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수적 수정으로 사용되는 평가조정에 대한 국내 평가의 문항 특성 분석-대학수학능력시험과 특수교사 임용시험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he item characteristics of the domestic evaluation on the test accommodation used as the instructional adaptation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6316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활용되는 교수적 수정 가운데 평가 조정에 초점을 맞추어서 국내에서 실시된 대학수학능력시험과 특수교사 임용시험의 문항 중 일부에 대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중 시각장애학생을 위해 출제된 대체문항 중 사회탐구 과목인 한국근현대사, 정치, 법과 사회, 세계사, 윤리 과목의 대체 문항이었다. 그리고 2017년까지 출제된 특수교사 임용 시험 문항 중 교수적 수정과 검사 조정에 대한 문항 다섯 문항에 대한 문항 특성분석을 질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대체문항은 ‘완전히 다른 문제가 되는 경우’, ‘그림을 빼고 서술형으로 그림을 대체하여 설명하는 경우’, 그리고 ‘그림을 빼도 문제를 푸는데 지장이 없어서 그림이 삭제된 경우’로 구분할 수 있었다. 특수교사 임용시험의 경우 ‘평가 조정의 형태를 구분하는 유형’,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접목한 평가 유형’, 그리고 ‘교수적 수정의 하위 유형으로 평가 수정을 제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조정 연구가 시각장애인을 위한 평가와 교수적 수정의 의의와 제안을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활용되는 교수적 수정 가운데 평가 조정에 초점을 맞추어서 국내에서 실시된 대학수학능력시험과 특수교사 임용시험의 문항 중 일부에 대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특수교육에서 활용되는 교수적 수정 가운데 평가 조정에 초점을 맞추어서 국내에서 실시된 대학수학능력시험과 특수교사 임용시험의 문항 중 일부에 대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중 시각장애학생을 위해 출제된 대체문항 중 사회탐구 과목인 한국근현대사, 정치, 법과 사회, 세계사, 윤리 과목의 대체 문항이었다. 그리고 2017년까지 출제된 특수교사 임용 시험 문항 중 교수적 수정과 검사 조정에 대한 문항 다섯 문항에 대한 문항 특성분석을 질적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대체문항은 ‘완전히 다른 문제가 되는 경우’, ‘그림을 빼고 서술형으로 그림을 대체하여 설명하는 경우’, 그리고 ‘그림을 빼도 문제를 푸는데 지장이 없어서 그림이 삭제된 경우’로 구분할 수 있었다. 특수교사 임용시험의 경우 ‘평가 조정의 형태를 구분하는 유형’, ‘보편적 학습 설계를 접목한 평가 유형’, 그리고 ‘교수적 수정의 하위 유형으로 평가 수정을 제시’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검사조정 연구가 시각장애인을 위한 평가와 교수적 수정의 의의와 제안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of the item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special teacher employment test taken in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test accommodations among the instruction modifications used in special education. So we analyzed three types of social inquiry course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politics, law and society, world history, and ethics in the 2013 academic achievement test.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tems on the five items of the teache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lternative item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re when they are completely different, when the picture is subtracted and the picture is substituted for the narrative type, and the picture is deleted because the problem is solved. And special teacher employment test, there were three types: type that classifies the type of evaluation adjustment, evaluation type that incorporates universal learning design, and presentation of evaluation revision as a subtype of teaching modif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test adjustm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 up study were suggest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of the item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special teacher employment test taken in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test accommodations among the instruction modifications used in speci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ome of the items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special teacher employment test taken in Korea. Especially, focusing on the test accommodations among the instruction modifications used in special education. So we analyzed three types of social inquiry courses: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politics, law and society, world history, and ethics in the 2013 academic achievement test. In addition, qualitative analysis of the items on the five items of the teacher.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lternative items for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 are when they are completely different, when the picture is subtracted and the picture is substituted for the narrative type, and the picture is deleted because the problem is solved. And special teacher employment test, there were three types: type that classifies the type of evaluation adjustment, evaluation type that incorporates universal learning design, and presentation of evaluation revision as a subtype of teaching modif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test adjustm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 up study were sugges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종근, "평가 조정 연구의 이론과 실제" 강현출판사 2016

      2 김영한, "특수교육학 임용시험의 출제경향성 분석 - 2013∼2016년 임용시험문제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281-308, 2017

      3 이승희, "특수교육평가" 학지사 2006

      4 이대식,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 통합학급에서의 효과적인 교육방법" 학지사 2011

      5 곽승철, "초등 특수교사 임용시험 출제 문제 분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269-290, 2008

