구체적인 교육 실행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다문화 통합 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가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ur country is undergoing a rapid change to a multicultural society. It has become common to meet multicultural and multi-ethnic people across our society, and it is in a multicultural situation that also affects our thoughts and ways of life. At the ...
Our country is undergoing a rapid change to a multicultural society. It has become common to meet multicultural and multi-ethnic people across our society, and it is in a multicultural situation that also affects our thoughts and ways of life. At the site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eachers are facing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education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nd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need to provide more prac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multicultural sensitivity as a competence to foster as an early childhood teacher and suggested ways to enhanc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integration with existing major subjects. Art education explored the possibility of organizing a multicultural integrated education program to foster multicultural sensitivity. This study presented five directions: achieving an appropriate balance between artistic education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education goals, selecting and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 for integrating artistic and multicultural sensitivity, creating multiple-sense education programs, and strengthening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종화, "학교 다문화교육 운영 실태 연구 : 울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16
2 김연희, "존 듀이의 교육미학 : 예술교육의 철학과 이론" 교육과학사 2012
3 Radocy, R., "음악심리학" 학지사 2001
4 김순환,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다문화평화연구소 11 (11): 242-273, 2017
5 구자억,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태도 관계 및 다문화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1 (21): 21-42, 2017
6 박미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7 김혜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교육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55-274, 2014
8 이규림,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이해 및 태도의 관계 :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9 양옥승, "유아 다문화 교육: 다문화주의의 의미와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05-318, 2010
10 장원순, "우리안의 차별과 배제, 일상적 삶에서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27-46, 2006
1 박종화, "학교 다문화교육 운영 실태 연구 : 울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2016
2 김연희, "존 듀이의 교육미학 : 예술교육의 철학과 이론" 교육과학사 2012
3 Radocy, R., "음악심리학" 학지사 2001
4 김순환, "은유분석을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다문화평화연구소 11 (11): 242-273, 2017
5 구자억,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과 다문화교육태도 관계 및 다문화교사효능감의 조절효과"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1 (21): 21-42, 2017
6 박미희, "유아교사의 다문화감수성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7 김혜진, "유아교사의 다문화 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모형 분석: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 신념, 다문화교육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55-274, 2014
8 이규림, "유아교사의 다문화 감수성, 다문화교육 이해 및 태도의 관계 : 다문화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1
9 양옥승, "유아 다문화 교육: 다문화주의의 의미와 적용"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305-318, 2010
10 장원순, "우리안의 차별과 배제, 일상적 삶에서의 다문화교육 접근법"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3 (13): 27-46, 2006
11 Read, H., "예술을 통한 교육" 학지사 2007
12 맹봉재, "예술에서 왜 상상력이 요구되는가?" 연경문화사 2014
13 오율자, "예술에 있어서 상상력의 근원" 한국체육철학회 18 (18): 301-315, 2010
14 정옥희, "예술교육의 다문화 실천 담론" 교육과학사 2019
15 이효림, "예비유아교사를 위한다문화 교육 수업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 (20): 255-288, 2015
16 배지희, "예비유아교사교육과정에서의 다문화교육 방향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담론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9-54, 2014
17 이영미, "예비유아교사 다문화 교육과정 현황 연구" 3 (3): 77-90, 2015
18 Root-Bernstein, & Root-Bernstein., "생각의 탄생" 에코의 서재 2007
19 Collingeood, R. G., "상상과 표현: 예술의 철학적 원리" 고려원 1996
20 권덕원, "베넷 리머의 음악 교육 철학에 관한 소고" 18 : 81-98, 1999
21 이주하, "바슐라르와 뒤랑의 상상력 재발견과 그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철학회 (34) : 351-390, 2008
22 김경숙, "문화다양성정책과 교육의 연계에 관한 고찰" 30 (30): 1-23, 2016
23 김효정, "문화다양성 증진을 위한 문화정책 방안"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2
24 "다문화교육포털"
25 전영은, "다문화교육에서 활용되는 문화예술 체험활동에 관한 문화인지론적 연구: 신체성을 중심으로" 한국문화교육학회 13 (13): 33-70, 2018
26 최영준, "다문화교육 정책의 변화와 개선방안" 한국평생교육ㆍHRD연구소 14 (14): 55-75, 2018
27 Bennet, C. I., "다문화교육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9
28 서종남, "다문화교육 :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0
29 Jin-Won Chung, "다문화 음악교육의 성립 배경과 향후 과제" Association for Future Music Education 4 (4): 69-90, 2019
30 설연경, "다문화 감수성 함양을 위한 문화예술기반 다문화 교육프로그램 사례 분석" 한국조형교육학회 (57) : 65-97, 2016
31 교육부,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32 강현미, "The effec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lticultural sensitivity and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n the multicultural attitude" The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6 (36): 207-228, 2016
33 Chen, G. M.,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intercultural sensitivity scale" 3 : 1-15, 2000
34 Jeong-Hee Ha, "The Meaning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Class Based on Artistic Imagination for Pre-Service Teachers" The Korea Association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Educare Welfare 23 (23): 65-98, 2019
35 Harris, M., "Teaching and religious imagination" Harper Collins Publishers 1991
36 Young-Jun Park, "Study of Issues and Alternative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Cultural Contents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21 : 297-, 2016
37 Chen, G. M., "Communication among cultural diversties : A dialogue" 27 : 3-15, 2004
38 Houser, O., "Art, aesthetics, and citizenship education : Democracy as experience in a postmodern world" 33 (33): 45-72, 2005
39 Chen, G. M., "A review of the concept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1 : 1-16, 1997
40 허가영, "21세기 다문화사회의 무용교육: 다문화교육에서 상호문화교육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43 : 143-173, 2016
41 법무부 출입국, "2018년도 출입국·외국인정책 연감"
42 법무부 출입국, "2017년도 출입국·외국인정책 연감"
43 정해숙, "2015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분석" 한국여성정책연구원, 도서출판 학한문화 2016
44 최은식, "1992년~2019년 국내 학술지 게재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한국예술교육학회 18 (18): 177-196, 202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5-06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 한국영유아교육과정학회영문명 : Korean Society for Critical Inquiry of Childhood Education -> Korean Society for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 ![]() |
2022-05-0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어린이교육비평 -> 영유아교육과정연구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Young Children Becoming Curriculum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3-05-2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레지오교육학회 ->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the Reggio Emilia Approach -> Korean Society for Critical Inquiry of Childhood Education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 | 0 | 0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 | 0 | 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