      6 황예라, "중등 특수학교 교사 임용시험 경향성 분석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곽승철, "중등 특수교사 임용시험 출제 경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3-46, 2009

      8 이재호, "장애학생의 검사조정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545-572, 2014

      9 최종근, "장애학생을 위한 학업성취도 검사 조정의 타당성 연구 :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검사 비교가능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동일, "장애학생을 위한 검사의 수정과 조정" 9 (9): 19-24, 2002

      1 최종근, "평가 조정 연구의 이론과 실제" 강현출판사 2016

      2 김영한, "특수교육학 임용시험의 출제경향성 분석 - 2013∼2016년 임용시험문제를 중심으로"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6 (56): 281-308, 2017

      3 이승희, "특수교육평가" 학지사 2006

      4 이대식, "통합교육의 이해와 실제: 통합학급에서의 효과적인 교육방법" 학지사 2011

      5 곽승철, "초등 특수교사 임용시험 출제 문제 분석 연구"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9 (9): 269-290, 2008

      6 황예라, "중등 특수학교 교사 임용시험 경향성 분석 연구"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7 곽승철, "중등 특수교사 임용시험 출제 경향 분석" 한국특수교육학회 43 (43): 23-46, 2009

      8 이재호, "장애학생의 검사조정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7 (27): 545-572, 2014

      9 최종근, "장애학생을 위한 학업성취도 검사 조정의 타당성 연구 :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학습장애 학생과 일반 학생의 검사 비교가능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0 김동일, "장애학생을 위한 검사의 수정과 조정" 9 (9): 19-24, 2002

      11 국립특수교육원, "장애유형 및 교과별 평가조정 방안 개발" 2016

      12 박승희, "일반학급에서 통합된 장애학생의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교수적 수정의 개념과실행방안" 34 (34): 29-71, 1999

      13 권미은, "유치원 특수교사 임용시험 출제 경향 분석연구" 11 : 67-80, 2011

      14 신창현, "시각장애학생의 이해와 교수방법. 직무연수 자료집"

      15 김동일, "시각장애 학생을 위한 효과적인 수학 중재에 관한 연구 : 문헌분석과 수학 교사 면담을 중심으로"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9 (29): 173-196, 2013

      16 이정우, "사회·문화 선다형 평가 문항 분석 - 2004년~2009년 전국연합학력평가 답지 반응 분석에 근거한 문항 특성 연구 -"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6 (16): 71-82, 2009

      17 성태제, "문항제작 및 분석의 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4

      18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대학수학능력시험 자료실"

      19 남형두, "낮은 대통령과 점자 교과서"

      20 황정규, "교육평가의 이해" 학지사 2011

      21 김남진, "교육에서의 보편적 설계" 시그마프레스 2010

      22 신현기, "교육과정의 수정과 조절을 통한 통합교육 교수적합화" 학지사 2004

      23 이기영, "과학 영재 선발에 사용된 지필 검사 문항의 질적 및 양적 특성 분석: 2007-2008년 강원대학교 영재 교육원 선발 문항을 중심으로" 한국과학영재교육학회 1 (1): 43-58, 2009

      24 Center for University Design, "What is Universal Design?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25 Neisworth, J. T., "The autism encyclopedia"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5

      26 Phillips. S. E., "Testing accommodations for disabled students" 80 : 9-32, 1993

      27 Gargiulo, R. M., "Special education in contemporary society: An introduction to exceptionality" WADSWORTH, Thomson Learning, Inc 2003

      28 Packer, "SAT testing tim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Educational Testing Service 1986

      29 Thurlow, M., "Principles and characteristics of inclusive assessment and accountability systems" 2001

      30 Thurlow, "On the road to accountability: Reporting outcome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University of Minnesota, National Center on Educational Outcomes 2001

      31 Phillips. S. E., "Legal difensibility of standards : issues and policy perspectives" 15 (15): 5-19, 1996

      32 Phillips. S. E., "High-stakes testing accommodations : Validity versus disabled rights" 7 (7): 93-120, 1994

      33 McLoughlin, J. A., "Assessment students with special needs" Prentice Hall 2005

      34 Benner, S. L., "Assessment of young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 context-based approach" Delmar Learning 2003

      35 Cohen, Libby G., "Assessment of children and youth with special needs" Allyn and Bacon 2003

      36 이재호, "201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시각장애학생을 위한 대체문항의 특성 분석" 국립특수교육원 23 (23): 251-270, 201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04-24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n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Visually Impaired -> Korea Association for Education & Rehabilitation of the Visually Impaired KCI등재후보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5-11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시각장애연구회 ->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648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